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차 병원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의 경험: 환자 만족도와 관련 요인 = Experience of Lifetime Health Maintenance Clinic in a Tertiary Hospital: Patients Satisfaction and Associated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0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Lifetime health maintenance program (LHMP) is designed for individualized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rough regular health check-ups and improving risk fact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tients’ satisfaction of lifetime health clinic (LHC) in a tertiary hospital and to evaluate associated factors in order to support primary health care strengthening policy.
      Methods:We conducted surveys for patients, who visited LHC in 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tertiary hospital from March 1st 2016 to December 31st 2016. We analyzed proportions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atients, who were willing to recommend LHC.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 to recommend LHC and associated factors were evalu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Among the pati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83.7% responded that they would recommend LHC to others. Results from multivariate analyses suggested that patients living in provinces (odds ratio [OR] 4.21, 95% confidence interval [CI], 1.36-13.02), patients who were recommend by others to visit LHC (OR 3.99, 95% CI, 1.29-12.35), and those who had a large number of medical service preference items (OR 5.91, 95% CI, 1.48-23.5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recommend LHC.
      Conclusions:LHC pursues the goal of primary care. Findings highlight the fact that high quality health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small and municipal hospitals to improve patients’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family physician networks and health service infrastructure that can reflect various opinions.
      번역하기

      Background:Lifetime health maintenance program (LHMP) is designed for individualized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rough regular health check-ups and improving risk fact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tients’ satisfaction of lifet...

      Background:Lifetime health maintenance program (LHMP) is designed for individualized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rough regular health check-ups and improving risk fact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tients’ satisfaction of lifetime health clinic (LHC) in a tertiary hospital and to evaluate associated factors in order to support primary health care strengthening policy.
      Methods:We conducted surveys for patients, who visited LHC in 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tertiary hospital from March 1st 2016 to December 31st 2016. We analyzed proportions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atients, who were willing to recommend LHC.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 to recommend LHC and associated factors were evalu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Among the pati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83.7% responded that they would recommend LHC to others. Results from multivariate analyses suggested that patients living in provinces (odds ratio [OR] 4.21, 95% confidence interval [CI], 1.36-13.02), patients who were recommend by others to visit LHC (OR 3.99, 95% CI, 1.29-12.35), and those who had a large number of medical service preference items (OR 5.91, 95% CI, 1.48-23.5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recommend LHC.
      Conclusions:LHC pursues the goal of primary care. Findings highlight the fact that high quality health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small and municipal hospitals to improve patients’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family physician networks and health service infrastructure that can reflect various opin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방법: 평생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통해 개개인에 적합한 질병예방과 위험요인의 개선을통한 건강증진을 목표로 고안된 정기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병원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을 이용한 환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평가하여일차의료 강화정책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방법:2016년 3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3차병원 가정의학과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을 방문한 184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평생건강관리클리닉에 대한 추천의향 여부에 따른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 등록계기, 등록횟수, 질병개수, 방문목적, 의료서비스 선호도 항목의 개수의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응답자 중 83.7%가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을 지인에게 권유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지인에게 권유하겠다는 응답자의 관련 요인으로는 지방 거주(OR 4.21; 95% CI, 1.36-13.02), 지인 추천을 계기로 방문한 경우(OR 3.99; 95% CI, 1.29-12.35), 의료서비스 선호도 항목의 개수가 많은 경우(OR 5.91; 95% CI, 1.48-23.58)가 있었다.
      결론: 평생건강관리클리닉에 대한 추천 의향도를 통하여평가된 환자의 만족도는 높았다. 환자의 만족도는 개인의특성 중에서도 거주지가 지방인 경우, 지인추천으로 등록한 경우 그리고 클리닉에서 제공받은 의료서비스 선호 항목의 개수가 많은 경우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중소도시 및 지방병원에서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양질의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고, 주치의 제도 네트워크 활성화및 다양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의료서비스 인프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연구방법: 평생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통해 개개인에 적합한 질병예방과 위험요인의 개선을통한 건강증진을 목표로 고안된 정기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

      연구방법: 평생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통해 개개인에 적합한 질병예방과 위험요인의 개선을통한 건강증진을 목표로 고안된 정기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병원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을 이용한 환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평가하여일차의료 강화정책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방법:2016년 3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3차병원 가정의학과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을 방문한 184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평생건강관리클리닉에 대한 추천의향 여부에 따른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 등록계기, 등록횟수, 질병개수, 방문목적, 의료서비스 선호도 항목의 개수의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응답자 중 83.7%가 평생건강관리클리닉을 지인에게 권유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지인에게 권유하겠다는 응답자의 관련 요인으로는 지방 거주(OR 4.21; 95% CI, 1.36-13.02), 지인 추천을 계기로 방문한 경우(OR 3.99; 95% CI, 1.29-12.35), 의료서비스 선호도 항목의 개수가 많은 경우(OR 5.91; 95% CI, 1.48-23.58)가 있었다.
      결론: 평생건강관리클리닉에 대한 추천 의향도를 통하여평가된 환자의 만족도는 높았다. 환자의 만족도는 개인의특성 중에서도 거주지가 지방인 경우, 지인추천으로 등록한 경우 그리고 클리닉에서 제공받은 의료서비스 선호 항목의 개수가 많은 경우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중소도시 및 지방병원에서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양질의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고, 주치의 제도 네트워크 활성화및 다양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의료서비스 인프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선,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총론" 대한가정의학회 30 (30): 761-768, 2009

