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서 학습·번역의 중요성과 방안 = Importance and Strategies of Chinese Classics Learning and Trans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1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s, only Hangeul has been used in Korea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Chinese writing that has been abandoned as being dead in Korean education is facing a more serious crisis. The context of classical Chinese was changed in all of the Chinese writings. Therefore,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hinese writing is to read it in the same way as old people read. To understand Chinese writings, we have to understand the context first. However, as propositions may be omitted and the order of subjects and predicative terms may be inverted in it, it is hard to judge connectives, endings or interrogatives.
      In Joseon period, basic Chinese classics were determined as textbooks and were read in Korean language[토] to show standard answers everybody can share. In Chinese writings, Chinese classics were directly cited, or words or phrases were mixed in the context. However, a few mistakes were found in the present translation of Chinese writings.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ied to make an annotation for every transla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annotation was repeated and it may be misread if the source of translation is not stated. It is surely suggested that basic classics should be faithfully translated as a base of references. For the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that will be used as a base for translation, both annotations by the Korean Corrections-Social Protection System and Yulgok annotation should be published and literal transl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free translation and annotations. different opinions between Lee Hwang and Yulgok and different theories between Yeongnam School and Giho School should be append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misreading.
      번역하기

      These days, only Hangeul has been used in Korea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Chinese writing that has been abandoned as being dead in Korean education is facing a more serious crisis. The context of classical Chinese was changed in all of the Chine...

      These days, only Hangeul has been used in Korea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Chinese writing that has been abandoned as being dead in Korean education is facing a more serious crisis. The context of classical Chinese was changed in all of the Chinese writings. Therefore,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hinese writing is to read it in the same way as old people read. To understand Chinese writings, we have to understand the context first. However, as propositions may be omitted and the order of subjects and predicative terms may be inverted in it, it is hard to judge connectives, endings or interrogatives.
      In Joseon period, basic Chinese classics were determined as textbooks and were read in Korean language[토] to show standard answers everybody can share. In Chinese writings, Chinese classics were directly cited, or words or phrases were mixed in the context. However, a few mistakes were found in the present translation of Chinese writings.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ied to make an annotation for every transla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annotation was repeated and it may be misread if the source of translation is not stated. It is surely suggested that basic classics should be faithfully translated as a base of references. For the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that will be used as a base for translation, both annotations by the Korean Corrections-Social Protection System and Yulgok annotation should be published and literal transl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free translation and annotations. different opinions between Lee Hwang and Yulgok and different theories between Yeongnam School and Giho School should be append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misrea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바야흐로 한자를 가급적이면 없애고 한글만을 쓰는 추세로 내달리고 있다. 이미 죽은 글이 되어 오랜 세월 제도권 교육에서 푸대접을 받아오던 한문이 이제는 더욱 큰 위기를 맞고 있다.
      한문에서 경서의 문리는 거의 모든 글의 내면에서 底流를 이루어 응용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한문 문리를 얻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한문 저술을 남긴 이들이 가장 많이 읽은 경서를 옛사람들이 읽었던 방식으로 읽는 것이다. 한문을 독해하려면 먼저 문리를 얻어야 하는데, 조사가 생략되고 주어와 술어가 곧잘 바뀌는 것이 한문의 특성이라 연접사와 종결사, 의문사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기본 경서들을 교재로 확정하고 훈민정음으로 吐를 달아 한문을 공부하는 사람 모두가 共有할 모범답안을 제시해 주었다.
      한문에서 경서는 직접 인용되기도 하고 낱말 또는 구절이 문맥 속에 섞여들어 응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오늘날 한문번역에서는 경서를 인용한 대목은 오역이 심심찮게 보인다. 그런데 많은 한문전적들을 번역해야 하는 고전번역원에서는 이러한 곳마다 출처를 일일이 주석으로 달자니 주석이 너무 중첩하고 그렇다고 해서 번역의 근거를 밝히지 않으면 誤讀의 소지를 남기게 된다.
      고전번역원과 같은 기관에서는 먼저 참조 注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충실한 기본서 번역이 절실하다. 번역에서 기본서로 쓸 경서를 번역할 때에는 가장 권위 있고 많이 읽힌 교정청언해와 율곡언해를 아울러 싣고 그 아래에 直譯한 다음 簡約한 意譯을 붙이고 그 아래에 大註를 번역해 두는 한편 李滉과 李珥의 다른 견해 내지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에 서로 다른 학설들을 첨부하여 오독의 여지를 최소화해야 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바야흐로 한자를 가급적이면 없애고 한글만을 쓰는 추세로 내달리고 있다. 이미 죽은 글이 되어 오랜 세월 제도권 교육에서 푸대접을 받아오던 한문이 이제는 더욱 큰 위기를 맞...

