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와 자녀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Work⋅home Balance Confli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in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d Mo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9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일⋅양육 양립, 일⋅가족 양립)의 매개효과와 자녀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현재 취업상태인 어머니 8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첫째, 청소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일⋅양육 양립 갈등, 일⋅가족 양립 갈등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직무만족은 중간 수준이었고, 자녀감독 수준은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양육 양립 갈등, 일⋅가족 양립 갈등은 높아지고 자녀감독과 직무만족은 낮아졌다. 셋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일⋅양육 양립 갈등과 일⋅가족 양립 갈등을 거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양육 양립 갈등과 일⋅가족 양립 갈등이 높아지고, 이렇게 높아진 일⋅가정 양립 갈등은 직무만족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일⋅가정 양립 갈등을 거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자녀감독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감독이 높은 취업모에 비해 자녀감독이 낮은 취업모는 양육스트레스가 일⋅가정 양립 갈등을 경유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컸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일⋅양육 양립, 일⋅가족 양립)의 매개효과와 자녀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일⋅양육 양립, 일⋅가족 양립)의 매개효과와 자녀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현재 취업상태인 어머니 8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첫째, 청소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일⋅양육 양립 갈등, 일⋅가족 양립 갈등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직무만족은 중간 수준이었고, 자녀감독 수준은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양육 양립 갈등, 일⋅가족 양립 갈등은 높아지고 자녀감독과 직무만족은 낮아졌다. 셋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일⋅양육 양립 갈등과 일⋅가족 양립 갈등을 거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양육 양립 갈등과 일⋅가족 양립 갈등이 높아지고, 이렇게 높아진 일⋅가정 양립 갈등은 직무만족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일⋅가정 양립 갈등을 거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자녀감독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감독이 높은 취업모에 비해 자녀감독이 낮은 취업모는 양육스트레스가 일⋅가정 양립 갈등을 경유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home balance conflict (work-parenting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on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d mo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data from 827 employed mothers taken from the 14th Korean Children Panel. First, the parenting stress, work-parenting balance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 of employed mo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was at a low level, job satisfaction was at a medium level, and the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was at a high level. Second,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the higher the conflict between work-parenting and work-family balance, and the lower the parental monitoring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parenting balance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higher the work-parenting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and this heightened work-home balance conflict was found to reduce job satisfaction. Fourth, the impact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home balance conflicts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parental monitoring. In other words, compared to employed mothers with high parental monitoring, employed mothers with low parental monitoring had a greater negativ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home balance conflic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home balance conflict (work-parenting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on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home balance conflict (work-parenting balance, work-family bal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on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d mo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data from 827 employed mothers taken from the 14th Korean Children Panel. First, the parenting stress, work-parenting balance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 of employed mo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was at a low level, job satisfaction was at a medium level, and the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was at a high level. Second,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the higher the conflict between work-parenting and work-family balance, and the lower the parental monitoring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parenting balance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higher the work-parenting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and this heightened work-home balance conflict was found to reduce job satisfaction. Fourth, the impact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home balance conflicts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parental monitoring. In other words, compared to employed mothers with high parental monitoring, employed mothers with low parental monitoring had a greater negativ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home balance conflic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