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민사회운동과 정당의 관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n Relations and Types of Civil Society Movement(NGO) and Pa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4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Relations and Types of Civil Society Movement(NGO) and Party.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POS) that is used as the framework for this paper are composed of two elements. One is official political institution, especia...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Relations and Types of Civil Society Movement(NGO) and Party.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POS) that is used as the framework for this paper are composed of two
      elements. One is official political institution, especially electoral system which directly influenced on
      the relation of NGO and Party. The other is the availability of political coalition that is index of cleavage or ally of elites. The combination of this two variables produce four types. The first model is independent party model, Which is typical of green parties of Europe. The PR System and alliance with new left party formed this model. The second model is policy alliance model of America. Simple majority vote and the Coalition of established party induced this type. The third model is alternative
      movement-party model of Eastern Europe. The Civic groups of Eastern Europe are forced to take
      government due to the newly introduced PR system and the collapse of communist party. The last model is apolitical model of Korea. The absence of political ally and first past the post give rise to this mod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민사회운동과 정당의 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에서 정치적 기회구조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공식적 정치제도, 특히 운동과 정당의 관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거제도이고, ...

      시민사회운동과 정당의 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에서 정치적 기회구조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공식적 정치제도, 특히 운동과 정당의 관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거제도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동맹의 이용가능성이다. 이러한 선거제도와 정치동맹의 결합이 만들어 낸 정치적 기회구조의 개방성 정도에 따라 운동-정당의 관계를 네 가지 모델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서유럽 녹색당으로 상징되는 독자적 정당화 모델이다. 비례대표제라는 선거제도와 유럽의회라는 독특한 정치제도는 녹색당의 정치적 실험을 안정적으로 정착시켜왔다. 아울러, 신좌파 정당과의 협력과 연대는 녹색당이 대표하였던 신사회운동의 이슈와 가치를 중요한 정치 의제이자 선거 이슈로 보편화시켰다. 둘째는 미국의 로비와 정치활동위원회(PAC)로 상징되는 정책협력 모델이다. 양당제와 다수제라는 완고한 선거제도는 독자적 정당화를 가로막은 제도적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대신, 운동이 선택한 전략은 우호적 정당과의 정책 협력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셋째는 동유럽에서 일반화된 대안적 정당-정부 모델이다. 새롭게 도입된 비례대표제의 도입은 운동의 정당으로의 변화를 촉진하였고, 공산당의 붕괴와 분열이 가져온 정치사회의 공백은 운동으로 하여금 대안 정부를 자임하게 만들었다. 끝으로, 선거제도의 장벽과 정치동맹의 부재 속에서 안정적 관계의 구축보다는 간헐적 정치 도전과 개인적 정치 충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비정치 모델이 있다. 정치적 중립성을 고수해야 한다는 현재의 지배적 담론은 시민운동의 정치적 진출의 성패를 결정한 독립 변수가 아니라 정치적 기회구조의 폐쇄성이 가져온 종속변수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래, "한국과 캐나다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 비교 연구" 제3섹터연구소 3 (3): 111-141, 2005

      2 박재묵, "한국 시민운동의 정치세력화 방향: 환경운동연합과 대전지역 시민운동단체의 지방선거 참여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3 이재명, "정당과 시민단체"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73-100, 2004

      4 홍일표, "전략적 용량의 한계에 도달한 한국시민운동의 정치적 중립: 중립성의 도그마에 대하여" 참여사회연구소 (3) : 2003

      5 오재일, "일본의 혁신자치체에 관한 고찰" 33 (33): 1999

      6 김옥구, "일본의 혁신자치체 탄생과 그 정책" 3 : 1996

      7 서두원, "신사회운동의 제도화와 민주주의의 발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8 권태환, "신사회운동과 정치: 정치세력화의 요인과 쟁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9 정대화, "시민운동의 관점에서 본 진보정당-민주노동당과 시민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4) : 41-64, 2004

      10 고상두, "시민운동에서 정당으로의 이행: 구동독 반체제 그룹의 한계" 29 : 1998a

      1 김영래, "한국과 캐나다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 비교 연구" 제3섹터연구소 3 (3): 111-141, 2005

      2 박재묵, "한국 시민운동의 정치세력화 방향: 환경운동연합과 대전지역 시민운동단체의 지방선거 참여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3 이재명, "정당과 시민단체"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73-100, 2004

