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칼리 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 모르터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Alkali-Silica Reaction of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Mort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7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ansion of alkali-activated mortar based on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ontaining reactive aggregate due to alkali-silica re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behavior of these alkaline materials in the presence of reactive aggregates. The experimental program included expansion measurement of the mortar bar specimens, as well as the determination of the morphology and composition of the alkali-silica reaction products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EDX). The experiment showed that while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mortars showed expansion due to the alkali-silica reaction, the expansion was 0.1% at Curing Day 14, showing that it is safe. After the accelerated test, SEM and BEM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alkali-silica gel and rim around the aggregate and cement paste. According to the EDX, the reaction products decreased markedly as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was used. In addition, for the substitutive materials of mineral admixture, a further study on improving the quality of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s needed to assure of the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ansion of alkali-activated mortar based on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ontaining reactive aggregate due to alkali-silica re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ansion of alkali-activated mortar based on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ontaining reactive aggregate due to alkali-silica re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behavior of these alkaline materials in the presence of reactive aggregates. The experimental program included expansion measurement of the mortar bar specimens, as well as the determination of the morphology and composition of the alkali-silica reaction products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EDX). The experiment showed that while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mortars showed expansion due to the alkali-silica reaction, the expansion was 0.1% at Curing Day 14, showing that it is safe. After the accelerated test, SEM and BEM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alkali-silica gel and rim around the aggregate and cement paste. According to the EDX, the reaction products decreased markedly as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was used. In addition, for the substitutive materials of mineral admixture, a further study on improving the quality of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s needed to assure of the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반응성 골재를 함유한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알칼리-골재반응으로 인한 팽창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존재하고 있는 반응성 골재와 알칼리 재료들의 거동과 관련하여 특별히 관여되어 지고 있다. 실험 방법은 EDS, SEM을 통하여 알칼리-실리카 반응 생성물의 구성이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으며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모르터 바의 팽창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알칼리-활성화된 모르터는 알칼리실리카 반응 때문에 팽창이 되었지만 14일 재령에서 0.1%의 팽창률을 나타내어 알칼리-실리카반응에 대하여 안전한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촉진 실험 후 SEM과 BEM분석한결과 골재 주변과 시멘트 페이스트에 알칼리-실리카 겔 및띠 모양의 생성물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EDX에 따르면 반응생성물이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를 사용하였을경우 현격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광물학적혼화재료의 대체 재료로써 콘크리트 내구성의 특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은 반응성 골재를 함유한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알칼리-골재반응으로 인한 팽창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존재하고 있는 반응성 골재와 알칼...

      연구의 목적은 반응성 골재를 함유한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알칼리-골재반응으로 인한 팽창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존재하고 있는 반응성 골재와 알칼리 재료들의 거동과 관련하여 특별히 관여되어 지고 있다. 실험 방법은 EDS, SEM을 통하여 알칼리-실리카 반응 생성물의 구성이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으며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모르터 바의 팽창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알칼리-활성화된 모르터는 알칼리실리카 반응 때문에 팽창이 되었지만 14일 재령에서 0.1%의 팽창률을 나타내어 알칼리-실리카반응에 대하여 안전한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촉진 실험 후 SEM과 BEM분석한결과 골재 주변과 시멘트 페이스트에 알칼리-실리카 겔 및띠 모양의 생성물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EDX에 따르면 반응생성물이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를 사용하였을경우 현격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광물학적혼화재료의 대체 재료로써 콘크리트 내구성의 특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알칼리 활성화 고로슬래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폐유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황산마그네슘 저항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9 (9): 109-116, 2009

      2 김영수, "동제련 슬래그의 알칼리-실리카 반응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71-78, 2009

      3 Jeon SS, "The effect of meta-kaolin replacement on alkai-silica reaction" Korea Concrete Institute 360-363, 2004

      4 Fernandez-Jimenez A, "The alkali-silica reaction in alkali-activated granulated slag mortars with reactive aggregate" 32 (32): 1019-1024, 2002

      5 Stanton TE, "Expansion of concrete through reaction between cement and aggregat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781-1811, 1940

      6 Pettersson K, "Effects of silica fume on alkali-silica expansion in mortar specimens" 22 (22): 15-22, 1992

      7 George J Z, "Effectiveness of mineral admixtures in reducing asr expansion" 25 (25): 1225-1236, 1995

      8 Puertas F, "Alkali-aggregate behaviour of alkali-activated slag mortars: Effect of aggregate type" 31 (31): 277-284, 2009

      9 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ASTM C 490-97 ; Standard Practice for Use of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Length Change of Hardened Cement Paste, Mortar, and Concrete, In ASTM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2010" 19428-12959, 2010

      10 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ASTM C 1260-94 ;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s(Mortar-Bar Method), In ASTM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2007" 19428-12959, 2007

      1 김영수, "폐유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황산마그네슘 저항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9 (9): 109-116, 2009

      2 김영수, "동제련 슬래그의 알칼리-실리카 반응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71-78, 2009

      3 Jeon SS, "The effect of meta-kaolin replacement on alkai-silica reaction" Korea Concrete Institute 360-363, 2004

      4 Fernandez-Jimenez A, "The alkali-silica reaction in alkali-activated granulated slag mortars with reactive aggregate" 32 (32): 1019-1024, 2002

      5 Stanton TE, "Expansion of concrete through reaction between cement and aggregat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781-1811, 1940

      6 Pettersson K, "Effects of silica fume on alkali-silica expansion in mortar specimens" 22 (22): 15-22, 1992

      7 George J Z, "Effectiveness of mineral admixtures in reducing asr expansion" 25 (25): 1225-1236, 1995

      8 Puertas F, "Alkali-aggregate behaviour of alkali-activated slag mortars: Effect of aggregate type" 31 (31): 277-284, 2009

      9 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ASTM C 490-97 ; Standard Practice for Use of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Length Change of Hardened Cement Paste, Mortar, and Concrete, In ASTM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2010" 19428-12959, 2010

      10 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ASTM C 1260-94 ;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s(Mortar-Bar Method), In ASTM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2007" 19428-12959, 2007

      11 Jeong SJ,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fly ash as an Inorganic Binder" Han Yang University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6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