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은하,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한국, 베트남, 태국의<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 : 73-116, 2017
2 HO THI THU HUONG, "한국과 베트남의 세시민요 비교 - 4대 명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49-73, 2016
3 세버린, "커뮤니케이션 이론 : 연구방법과 이론의 활용" 나남 2004
4 오정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설화의 활용 ―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7) : 177-210, 2008
5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2" 나남 2006
6 "유네스코 세계보고서: 문화다양성과 문화간 대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7 오정미, "설화 <아기장수>의 다문화적 접근과 문화교육"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6) : 39-59, 2014
8 신동흔, "새로운 한국어문학으로서 이주민 설화 구술의 성격과 의의-다문화 문식성의 질적 심화와 확장을 위하여-" 국어국문학회 (180) : 281-323, 2017
9 김현재, "베트남 속담의 유형과 그에 내재된 전통 관념의 특징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43 : 157-187, 2017
10 박선영,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21-149, 2014
1 하은하,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한국, 베트남, 태국의<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 : 73-116, 2017
2 HO THI THU HUONG, "한국과 베트남의 세시민요 비교 - 4대 명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49-73, 2016
3 세버린, "커뮤니케이션 이론 : 연구방법과 이론의 활용" 나남 2004
4 오정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설화의 활용 ―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7) : 177-210, 2008
5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2" 나남 2006
6 "유네스코 세계보고서: 문화다양성과 문화간 대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7 오정미, "설화 <아기장수>의 다문화적 접근과 문화교육"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6) : 39-59, 2014
8 신동흔, "새로운 한국어문학으로서 이주민 설화 구술의 성격과 의의-다문화 문식성의 질적 심화와 확장을 위하여-" 국어국문학회 (180) : 281-323, 2017
9 김현재, "베트남 속담의 유형과 그에 내재된 전통 관념의 특징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43 : 157-187, 2017
10 박선영,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21-149, 2014
11 최원오, "맨 처음 사람이 생겨난 이야기" 미세기 2016
12 오정미,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15
13 권오경, "다문화사회 통합을 위한 민요의 역할과 방향" 한국민요학회 30 : 41-73, 2010
14 James A. Banks, "다문화교육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16
15 이성희, "다문화 역량 신장을 위한 동아시아 이야기 콘텐츠의 주제론적 접근: <콩쥐팥쥐>와 <섭한(葉限)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1 (11): 37-58, 2017
16 김경회, "다문화 가정의 자녀 교육을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의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8) : 733-764, 2010
17 신동흔, "구술소통능력과 구비문학 : 설화의 인지체계와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33) : 59-92, 2016
18 안미영, "고전설화를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12
19 하은하, "결혼 이주 여성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문학치료적 의미 ―베트남 설화집 '영남척괴열전' 소재 <일야택전>과 <서과전>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33) : 227-264, 2011
20 양민정, "「나무꾼과 선녀」형 설화의 비교를 통한 다문화 가정의 가족의식 교육 연구 - 한국. 중국. 베트남. 몽골 설화를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45-65, 2012
21 이인경, "<호랑이가 준 보자기> 설화 속의 ‘소통․공감․보살핌윤리’" 국문학회 (27) : 233-263, 2013
22 손석춘, "<아기장수> 설화의 ‘내적 소통’에 관한 시론" 한국문학치료학회 33 : 43-6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