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어교육 자료로서 광고의 활용 : 모의수업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7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eliminary study of utilizing advertising English for instructional materials. The study also aims to explore students’ opinions about English advertisements as authentic materials for EFL instruction. For the purpose, an experiment along wit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erms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ere also compared.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Moreover, advertising English is useful for enhancing students’ interests in EFL classes and gaining understanding of American cultur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employing advertisements for EFL instruction and the instructor’s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nd utilizing appropriate materials are discussed.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on how to employ English advertisements for effective Enlish instru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eliminary study of utilizing advertising English for instructional materials. The study also aims to explore students’ opinions about English advertisements as authentic materia...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eliminary study of utilizing advertising English for instructional materials. The study also aims to explore students’ opinions about English advertisements as authentic materials for EFL instruction. For the purpose, an experiment along wit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erms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ere also compared.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Moreover, advertising English is useful for enhancing students’ interests in EFL classes and gaining understanding of American cultur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employing advertisements for EFL instruction and the instructor’s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nd utilizing appropriate materials are discussed.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on how to employ English advertisements for effective Enlish instr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인용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희선, "중국 광고언어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12 : 355-372, 2002

      2 김완, "영어 교육과정을 통한 미디어 교육 시안 연구: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01

      3 김수정, "영어 광고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및 교육적 활용" 새한영어영문학회 49 (49): 229-252, 2007

      4 김수정, "영어 광고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일탈,열림,그리고 위반-"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255-275, 2009

      5 문용, "영어 광고문과 의도적 모호성" 22 : 111-119, 1981

      6 김지영, "영어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6

      7 이성하, "언어와 문화: 광고로 배우는 미국 영어 - 미국 문화" 경진문화사 2005

      8 광고 DVD, "세계우수광고영화제: 수상작시사회"

      9 김대행, "방송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0 남유선, "독일어 광고 문구를 이용한 독일어 수업모형" 15 : 157-173, 2001

      1 문희선, "중국 광고언어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12 : 355-372, 2002

      2 김완, "영어 교육과정을 통한 미디어 교육 시안 연구: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01

      3 김수정, "영어 광고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및 교육적 활용" 새한영어영문학회 49 (49): 229-252, 2007

      4 김수정, "영어 광고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일탈,열림,그리고 위반-"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255-275, 2009

      5 문용, "영어 광고문과 의도적 모호성" 22 : 111-119, 1981

      6 김지영, "영어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6

      7 이성하, "언어와 문화: 광고로 배우는 미국 영어 - 미국 문화" 경진문화사 2005

      8 광고 DVD, "세계우수광고영화제: 수상작시사회"

      9 김대행, "방송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0 남유선, "독일어 광고 문구를 이용한 독일어 수업모형" 15 : 157-173, 2001

      11 류성기, "광고와 국어교육" 101 : 21-38, 2000

      12 이관규, "광고와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17 (17): 335-364, 2003

      13 정동규, "광고언어의 언어학적 활용 방안 연구" 14 : 181-203, 2001

      14 이은희, "광고언어의 생략 현상" 103 : 165-186, 2000

      15 현완송, "광고언어에 나타난 외래어 사용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49 (49): 303-323, 2007

      16 신명선, "광고 텍스트의 문화적 의미와 국어 교육" 103 : 79-106, 2000

      17 서동훈, "광고 재밌잖아 그래, 영어도 재밌잖아" 내하출판사 2002

      18 김혜숙, "광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과 실제: 특히 문법 교육에 광고 언어를 적용하기 위하여" 105 : 1-35, 2001

      19 윤여탁, "광고 언어를 활용한 국어과 교재개발연구(한국교원대 교과교육공동연구보고서)" 한국교원대 2001

      20 Hafernik, J, "Using Radio Commercials as Supplementary Materials in ESL Listening Classes" 13 (13): 341-345, 1979

      21 Tom,G, "The Use of Rhetorical Devices in Advertising" 39 (39): 39-, 1999

      22 Salomon,G, "Television is Easy and Print is Tough: the Differential Investment of Mental Effort in Learning as a Function of Perceptions and attributions" 76 : 647-658, 1984

      23 Erkaya,R, "TV Commercials as Authentic Materials to Teach Communication, Culture, and Critical Thinking" 29 (29): 38-53, 2005

      24 Picken,J, "State of the Ad: the Role of Advertisements in EFL Teaching" 53 (53): 249-254, 1999

      25 Lee,J, "Linguistic Constructions of Modernity: English Mixing in Korean Television Commercials" 35 : 59-91, 2006

      26 Furmanovsky,M, "Content Video in the EFL Classroom" 1996

      27 Narikiyo,H, "A Proposal on Language Teaching: TV Commercials as Good Teaching Material" 10 : 103-117,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naguage & Literature ->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New Korean Association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7 0.44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