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고전-經部叢刊의 편찬 및 번역을 위하여 = For the Publication and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Gyeongbuchongg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1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utterly critical for us to preoccupy information and data, not to lose the research leadership, and take an academic position of advantage in order to lead East Asian studies. If we do not arrange, translate, and investigate our classics actively, there is a risk of our spiritual culture being distorted by foreigners.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Neo-Confucianism, and Yehak are part of the global spiritual culture heritage that was made to blossom to a higher level by us in the universal ideas of East Asia. It is thus urgent to publish a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Combined with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was our eager wish to compile and publish, make a database, and translate Gyeongbuchonggan. This paper thus estimated its directions.
      The Daedo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of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shed 146 volumes of Collection of Korea's Study of Chinese Classics in 1998, but the collection had many missing materials and several problems. There is a need to do a reexamination at the national level, collect data, and publish Classics of Korea -Gyeongbuchoseo. It is also needed to review aga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scope of recording befor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and make a database of the resulting books.
      Raising a need to translate the entire Gyeongbuchonggan and discussing the scope of what should be translated, the paper highlighted a need to translate Small Learning and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based on the actual circumstances of Joseon and also Geunsarok and Simgyeong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ir standard translations. The methods of transl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 common translation in principle. Translation teams should be formed by the Chinese classics and data, and an institutional device should be introduced to ensure the joint participation of expert researchers, translators, and follow-up generation research translators. Transl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consideration into Haeje works and publication of biographical dictionaries and glossaries.
      In conclusion, the paper maintained that we should compile and publish Gyeongbu, Sabu, Jabu, Jipbu, Yehak, and Neo-Confucian Chongseo in the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and distribute them home and abroad, make a database of the materials to give easy access to researchers, and translate them so that any modern people can read them in order to establish them as a collection of classics in East Asian studies and lead East Asian studies.
      번역하기

      It is utterly critical for us to preoccupy information and data, not to lose the research leadership, and take an academic position of advantage in order to lead East Asian studies. If we do not arrange, translate, and investigate our classics activel...

      It is utterly critical for us to preoccupy information and data, not to lose the research leadership, and take an academic position of advantage in order to lead East Asian studies. If we do not arrange, translate, and investigate our classics actively, there is a risk of our spiritual culture being distorted by foreigners.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Neo-Confucianism, and Yehak are part of the global spiritual culture heritage that was made to blossom to a higher level by us in the universal ideas of East Asia. It is thus urgent to publish a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Combined with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was our eager wish to compile and publish, make a database, and translate Gyeongbuchonggan. This paper thus estimated its directions.
      The Daedo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of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shed 146 volumes of Collection of Korea's Study of Chinese Classics in 1998, but the collection had many missing materials and several problems. There is a need to do a reexamination at the national level, collect data, and publish Classics of Korea -Gyeongbuchoseo. It is also needed to review aga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scope of recording befor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and make a database of the resulting books.
      Raising a need to translate the entire Gyeongbuchonggan and discussing the scope of what should be translated, the paper highlighted a need to translate Small Learning and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based on the actual circumstances of Joseon and also Geunsarok and Simgyeong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ir standard translations. The methods of transl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 common translation in principle. Translation teams should be formed by the Chinese classics and data, and an institutional device should be introduced to ensure the joint participation of expert researchers, translators, and follow-up generation research translators. Transl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consideration into Haeje works and publication of biographical dictionaries and glossaries.
      In conclusion, the paper maintained that we should compile and publish Gyeongbu, Sabu, Jabu, Jipbu, Yehak, and Neo-Confucian Chongseo in the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and distribute them home and abroad, make a database of the materials to give easy access to researchers, and translate them so that any modern people can read them in order to establish them as a collection of classics in East Asian studies and lead East Asian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려면 정보와 자료를 선점하고 연구의 주도권을 잃지 아니하여 학문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우리의 고전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고 번역하고 연구하지 않으면 외국인들에 의해 정신문화가 왜곡될 우려가 있으며, 경학․성리학․예학 등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상 속에서 우리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꽃피운 세계적인 정신문화유산이기 때문에 한국고전총서의 발간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으로 경부총간에 국한해 편찬간행하고, DB화하고, 번역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향방을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1998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한국경학자료집성 146책을 간행하였지만, 빠진 자료가 많고 몇 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재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해 한국고전-경부총서를 편찬할 필요성이 있으며, 편찬 간행할 적에 분류체계 및 수록범위를 재검토해야 하며, 책으로 간행을 하고 DB화할 필요도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경부총간 전체를 번역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번역대상의 범위를 논의하면서 조선시대 실제의 사정에 입각하여 『소학』 및 사서오경의 번역, 그리고 나아가 『근사록』과 『심경』까지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번역을 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또한 번역의 방법으로는, 원칙적으로 공동번역을 지향하여 경서별, 자료별로 번역팀을 구성하되 전문연구자, 번역자, 후속세대 연구번역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번역을 하면서 함께 고려해야 할 일로, 해제작업 및 인명사전과 용어사전 편찬 등을 거론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주도하려면 한국고전총서에 經部叢刊․史部叢刊․子部叢刊․集部叢刊 및 禮學叢刊․性理學叢刊 등을 편찬 간행하여 대내외에 반포하고, 또 그 자료를 DB화하여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것을 번역하여 현대인들이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하여 동아시학의 고전총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려면 정보와 자료를 선점하고 연구의 주도권을 잃지 아니하여 학문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우리의 고전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고...

