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necting the Preschool Special Class’ Education Plan with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6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수학급 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육계획과의 관련성을 유지해야 하고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개개인의 개별화교육계획이 반영되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통합학급 교육계획안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이 협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교육현장에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특수학급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현실적인 어려움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과 개별화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사 및 관리자의 협력 없이 전적으로 특수교사 단독으로 모든 과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통합학급 교사의 많은 업무가 이러한 협력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고 특수교육대상자에 관련된 모든 업무가 특수교사의 몫이라는 인식의 영향도 컸다. 개선방안으로 관리자를 포함하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활성화와 평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가 지적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수학급 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육계획과의 관련성을 유지해야 하고 ...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수학급 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육계획과의 관련성을 유지해야 하고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개개인의 개별화교육계획이 반영되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통합학급 교육계획안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이 협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교육현장에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특수학급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현실적인 어려움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과 개별화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사 및 관리자의 협력 없이 전적으로 특수교사 단독으로 모든 과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통합학급 교사의 많은 업무가 이러한 협력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고 특수교육대상자에 관련된 모든 업무가 특수교사의 몫이라는 인식의 영향도 컸다. 개선방안으로 관리자를 포함하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활성화와 평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가 지적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제화,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동향 분석 : 국내 실험연구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8, 2011

      2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3 김성애, "장애아동 이용 보육시설 통계 현황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의무교육 간주 가능성과 한계성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41-72, 2011

      4 송호준,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79-198, 2014

      5 이소현, "개별화 교육과정 :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 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교수적 접근" 학지사 2011

      6 김성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한국 유아특수교육의 과제 및 해결방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1-139, 2007

      7 Kim, J., "Use of embedded instructions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in the United States : A review" 49 (49): 283-292, 2011

      8 Odom, S. L., "The cost of preschool inclusion" 21 (21): 46-55, 2001

      9 Stayton, V. D., "State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22 (22): 4-12, 2009

      10 Macartney, B., "Kinds of participation : teacher and special eduction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inclusion’ in early childhood and primary school settings" 17 (17): 776-792, 2013

      1 이제화,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동향 분석 : 국내 실험연구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8, 2011

      2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3 김성애, "장애아동 이용 보육시설 통계 현황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의무교육 간주 가능성과 한계성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41-72, 2011

      4 송호준,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건강)교육 실태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통합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79-198, 2014

      5 이소현, "개별화 교육과정 :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 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교수적 접근" 학지사 2011

      6 김성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한국 유아특수교육의 과제 및 해결방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1-139, 2007

      7 Kim, J., "Use of embedded instructions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in the United States : A review" 49 (49): 283-292, 2011

      8 Odom, S. L., "The cost of preschool inclusion" 21 (21): 46-55, 2001

      9 Stayton, V. D., "State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22 (22): 4-12, 2009

      10 Macartney, B., "Kinds of participation : teacher and special eduction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inclusion’ in early childhood and primary school settings" 17 (17): 776-792, 2013

      11 Baker-Ericzen, M. J., "Impact of training on child care providers’ attitudes and perceived competence toward inclusion: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hange?" 28 (28): 196-208, 2009

      12 Buysse, V., "Early childhood inclusion: Focus on Change" Paul H. Brookes 179-200, 2001

      13 Copple, C., "Developmentally apporprite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o age 8"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09

      14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