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 위구르어 어휘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92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明)나라 초엽부터 청(淸)나라 중엽에 걸쳐 중국어와 주변 여러 민족어와의 대역 어휘집(對譯 語彙集) (및 문례집(文例集))이 편찬되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화이역어(華夷譯語)라고 부른다.
      신청자는 그동안 00대에 소장되어 있는, 19 개 문(門), 820 여개 어휘로 이루어진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丙種本) 위구르어 자료 중 4 개 문(門)의 어휘 자료를 Edwin G. Pulleyblank의 Lexicon of Reconstructed Pronunciation in Early Middle Chinese, Late Middle Chinese, and Early Mandarin(1991)에 근거하여 재구하고, Shōgaito Masahiro(庄垣內正弘)의 독법, 현대 위구르어의 형태, 18세기 말 오체청문감(五體淸文鑑)의 위구르어 형태, Sir Gerard Clauson의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1972)의 자료와도 비교, 분석하여 영어로 글을 작성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서 논문으로 발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문(天文門) 85 항목과 조수문(鳥獸門) 53 항목의 어휘 자료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연구진행과정이나 연구종료 이후 영어로 글을 작성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가능하면 국제 전문 학술지에 게재하여 전 세계의 튀르크학 전공자들이 이용하게 할 것이다. 을종본과 병종본의 위구르어 어휘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구 과정에서 병종본 어휘와 관련이 있는 을종본 어휘 자료가 있을 경우에는 L. Ligeti의 상세한 논문(1966, 1967, 1968, 1969) 및 Mağfiret Kemal Yunusoğlu(2012)에서 다루어진 것들을 인용한다. 이들 연구결과물을 통하여 향후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존하는 위구르어 자료가 들어 있는 병종본 판본 6 개 중 아직 확보하지 못한 5 개 (00대 부본의 원본을 부본과 동일한 것으로 여길 경우에는 4 개) 모두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이들 사본은 확보되는 대로 연구에 활용된다. 이 연구와는 별도로 장차 현존 판본 모두를 확보하여 19 개 문(門)의 어휘들을 대조, 분석하면 원전의 오류를 바로잡아 모든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丙種本) 위구르어 자료가 만들어질 것이다.
      번역하기

      명(明)나라 초엽부터 청(淸)나라 중엽에 걸쳐 중국어와 주변 여러 민족어와의 대역 어휘집(對譯 語彙集) (및 문례집(文例集))이 편찬되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화이역어(華夷譯語)라고 부른다. ...

      명(明)나라 초엽부터 청(淸)나라 중엽에 걸쳐 중국어와 주변 여러 민족어와의 대역 어휘집(對譯 語彙集) (및 문례집(文例集))이 편찬되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화이역어(華夷譯語)라고 부른다.
      신청자는 그동안 00대에 소장되어 있는, 19 개 문(門), 820 여개 어휘로 이루어진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丙種本) 위구르어 자료 중 4 개 문(門)의 어휘 자료를 Edwin G. Pulleyblank의 Lexicon of Reconstructed Pronunciation in Early Middle Chinese, Late Middle Chinese, and Early Mandarin(1991)에 근거하여 재구하고, Shōgaito Masahiro(庄垣內正弘)의 독법, 현대 위구르어의 형태, 18세기 말 오체청문감(五體淸文鑑)의 위구르어 형태, Sir Gerard Clauson의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1972)의 자료와도 비교, 분석하여 영어로 글을 작성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서 논문으로 발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문(天文門) 85 항목과 조수문(鳥獸門) 53 항목의 어휘 자료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연구진행과정이나 연구종료 이후 영어로 글을 작성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가능하면 국제 전문 학술지에 게재하여 전 세계의 튀르크학 전공자들이 이용하게 할 것이다. 을종본과 병종본의 위구르어 어휘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구 과정에서 병종본 어휘와 관련이 있는 을종본 어휘 자료가 있을 경우에는 L. Ligeti의 상세한 논문(1966, 1967, 1968, 1969) 및 Mağfiret Kemal Yunusoğlu(2012)에서 다루어진 것들을 인용한다. 이들 연구결과물을 통하여 향후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존하는 위구르어 자료가 들어 있는 병종본 판본 6 개 중 아직 확보하지 못한 5 개 (00대 부본의 원본을 부본과 동일한 것으로 여길 경우에는 4 개) 모두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이들 사본은 확보되는 대로 연구에 활용된다. 이 연구와는 별도로 장차 현존 판본 모두를 확보하여 19 개 문(門)의 어휘들을 대조, 분석하면 원전의 오류를 바로잡아 모든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丙種本) 위구르어 자료가 만들어질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