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자유주의적 시장 유토피아에 대한 비판  :  시장주의를 넘어 민주적 공공성의 재구축에로 = A Critique of Neoliberal Market Utopi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75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신자유주의의 핵심 논리들을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신자유주의의 핵심적 주장을 시장 유토피아로 보고 그 논리적 한계를 구체화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구체화하기 위해 우선 신자유주의의 재등장이 어떤 역사적 맥락 속에 있는지를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관련성의 문제라는 틀에서 다룬다. 그 다음에 시장을 자기조정적인 완결적 체계로 보는 시장 근본주의자들의 입장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마지막 단락에서는 민주주의적 원리에 의한 시장사회의 수정이 왜 필수적인가를 다룸으로써 시장과 민주주의의 연결 가능성을 살핀다.
      번역하기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신자유주의의 핵심 논리들을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신자유주의의 핵심적 주장을 시장 유토피아로 보고 그 논리적 한계를 구체...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신자유주의의 핵심 논리들을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신자유주의의 핵심적 주장을 시장 유토피아로 보고 그 논리적 한계를 구체화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구체화하기 위해 우선 신자유주의의 재등장이 어떤 역사적 맥락 속에 있는지를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관련성의 문제라는 틀에서 다룬다. 그 다음에 시장을 자기조정적인 완결적 체계로 보는 시장 근본주의자들의 입장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마지막 단락에서는 민주주의적 원리에 의한 시장사회의 수정이 왜 필수적인가를 다룸으로써 시장과 민주주의의 연결 가능성을 살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goal of this article is to criticise some crucial doctrines of Neoliberalism(market utopianism) and propose an alternative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m. To actualize this goal, I dealt with the meanings of renaissance of classical economic liberalism named Neoliberalism or market utopianism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 between liberalism and democracy at the first section. At the second section I dealt with the logical limits and contradictions of main propositions of market fundamentalists who argue that the market must be considered as a self-regulation system. Finally, I attempted to make clear some reasons why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market society by the democratic principles. In other words, it is stressed that the democratic control of market system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the complete control of market system by the state.
      번역하기

      The main goal of this article is to criticise some crucial doctrines of Neoliberalism(market utopianism) and propose an alternative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m. To actualize this goal, I dealt with the meanings of renaissance of classical economic ...

      The main goal of this article is to criticise some crucial doctrines of Neoliberalism(market utopianism) and propose an alternative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m. To actualize this goal, I dealt with the meanings of renaissance of classical economic liberalism named Neoliberalism or market utopianism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 between liberalism and democracy at the first section. At the second section I dealt with the logical limits and contradictions of main propositions of market fundamentalists who argue that the market must be considered as a self-regulation system. Finally, I attempted to make clear some reasons why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market society by the democratic principles. In other words, it is stressed that the democratic control of market system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the complete control of market system by the st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들어가는 말
      • 1. 경제적 자유주의로 인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연결성의 약화
      • 2. 자기 조절적 시장경제의 신화에 대한 비판
      • 3. 시장사회에서 사회적 연대와 결합된 민주적 시장사회를 향해
      • [논문개요]
      • 들어가는 말
      • 1. 경제적 자유주의로 인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연결성의 약화
      • 2. 자기 조절적 시장경제의 신화에 대한 비판
      • 3. 시장사회에서 사회적 연대와 결합된 민주적 시장사회를 향해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