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격제도 연구 = A Study o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Child Car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27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육인력의 자질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영유아보육법 개정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와 질적 향상이 배경이 된 것으로, 따라서 그 주요 요인이 되는 보육교사의 자질 향상과 관련하여 보육교사 자격증 제도의 도입이 새로 포함되어 있다. 법은 자격증제도 도입 등 몇 가지 기본적 사항만 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하위법령에 위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보육인력 자격제도의 완비를 위해서는 하위법령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보육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자격제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현 자격제도의 주요 문제점으로 첫째, 자격증이 발급되지 않아 사회적 인정 정도가 약하고, 둘째, 보육교사 1급이 되기 위해 필요한 대학 교육내용의 질적 통제가 어렵고, 셋째, 현재의 보육시설장의 자격기준으로는 시설장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모니터링과 정책토론의 방법을 통해, 개정 법률이 위임하는 법적 테두리를 고려하면서 보육인력의 자질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대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보육인력의 자질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영유아보육법 개정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와 질적 향상이 배경이 된 것으로, 따라서 그...

      보육인력의 자질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영유아보육법 개정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와 질적 향상이 배경이 된 것으로, 따라서 그 주요 요인이 되는 보육교사의 자질 향상과 관련하여 보육교사 자격증 제도의 도입이 새로 포함되어 있다. 법은 자격증제도 도입 등 몇 가지 기본적 사항만 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하위법령에 위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보육인력 자격제도의 완비를 위해서는 하위법령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보육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자격제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현 자격제도의 주요 문제점으로 첫째, 자격증이 발급되지 않아 사회적 인정 정도가 약하고, 둘째, 보육교사 1급이 되기 위해 필요한 대학 교육내용의 질적 통제가 어렵고, 셋째, 현재의 보육시설장의 자격기준으로는 시설장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모니터링과 정책토론의 방법을 통해, 개정 법률이 위임하는 법적 테두리를 고려하면서 보육인력의 자질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대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quality of child care workers is one of key determinants affect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e recent amendment of Child Care Act in Korea
      was drawn on the idea of both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provision and placing more emphasis on public responsibility. Naturally, a part of the amendment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a new cert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In Roman law system where a hierarchy exists among different laws, it is
      generally done that an upper law delegates the details of its implementation to a lower law such as practice ordinance. So, it is necessary to have Child Care Act supplemented by sub-laws that specifies the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measures of the Act.
      Having these points in mi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qual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and possible alternative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번역하기

      The quality of child care workers is one of key determinants affect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e recent amendment of Child Care Act in Korea was drawn on the idea of both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provision and pl...

      The quality of child care workers is one of key determinants affect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e recent amendment of Child Care Act in Korea
      was drawn on the idea of both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provision and placing more emphasis on public responsibility. Naturally, a part of the amendment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a new cert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In Roman law system where a hierarchy exists among different laws, it is
      generally done that an upper law delegates the details of its implementation to a lower law such as practice ordinance. So, it is necessary to have Child Care Act supplemented by sub-laws that specifies the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measures of the Act.
      Having these points in mi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qual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and possible alternative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자격제도에 관한 이론적 접근
      • Ⅲ. 구(舊)법 자격제도의 문제점
      • Ⅳ. 자격제도에 관한 쟁점과 대안 모색
      • 요약
      • Ⅰ. 서론
      • Ⅱ. 자격제도에 관한 이론적 접근
      • Ⅲ. 구(舊)법 자격제도의 문제점
      • Ⅳ. 자격제도에 관한 쟁점과 대안 모색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복, "정책학 강의" 대영문화사 2000

      2 이흥재, "정책분석론" 2005

      3 "시설장 및 보육교사 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환경에 대한 평가」" (17), 1999

      4 "사회복지사업법"

      5 서문희, "보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대안 연구" 여성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6 "보육인력의 수급 적절성 및 전문성에 대한 평가" 『보육시설확충 3개년 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7 "보육인력 자격관리체계 개선방안? 『21C 보육사업 선진화를 위한 보육제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8 김형식,지성애,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질적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7, 1999

      9 "보육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 영유아보육사업의 개혁 과제』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94

      10 권혁진,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경인지역에 위치한 국·공립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2, 1995

      1 박성복, "정책학 강의" 대영문화사 2000

      2 이흥재, "정책분석론" 2005

      3 "시설장 및 보육교사 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환경에 대한 평가」" (17), 1999

      4 "사회복지사업법"

      5 서문희, "보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대안 연구" 여성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6 "보육인력의 수급 적절성 및 전문성에 대한 평가" 『보육시설확충 3개년 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7 "보육인력 자격관리체계 개선방안? 『21C 보육사업 선진화를 위한 보육제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8 김형식,지성애,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질적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7, 1999

      9 "보육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 영유아보육사업의 개혁 과제』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94

      10 권혁진,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경인지역에 위치한 국·공립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2, 1995

      11 한국여성개발원,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여성개발원, 1998

      12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관, "보육사업안내" 서울특별시 2006

      13 김형식,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에 나타난 문제점"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6

      14 정민자, "보육교사 교육훈련과목의 적정성 검토 및 개편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 2005

      15 "각 단체 및 기관들의 의견서" 2004

      16 서문희, "가정보육시설과 보육인력 자격관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7 Ritzer, "Working: Conflicts and change (1st ed.)" 1977

      18 Bloom,Sheerer, "The effect of leadership training on child care program quality" 1992

      19 "Evidence from NAEYC's accreditation system" 1989

      20 "A Search for consistency"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