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 지역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요인 중 우울감과 건강상태의 영향 -우울감의 완전매개효과- =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 and Health Status on Several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The Fully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0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on several factors of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rural area. And we assessed if depressive symptom mediates fully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the rural area.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for the elderly mental health promotion project at the city health center. In the questionnaire, 200 people were interviewed by one of the public health center staffs directly. We analyzed a four step approach in which sever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significance of the coefficients was examined at each step.
      Results:The results from step 1 show that the total effect of health status(frail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Exp(β)=2.198, P=0.042). In step 2, the direct effect of health status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Exp(β)=3.925, P<0.001) too. Step 3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Exp(β)=7.115, P=0.001). Step 4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health status was not significant for suicidal ideation(P=0.322). 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finding supports that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the rural area was fully mediated by depressive symptom.
      Conclusions:Above finding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decrease depression in order to control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rural area. To do that, early diagnosis and developing programs to decrease elderly depression and organizational approach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reas and elderly circunstances are needed.
      번역하기

      Background: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on several factors of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rural area. And we assessed if depressive symptom mediates fully suicidal ideat...

      Background: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on several factors of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rural area. And we assessed if depressive symptom mediates fully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the rural area.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for the elderly mental health promotion project at the city health center. In the questionnaire, 200 people were interviewed by one of the public health center staffs directly. We analyzed a four step approach in which sever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significance of the coefficients was examined at each step.
      Results:The results from step 1 show that the total effect of health status(frail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Exp(β)=2.198, P=0.042). In step 2, the direct effect of health status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Exp(β)=3.925, P<0.001) too. Step 3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Exp(β)=7.115, P=0.001). Step 4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health status was not significant for suicidal ideation(P=0.322). 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finding supports that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the rural area was fully mediated by depressive symptom.
      Conclusions:Above finding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decrease depression in order to control suicidal ideation among living-alone elderly in rural area. To do that, early diagnosis and developing programs to decrease elderly depression and organizational approach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reas and elderly circunstances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우울감과 건강상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일개 시 지역 보건소에서노인정신건강증진사업을 위하여 관내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설문은 전체 200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직원이 직접 해당 가구를 방문하여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하였다. 자살생각과 우울감, 건강상태등과의 관계는 매개효과를 보기 위하여 4번의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건강상태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첫 번째, 건강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총 영향력은 유의하였고(Exp(β)=2.198, P=0.042), 두 번째 단계인 건강상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다(Exp(β)=3.925, P<0.001). 세 번째 단계로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유의하였는데(Exp(β)=7.115, P=0.001), 네 번째, 우울감을 통제한 후 건강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P=0.322). 즉, 건강상태는 우울감을 통제한 후에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이완전히 사라져, 우울감을 통해서만이 자살생각에 영향을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경제적 만족도는 자살생각이 있는 군이 3.5점으로 자살생각이 없는 군의 4.2점보다유의하게 낮았다(P=0.003).
      결론: 지역사회 독거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정신보건사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고 이후 건강상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우울감과 건강상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우울감과 건강상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일개 시 지역 보건소에서노인정신건강증진사업을 위하여 관내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설문은 전체 200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직원이 직접 해당 가구를 방문하여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하였다. 자살생각과 우울감, 건강상태등과의 관계는 매개효과를 보기 위하여 4번의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건강상태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첫 번째, 건강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총 영향력은 유의하였고(Exp(β)=2.198, P=0.042), 두 번째 단계인 건강상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다(Exp(β)=3.925, P<0.001). 세 번째 단계로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유의하였는데(Exp(β)=7.115, P=0.001), 네 번째, 우울감을 통제한 후 건강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P=0.322). 즉, 건강상태는 우울감을 통제한 후에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이완전히 사라져, 우울감을 통해서만이 자살생각에 영향을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경제적 만족도는 자살생각이 있는 군이 3.5점으로 자살생각이 없는 군의 4.2점보다유의하게 낮았다(P=0.003).
      결론: 지역사회 독거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정신보건사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고 이후 건강상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환식,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 (14): 191-202, 2010

      2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3 최광수, "지역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연구 - 다수준 분석을 활용하여 -"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84-594, 2016

      4 이홍자, "일 지역 재가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 (20): 12-22, 2009

      5 정일영,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64-177, 2013

      6 박찬경, "방문건강관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8 (38): 39-48, 2013

      7 이금룡,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62-189, 2013

      8 송영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643-660, 2010

      9 서인균,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19-247, 2016

      10 손정남,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 21 (21): 118-126, 2012

      1 황환식,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 (14): 191-202, 2010

      2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3 최광수, "지역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연구 - 다수준 분석을 활용하여 -"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84-594, 2016

      4 이홍자, "일 지역 재가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 (20): 12-22, 2009

      5 정일영,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64-177, 2013

      6 박찬경, "방문건강관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 조직애착도"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8 (38): 39-48, 2013

      7 이금룡,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62-189, 2013

      8 송영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 30 (30): 643-660, 2010

      9 서인균,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19-247, 2016

      10 손정남,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 21 (21): 118-126, 2012

      11 한삼성,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경험" 보건의료산업학회 6 (6): 29-38, 2012

      12 양옥경, "독거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7) : 321-347, 2011

      13 박봉길,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2) : 58-90, 2006

      14 김현순,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801-818, 2007

      15 김근영,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매개로 하여" 한국상담학회 10 (10): 651-668, 2009

      16 김창진, "노인성 질환과 우울증이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425-442, 2008

      17 이소정, "노인 자살의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19, 2010

      18 김진구, "가족형태가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35-56, 2011

      19 Baron R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0 Duberstein PR, "Suicide at 50 years of age and older: perceived physical illness, family discord and financial strain" 34 (34): 137-146, 2004

      21 Conwell Y,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52 (52): 193-204, 2002

      22 Buttler J,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16 (16): 607-615, 2007

      23 Brown JH, "Is it normal for terminally ill patients todesire death?" 143 (143): 208-211, 1986

      24 Chochinov HM, "Desire for death in the terminally ill" 152 (152): 1185-1191, 1995

      25 Park JH, "Clinical analysis of attempted suicide in the elderly" 12 (12): 135-142, 2001

      26 Beck AT,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47 (47): 343-352, 1979

      27 Shin M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9 (9): 1-19, 1990

      28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33 (33): 298-300, 1996

      29 Statistics Korea., "2015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