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동기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 Test development and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measuring motiva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tivation test and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measuring the level of motivation of the employees in e-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26 items are developed.
      This paper reports on the validation process by administrating the test to 4392 employees in e-learning. For items analysis, EFA was performed with 1781 participants; CFA was conducted with the remaining 2611 participants.
      This research repor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w test consist of four factors of learners’ motivation with 23 items-1) self-regulated learning, 2) perceived choice, 3) online task value, and 4) self-efficacy.
      This study will serve as a first step in measur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employee online education. Currently, data collection is in progres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tatus and learning outcom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tivation test and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measuring the level of motivation of the employees in e-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26 items are dev...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tivation test and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measuring the level of motivation of the employees in e-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26 items are developed.
      This paper reports on the validation process by administrating the test to 4392 employees in e-learning. For items analysis, EFA was performed with 1781 participants; CFA was conducted with the remaining 2611 participants.
      This research repor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w test consist of four factors of learners’ motivation with 23 items-1) self-regulated learning, 2) perceived choice, 3) online task value, and 4) self-efficacy.
      This study will serve as a first step in measur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employee online education. Currently, data collection is in progres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tatus and learning outco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러닝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에 비해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롭고,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업교육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의 양적인 성장에 반해 학습성과에 대한 의구심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많은 선행연구들은 성공적인 이러닝 학습을 이끄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로 학습자의 동기를 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학습을 지속적으로, 성공적으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변인 중 학습자 동기를 규명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이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구성할 26개 문항을 잠정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S기업의 이러닝 과정에 참여한 학습자 4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나아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어, 총 4개 요인의 23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확정된 기업 이러닝의 동기 측정도구는 1)자기조절학습능력, 2)지각된 선택, 3)온라인 과제가치, 4)학업적 자기효능감의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번역하기

      이러닝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에 비해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롭고,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업교육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의 양...

      이러닝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에 비해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롭고,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업교육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의 양적인 성장에 반해 학습성과에 대한 의구심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많은 선행연구들은 성공적인 이러닝 학습을 이끄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로 학습자의 동기를 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학습을 지속적으로, 성공적으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변인 중 학습자 동기를 규명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이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구성할 26개 문항을 잠정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S기업의 이러닝 과정에 참여한 학습자 4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나아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어, 총 4개 요인의 23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확정된 기업 이러닝의 동기 측정도구는 1)자기조절학습능력, 2)지각된 선택, 3)온라인 과제가치, 4)학업적 자기효능감의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ust,J., "현대측정심리학" 박학사 2005

      2 김주환,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20 (20): 243-264, 2006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18 (18): 329-350, 2004

      5 봉미미, "학습동기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 31 (31): 179-195, 2000

      6 임철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기업의 이러닝 학습관리체제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21 (21): 77-100, 2005

      7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16 (16): 169-187, 2002

      8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이러닝백서"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7

      9 송인섭, "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14 (14): 29-64, 2000

      10 손기영, "기업내 웹기반 교육에서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1 Rust,J., "현대측정심리학" 박학사 2005

      2 김주환,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20 (20): 243-264, 2006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18 (18): 329-350, 2004

      5 봉미미, "학습동기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 31 (31): 179-195, 2000

      6 임철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기업의 이러닝 학습관리체제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21 (21): 77-100, 2005

      7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16 (16): 169-187, 2002

      8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이러닝백서"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7

      9 송인섭, "목표지향성,자기조절학습,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14 (14): 29-64, 2000

      10 손기영, "기업내 웹기반 교육에서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11 정혜승,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제가치,학습형태(집합교육,e-Learning,Blended Learning)가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5

      12 이인숙, "기업 e-Leaarning 학습전략의 관련 변인 및 학업성취도 규명" 4 (4): 77-96, 2002

      13 정종진, "기대-가치모형에 근거한 인지적 동기변인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와의 상관 분석" 18 (18): 198-213, 2002

      14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15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자기효능감과 e-Learning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19 (19): 41-68, 2003

      16 박상철, "e-Learning 사용의도와 학업성취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TAM과 자기결정 학습동기 이론을 중심으로" 5 (5): 85-113, 2007

      17 Jun,J., "Understanding dropout of adult learners in e-learning" The University of Georgia 2005

      18 Deci,E.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68, 2000

      19 Corno,L.,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on learning from instruction" 18 (18): 88-108, 1983

      20 Young,J.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performance in learner controlled computer-based instruction" 44 (44): 17-27, 1996

      21 Wigfield,A.,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12 : 265-310, 1992

      22 Yang,Y.C., "The Effects of self-regulatory skills and type of instructional control on learning from computer-based instruction" 20 (20): 225-241, 1993

      23 Hofer, K. H., "Teaching college student to be self-regulated learners In :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lective practice" NY: Guilford Press 1998

      24 Zimmerman,B.J.,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82 (82): 51-59, 1990

      25 Bandura,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J: Prentice Hall 1986

      26 Zimmerman,B.J., "Self-regulating academic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emergence of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2 : 173-201, 1990

      27 Bandura,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28 Joo,Y.J.,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net self-efficacy in web-based instruction" 48 (48): 5-17, 2000

      29 Bong,M.,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14 (14): 97-118, 1998

      30 Zimmerman,B.J., "Self-efficacy and motivation" 22 (22): 207-231, 1995

      31 Schunk,D.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 207-231, 1991

      32 Bong,M., "Role of self-efficacy and task-value in predicting college students' course performance and future enrollment intentions" 26 : 553-570, 2001

      33 Pintrich,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 33-40, 1990

      34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IMI) scale"

      35 Gable,R.K.,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Measuring attitudes and values in corporate and school settings" Kluwer Academic Pub 1993

      36 Zimmerman, B. J., "Impact of self-regulatory influences on writing course attainment" 31 (31): 845-862, 1994

      37 Paul Kline, "Handbook of Psychological Testing" Routledge 1999

      38 조일현, "GBS 설계 모델을 적용한 기업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 (18): 79-110, 2002

      39 Zimmerman,B.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23): 614-628, 1986

      40 Ryan,R.M.,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43 (43): 450-461, 1982

      41 Bong,M., "Comparison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academic motivation research" 34 (34): 139-153, 1999

      42 Wigfield,A., "Change in children competence beliefs and subjective task values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years: a 3-year study" 89 : 451-469, 1997

      43 Zimmerman,B.J.,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81): 329-339, 1989

      44 "??????http://www.psych.rochester.edu/SDT/measures/intrins.html, 2007년 5월 10일 검색"

      45 손예희, "(2007년 10월 29일). 이러닝 시장 1조 6천억...성인 교육 ‘쑥쑥’, 한경 비즈니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