      4 홍일표, "전략적 용량의 한계에 도달한 한국시민운동의 정치적 중립: 중립성의 도그마에 대하여" 참여사회연구소 (3) : 2003

      5 오재일, "일본의 혁신자치체에 관한 고찰" 33 (33): 1999

      6 김옥구, "일본의 혁신자치체 탄생과 그 정책" 3 : 1996

      7 서두원, "신사회운동의 제도화와 민주주의의 발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8 권태환, "신사회운동과 정치: 정치세력화의 요인과 쟁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9 정대화, "시민운동의 관점에서 본 진보정당-민주노동당과 시민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4) : 41-64, 2004

      10 고상두, "시민운동에서 정당으로의 이행: 구동독 반체제 그룹의 한계" 29 : 1998a

      11 김영래, "시민단체의 정치참여 발전 방향" 2000

      12 오현철, "시민단체의 선거참여 활동을 제약하는 요인 분석: '담론적 기회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05-123, 2004

      13 이희수, "세계화시대에 노동운동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운동의 대중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14 아렌드 레이파아트서주실 역, "선거제도와 정당제: 27개 민주주의 국가를 대상으로(1945-1990)" 삼지원 1997

      15 김재한 편, "서구 정당체제의 재정렬" 1994

      16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17 장훈, "민주주의의 위기와 정당, 시민운동: 영국의 경험" 한국정치학회 2000

      18 이시재, "동아시아의 변동과 신사회운동의 정치세력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19 고상두, "동국 민주화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13 (13): 1998b

      20 Burnstein, Paul, "The Success of Political Movement: A Bargaining Perspective" University of MinnesotaPress 1995

      21 Gamson, "The Strategy of Social Protes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0

      22 Jenkins, J. Craig, "The Politics of Social Protest" University of MinnesotaPress 1995

      23 Kriesi, Hanspeter,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of New Social Movements: Its Impact onTheir Mobilization" The Politics of Social Protest,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5

      24 "The New Rol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Central and EasternEurope after the Collapse of Communist Regime" Auflage. 1995

      25 Koopmans, "The Dynamics of Protest Waves 1965 to 1989" 1993

      26 Fower, Alan, "Strengthening Civil Society in Transition Economy-From Concepts to Strategy" INTRAC 1996

      27 Dalton, J. Russel, "Strategies of Partisan Influence: West European Environmental Groups" University ofMinnesota Press 1995

      28 Misztal, Bronislaw, "Starting from Scratch Is Not Always the Same: ThePolitics of Protest and the post-communist Transitions in Poland and Hungary" The Politics of Social Protest,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5

      29 Hanagen, Michael, "Social Movements: incorporation, Disengagement, and Opportunities"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1998

      30 Claus, "Reflection on the Institutional Self-Transformation of Movement Politics New Social andPolitical Movements in Western Democrac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31 Kriesi, Hanspeter, "New SocialMovements in Western Europ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5

      32 Herbert, "New Social Movements and the Decline of Party Organization" 1990

      33 정상호, "NGO를 넘어서: 이익정치의 이론화와 민주화를 위한 탐색" 한울 2006

      34 Illner, Michal, "Local Democratization in Czech Republic After 1989" M.E. Sharpe 1998

      35 Norris, Pippa, "Legislative Recruitment" LeDuc. Comparing Democracies 1996

      36 Goldstone, Jack A, "Introduction: Bridging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7 Rychard, Andrzej, "Institutions and Actors in New Democracy" Power in Mov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8 Dryzek, John S, "Green States and Social Movements: Environmentalism in the United States,United Kingdom, Germany, and Norway" Oxford University 2003

      39 Bomberg, Elizabeth, "Green Parties and Politics in the European Union, Routledge" 1998

      40 Gamson, William, "Framing Political Opportunity"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1996

      41 McAdam, Doug, "Conceptual origins, current problems, future direc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42 McAdam, "Comparative Perspective on Social Movements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Move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Dalton, "Citizen Politics in Western Democracies" Chatham HousePublishers 1988

      44 Baumgartner, Frank R, "Basic Intere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45 Miszlivetz, Ferencand, "An Emerging Paradox: Civil Society from Above" M.E. Sharpe 1998

      46 Meyer, David, "A Movement Society: Contentious Politics for a NewCentury" Lanham, Rowman & LittleField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3 1.65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