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四王의 亂’ 이후 平盧節度使 李納의 兩面性 = Two Sides of the Pinglu Military CommissionerLi Na After the Jianzhong Inci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discusses Li na’s strategies for his life in Tang dynasty after he overpowered Tang Dezong by the Jianzhong Incident, which he raised with three military governors in Hebei. Considering Lina’s behaviors, however, there are obscure aspects in understanding his attitude. Li na did not give up his treacherous attitude toward the Tang dynasty while reaping all benefits granted from Dezong.
      By examining Li na’s reactions after the Jianzhong Incident, the essay attempts to grasp the mai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vincial system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e essay interprets Li na’s behaviors as reflections of multifaceted contradictions within the Tang provincial system.
      번역하기

      This essay discusses Li na’s strategies for his life in Tang dynasty after he overpowered Tang Dezong by the Jianzhong Incident, which he raised with three military governors in Hebei. Considering Lina’s behaviors, however, there are obscure aspec...

      This essay discusses Li na’s strategies for his life in Tang dynasty after he overpowered Tang Dezong by the Jianzhong Incident, which he raised with three military governors in Hebei. Considering Lina’s behaviors, however, there are obscure aspects in understanding his attitude. Li na did not give up his treacherous attitude toward the Tang dynasty while reaping all benefits granted from Dezong.
      By examining Li na’s reactions after the Jianzhong Incident, the essay attempts to grasp the mai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vincial system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e essay interprets Li na’s behaviors as reflections of multifaceted contradictions within the Tang provincial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唐 德宗의 번진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난 四王二帝의 난은 貞元 2년(786) 4월 종결되었다. 이후 덕종은 정원 21년(805) 정월까지 약 19년 동안 더 재위하였지만, 이 기간에 그는 번진들에 대해 더 이상 강경책을 펼치지 못한 반면 번진들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2제의 난 이후 덕종의 번진정책은 전통적으로 ‘姑息’이라는 말로 표현되었다. 즉 목전의 평안을 위해 “잠시 내버려두는” 정책이라는 의미이다. 반면 근래에 들어 ‘할거 번진’ 이외의 다른 번진들에 대해서는 덕종이 여러 가지 억제 정책을 추진하여 나름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견해도 제시되어 있다.
      이납은 하북3진과 함께 4왕의 난을 일으켜 당조를 굴복시킨 후 당조와의 공존을 지향한 듯이 보인다. 하지만 실제의 행동을 보면 간단히 단정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 이납은 덕종이 회유하기 위해 내린 은택을 모두 누리면서도 한편으로는 여전히 반역적 태도를 거두지 않았다. 이 글은 4왕의 난 이후 이납이 취한 태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시기 번진체제를 형성한 구조적 성격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이납의 행동은 당시 번진체제에 내재된 다중적 모순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번역하기

      唐 德宗의 번진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난 四王二帝의 난은 貞元 2년(786) 4월 종결되었다. 이후 덕종은 정원 21년(805) 정월까지 약 19년 동안 더 재위하였지만, 이 기간에 그는 번진들에 대해 더 ...

      唐 德宗의 번진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난 四王二帝의 난은 貞元 2년(786) 4월 종결되었다. 이후 덕종은 정원 21년(805) 정월까지 약 19년 동안 더 재위하였지만, 이 기간에 그는 번진들에 대해 더 이상 강경책을 펼치지 못한 반면 번진들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2제의 난 이후 덕종의 번진정책은 전통적으로 ‘姑息’이라는 말로 표현되었다. 즉 목전의 평안을 위해 “잠시 내버려두는” 정책이라는 의미이다. 반면 근래에 들어 ‘할거 번진’ 이외의 다른 번진들에 대해서는 덕종이 여러 가지 억제 정책을 추진하여 나름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견해도 제시되어 있다.
      이납은 하북3진과 함께 4왕의 난을 일으켜 당조를 굴복시킨 후 당조와의 공존을 지향한 듯이 보인다. 하지만 실제의 행동을 보면 간단히 단정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 이납은 덕종이 회유하기 위해 내린 은택을 모두 누리면서도 한편으로는 여전히 반역적 태도를 거두지 않았다. 이 글은 4왕의 난 이후 이납이 취한 태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시기 번진체제를 형성한 구조적 성격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이납의 행동은 당시 번진체제에 내재된 다중적 모순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준, "李正己 一家 藩鎭의 領域 變遷"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3) : 393-435, 2012

      2 傅樂成, "중국통사, 하" 우종사 1981

      3 王仲犖, "隋唐五代史 上" 上海人民出版社 1988

      4 "陸贄集" 中華書局 2006

      5 劉玉峰, "評唐德宗“姑息”藩鎭說" 1993

      6 日野開三郞, "藩鎭時代の州稅三分制について" 三一書房 1982

      7 "新唐書, 新唐書, 資治通鑑"

      8 日野開三郞, "支那中世の軍閥" 三一書房 1980

      9 정병준, "押新羅渤海兩蕃使와 張保皐의 對唐交易" 중국고중세사학회 (21) : 353-379, 2009

      10 堀敏一, "唐末五代變革期の政治と經濟" 汲古書院 2002

      1 정병준, "李正己 一家 藩鎭의 領域 變遷"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3) : 393-435, 2012

      2 傅樂成, "중국통사, 하" 우종사 1981

      3 王仲犖, "隋唐五代史 上" 上海人民出版社 1988

      4 "陸贄集" 中華書局 2006

      5 劉玉峰, "評唐德宗“姑息”藩鎭說" 1993

      6 日野開三郞, "藩鎭時代の州稅三分制について" 三一書房 1982

      7 "新唐書, 新唐書, 資治通鑑"

      8 日野開三郞, "支那中世の軍閥" 三一書房 1980

      9 정병준, "押新羅渤海兩蕃使와 張保皐의 對唐交易" 중국고중세사학회 (21) : 353-379, 2009

      10 堀敏一, "唐末五代變革期の政治と經濟" 汲古書院 2002

      11 "唐會要" 上海古籍出版社 1991

      12 吳廷燮, "唐方鎭年表" 中華書局 1980

      13 劉玉峰, "唐德宗評傳" 齊魯書社 2002

      14 李效杰, "唐德宗初期的四鎭稱王及“署置百官初探”" 河北師範大學 2003

      15 "唐大詔令集" 商務印書館 1959

      16 郁賢皓, "唐刺史考全編" 安徽大學出版社 2000

      17 "唐六典" 中華書局 1992

      18 仁井田陞, "唐代의 封爵과 食封制" 10 : 2010

      19 찰스 피터슨, "唐代史의 조명" 아르케 1999

      20 정병준, "唐代 藩鎭의 州縣官 任用" 54 : 1996

      21 이영철, "唐 德宗의 藩鎭政策" 중국사학회 (60) : 37-67, 2009

      22 정병준, "唐 德宗代 淮西節度使 李希烈의 稱帝와 그 性格" 중국사학회 (126) : 57-101, 2020

      23 정병준, "唐 德宗代 李納의 齊 建國과 그 性格" 중국고중세사학회 (56) : 337-373, 2020

      24 정병준, "唐 德宗代 四王二帝의 亂과 그 限界" 동양사학회 (137) : 1-49, 2016

      25 "冊府元龜" 中華書局 1960

      26 愛宕元, "中國史 2" 山川出版社 1996

      27 정병준, "『구당서』ㆍ『신당서』 등에 보이는 ‘反’ 용례 비교 검토 ― 신라사의 반란 용례와도 관련하여 ―" 중국고중세사학회 (46) : 311-34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