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 교육과정을 다시 생각해보기: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발달의 교육과 교육과정 설계 = Re-Thinking Local Curriculum: Human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sign based on Local Lif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의 중앙 교육과정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혹은 학교 교육과정과 국가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중간적 위치로 기능해온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넘어서서 그 본질적 성격을 탐색해본다. 그 중심으로 지역 교육과정과 인간 삶의 문제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지역은 인간 삶의 토대로서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 발달의
      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이 지역 교육과정의 기본 정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육 과정의 이해 방식과 이를 구체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해본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기본 취지에도 부합한다. 이제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이나 학교 교육과정과의 매개적이거나 보조적 수단이 아닌 그 자체의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의 중앙 교육과정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혹은 학교 교육과정...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의 중앙 교육과정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혹은 학교 교육과정과 국가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중간적 위치로 기능해온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넘어서서 그 본질적 성격을 탐색해본다. 그 중심으로 지역 교육과정과 인간 삶의 문제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지역은 인간 삶의 토대로서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 발달의
      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이 지역 교육과정의 기본 정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육 과정의 이해 방식과 이를 구체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해본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기본 취지에도 부합한다. 이제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이나 학교 교육과정과의 매개적이거나 보조적 수단이 아닌 그 자체의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s a discourse against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ocal curriculum. The local or regional curriculum has a strong tendency to func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the national central curriculum or a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this study, we go beyo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rriculum and explore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We would like to approach the problem of the local curriculum and human life as the center of it. Regions or cites are the basis of human life and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A curriculum that pursues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based on local life should be the basic spirit of the local curriculum. To this end, we propose a method of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and a new curriculum design method that can materialize it. This method is also in line with the basic purpose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Now,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local curriculum, not as a mediating or auxiliary means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r school curriculum.
      번역하기

      Recently, as a discourse against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ocal curriculum. The local or regional curriculum has a strong tendency to func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the national central curriculum or as an in...

      Recently, as a discourse against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ocal curriculum. The local or regional curriculum has a strong tendency to func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the national central curriculum or a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this study, we go beyo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rriculum and explore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We would like to approach the problem of the local curriculum and human life as the center of it. Regions or cites are the basis of human life and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A curriculum that pursues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based on local life should be the basic spirit of the local curriculum. To this end, we propose a method of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and a new curriculum design method that can materialize it. This method is also in line with the basic purpose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Now,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local curriculum, not as a mediating or auxiliary means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r school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터를 지키고 사는 인간 활동
      • Ⅲ. 지역 삶의 현장을 살리는 교육과정 구상
      • IV. 현장중심 교육과정(site-Based Curriculum)의 설계
      • V. 인간발달의 교육과정론: 현장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융화
      • Ⅰ. 서론
      • Ⅱ. 터를 지키고 사는 인간 활동
      • Ⅲ. 지역 삶의 현장을 살리는 교육과정 구상
      • IV. 현장중심 교육과정(site-Based Curriculum)의 설계
      • V. 인간발달의 교육과정론: 현장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융화
      • Ⅵ. 나가며: 지역 삶의 경험과 진정한 지식교육의 통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