      우리나라는 바야흐로 한자를 가급적이면 없애고 한글만을 쓰는 추세로 내달리고 있다. 이미 죽은 글이 되어 오랜 세월 제도권 교육에서 푸대접을 받아오던 한문이 이제는 더욱 큰 위기를 맞고 있다.
      한문에서 경서의 문리는 거의 모든 글의 내면에서 底流를 이루어 응용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한문 문리를 얻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한문 저술을 남긴 이들이 가장 많이 읽은 경서를 옛사람들이 읽었던 방식으로 읽는 것이다. 한문을 독해하려면 먼저 문리를 얻어야 하는데, 조사가 생략되고 주어와 술어가 곧잘 바뀌는 것이 한문의 특성이라 연접사와 종결사, 의문사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기본 경서들을 교재로 확정하고 훈민정음으로 吐를 달아 한문을 공부하는 사람 모두가 共有할 모범답안을 제시해 주었다.
      한문에서 경서는 직접 인용되기도 하고 낱말 또는 구절이 문맥 속에 섞여들어 응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오늘날 한문번역에서는 경서를 인용한 대목은 오역이 심심찮게 보인다. 그런데 많은 한문전적들을 번역해야 하는 고전번역원에서는 이러한 곳마다 출처를 일일이 주석으로 달자니 주석이 너무 중첩하고 그렇다고 해서 번역의 근거를 밝히지 않으면 誤讀의 소지를 남기게 된다.
      고전번역원과 같은 기관에서는 먼저 참조 注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충실한 기본서 번역이 절실하다. 번역에서 기본서로 쓸 경서를 번역할 때에는 가장 권위 있고 많이 읽힌 교정청언해와 율곡언해를 아울러 싣고 그 아래에 直譯한 다음 簡約한 意譯을 붙이고 그 아래에 大註를 번역해 두는 한편 李滉과 李珥의 다른 견해 내지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에 서로 다른 학설들을 첨부하여 오독의 여지를 최소화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영, "六孝錄" 해동에이전시 1992

      2 "論語集註" 학민문화사 1990

      3 "論語今注今譯" 臺灣商務印書局股份有限公司 1975

      4 이상하, "한문의 토와 표점의 상관관계" 한국고전번역학회 3 : 191-216, 2012

      5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1973

      6 윤용선, "조선 후기의 구결 사용에 대한 고찰 - 『句讀解法』의 분석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07) : 177-212, 2009

      7 신영주, "이상수 문하의 문장 해석론과 우리식 한문 읽기" 한국한문교육학회 (35) : 323-361, 2010

      8 李滉, "退溪先生文集" 학민문화사 1990

      9 심경호, "近畿實學淵源諸賢集" 성균관대 출판부 2002

      10 "孟子集註" 학민문화사 1990

      1 김홍영, "六孝錄" 해동에이전시 1992

      2 "論語集註" 학민문화사 1990

      3 "論語今注今譯" 臺灣商務印書局股份有限公司 1975

      4 이상하, "한문의 토와 표점의 상관관계" 한국고전번역학회 3 : 191-216, 2012

      5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1973

      6 윤용선, "조선 후기의 구결 사용에 대한 고찰 - 『句讀解法』의 분석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07) : 177-212, 2009

      7 신영주, "이상수 문하의 문장 해석론과 우리식 한문 읽기" 한국한문교육학회 (35) : 323-361, 2010

      8 李滉, "退溪先生文集" 학민문화사 1990

      9 심경호, "近畿實學淵源諸賢集" 성균관대 출판부 2002

      10 "孟子集註" 학민문화사 1990

      11 "孟子今注今譯" 臺灣商務印書局股份有限公司 1974

      12 최식, "<句讀解法>, 漢文의 句讀와 懸吐, 口訣" 한국고전번역원 32 (32): 105-15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Classics -> The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