      이 글은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려면 정보와 자료를 선점하고 연구의 주도권을 잃지 아니하여 학문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우리의 고전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고 번역하고 연구하지 않으면 외국인들에 의해 정신문화가 왜곡될 우려가 있으며, 경학․성리학․예학 등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상 속에서 우리가 보다 높은 수준으로 꽃피운 세계적인 정신문화유산이기 때문에 한국고전총서의 발간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으로 경부총간에 국한해 편찬간행하고, DB화하고, 번역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향방을 가늠해 본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1998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한국경학자료집성 146책을 간행하였지만, 빠진 자료가 많고 몇 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재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해 한국고전-경부총서를 편찬할 필요성이 있으며, 편찬 간행할 적에 분류체계 및 수록범위를 재검토해야 하며, 책으로 간행을 하고 DB화할 필요도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경부총간 전체를 번역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번역대상의 범위를 논의하면서 조선시대 실제의 사정에 입각하여 『소학』 및 사서오경의 번역, 그리고 나아가 『근사록』과 『심경』까지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번역을 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또한 번역의 방법으로는, 원칙적으로 공동번역을 지향하여 경서별, 자료별로 번역팀을 구성하되 전문연구자, 번역자, 후속세대 연구번역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번역을 하면서 함께 고려해야 할 일로, 해제작업 및 인명사전과 용어사전 편찬 등을 거론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동아시아학을 주도하려면 한국고전총서에 經部叢刊․史部叢刊․子部叢刊․集部叢刊 및 禮學叢刊․性理學叢刊 등을 편찬 간행하여 대내외에 반포하고, 또 그 자료를 DB화하여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것을 번역하여 현대인들이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하여 동아시학의 고전총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기, "旅軒 張顯光의 『大學』 해석 연구" 경남문화연구원 (57) : 159-191, 2018

      2 崔錫起, "조선시대 대학장구 개정과 그에 관한 논변" 보고사 2011

      3 李滉, "退溪集(한국문집총간 제29책)" 한국고전번역원 1988

      4 眞德秀, "西山讀書記"

      5 朱熹, "孟子集註" 학민문화사

      6 胡廣, "大學章句大全" 학민문화사

      7 朱熹, "大學章句" 학민문화사

      8 權近, "入學圖說" 을유문화사 1974

      9 최석기, "俛宇 郭鍾錫의 明德說 論爭 - 李承熙 許愈 金鎭祜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 경남문화연구원 (27) : 33-69, 2009

      1 최석기, "旅軒 張顯光의 『大學』 해석 연구" 경남문화연구원 (57) : 159-191, 2018

      2 崔錫起, "조선시대 대학장구 개정과 그에 관한 논변" 보고사 2011

      3 李滉, "退溪集(한국문집총간 제29책)" 한국고전번역원 1988

      4 眞德秀, "西山讀書記"

      5 朱熹, "孟子集註" 학민문화사

      6 胡廣, "大學章句大全" 학민문화사

      7 朱熹, "大學章句" 학민문화사

      8 權近, "入學圖說" 을유문화사 1974

      9 최석기, "俛宇 郭鍾錫의 明德說 論爭 - 李承熙 許愈 金鎭祜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 경남문화연구원 (27) : 33-6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Classics -> The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