      2 김수영, "한국인의 평생 건강관리 리뷰 방법론" 대한가정의학회 30 (30): 769-776, 2009

      3 봉승원, "주치의 제도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인식도 조사" 대한가정의학회 27 (27): 370-375, 2006

      4 정현진, "일차의료 강화를 위한 지불제도 개편방안" 대한의사협회 56 (56): 881-890, 2013

      5 김규식, "요소만족과 고객만족이 NPS(순추천고객지수)의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 부엌가구를 중심으로 -" 한국품질경영학회 37 (37): 58-67, 2009

      6 조홍준, "국민은 주치의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대한가정의학회 23 (23): 171-178, 2002

      7 Atun R., "What 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estructuring a health care system to be more focused on primary care services? 2004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8 Linder-Pelz SU., "Toward a theory of patient satisfaction" 16 (16): 577-582, 1982

      9 Dourgnon P, "The preferred doctor scheme: a political reading of a French experiment of gate-keeping" 94 (94): 129-134, 2010

      10 Macinko J, "The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systems to health outcomes withi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1970-1998" 38 (38): 831-865, 2003

      1 박민선,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총론" 대한가정의학회 30 (30): 761-768, 2009

      2 김수영, "한국인의 평생 건강관리 리뷰 방법론" 대한가정의학회 30 (30): 769-776, 2009

      3 봉승원, "주치의 제도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인식도 조사" 대한가정의학회 27 (27): 370-375, 2006

      4 정현진, "일차의료 강화를 위한 지불제도 개편방안" 대한의사협회 56 (56): 881-890, 2013

      5 김규식, "요소만족과 고객만족이 NPS(순추천고객지수)의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 부엌가구를 중심으로 -" 한국품질경영학회 37 (37): 58-67, 2009

      6 조홍준, "국민은 주치의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대한가정의학회 23 (23): 171-178, 2002

      7 Atun R., "What 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estructuring a health care system to be more focused on primary care services? 2004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8 Linder-Pelz SU., "Toward a theory of patient satisfaction" 16 (16): 577-582, 1982

      9 Dourgnon P, "The preferred doctor scheme: a political reading of a French experiment of gate-keeping" 94 (94): 129-134, 2010

      10 Macinko J, "The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systems to health outcomes withi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1970-1998" 38 (38): 831-865, 2003

      11 Park SM, "Public perception of the need for regular family doctors, their major role, and appropriate training duration" 3 (3): 124-131, 2013

      12 Kralj B, "Primary care in Ontario: reforms, investments and achievements" 79 (79): 18-24, 2012

      13 Strong K, "Preventing chronic diseases: how many lives can we save?" 366 (366): 1578-1582, 2005

      14 Starfield B, "Policy relevant determinants of health: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60 (60): 201-218, 2002

      15 Ghorbani A,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Family Physician Program in Sabzevar, Iran" 8 (8): 219-229, 2016

      16 Pascoe GC., "Patient satisfaction in primary health care: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6 (6): 185-210, 1983

      17 Ganasegeran K, "Patient satisfaction in Malaysia’s busiest outpatient medical care" 2015 : 714-754, 2015

      18 Li J,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primary care providers and hospitals: a cross-sectional survey in Jilin province, China" 28 (28): 346-354, 2016

      19 Hwang J, "Patient satisfaction as an outcome indicator" 13 (13): 29-39, 2001

      20 Kim EJ, "Measuring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in Korea in 2007" 127 (127): 806-813, 2013

      21 Cho HJ, "Factors associated with possession of regular doctor in Korea" 22 (22): 1612-1621, 2001

      22 Huh B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doctor registration program" 19 (19): 801-810, 1998

      23 Starfield B,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systems and health" 83 (83): 457-502, 2005

      24 Sun J, "Consumer satisfaction with tertiary healthcare in China: findings from the 2015 China National Patient Survey" 29 (29): 213-221, 2017

      25 Pini A, "Assessment of patient satisfaction of the quality of health care provided by outpatient services of an oncology hospital" 6 (6): 196-203, 2014

      26 Seo HG, "A telephone survey on the opinions about family doctor" 31 (31): 310-322,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