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중증질환 예방관리 코호트 프로토콜 및 운영방안 설계 = Design and Protocol Development of an Elderly Coh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8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 Korea is expected to become super-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and face great burden due to health problems of elderly people. Long-term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ajor health problems among elderly Koreans.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were to design a new elderly cohort study and to develop a protocol and an operational plan for the cohort study.
      Contents and Methods : The project contents include 1) literature review on previous observational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elderly, 2) selecting major outcomes of interest based-on morbidity and mortality data, 3) design of a cohort study to identify major risk factors for the major outcomes, and 4) suggestion of data management and sharing policies. To complete these tasks, we reviewed methodologies which were used for existing elderly cohort studies, analyzed data on mortality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of Korean elderly and future-elderly, benchmarked outstanding elderly cohort studies in USA, and obtained expert opinions.
      Results : We selected four key health-related problems among elderly,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cognitive function, mobility, and social support. Study hypotheses were generated to assess interactions between the four health problems and their impact on healthy lifespan and quality of life. Based-on the study hypotheses, we designed a new elderly cohort consisting of 5,000 people aged 65 years of older. Around two research centers are expected to perform enrollment, screening, baseline and follow-up examinations. Total study period is 10 years for a baseline examination and two sets of follow-up examinations. Estimated study budget ranges between 3,007 million KW and 4,004 million KW for enrollment and baseline examination at two research centers over 4 years. This project report also includes not only core study design (specified objectives & hypotheses, health problems of interest,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required sample size, yearly plan of baseline & follow-up examinations, and estimated budget) but also variable lists, measurement protocols, and other documents for baseline examination.
      Expected Contributions : In the short term, this report will serve as core evidence for launching a new elderly cohort project by the Korean CDC, and as a guideline for cohort study investigators. This project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beginning and performance of a new elderly cohort study. In the long term, the new elderly cohort will provide important new knowledge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healthy lifespan and quality of lif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 Korea is expected to become super-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and face great burden due to health problems of elderly people. Long-term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preven...

      Background and Purpose : Korea is expected to become super-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and face great burden due to health problems of elderly people. Long-term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ajor health problems among elderly Koreans.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were to design a new elderly cohort study and to develop a protocol and an operational plan for the cohort study.
      Contents and Methods : The project contents include 1) literature review on previous observational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elderly, 2) selecting major outcomes of interest based-on morbidity and mortality data, 3) design of a cohort study to identify major risk factors for the major outcomes, and 4) suggestion of data management and sharing policies. To complete these tasks, we reviewed methodologies which were used for existing elderly cohort studies, analyzed data on mortality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of Korean elderly and future-elderly, benchmarked outstanding elderly cohort studies in USA, and obtained expert opinions.
      Results : We selected four key health-related problems among elderly,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cognitive function, mobility, and social support. Study hypotheses were generated to assess interactions between the four health problems and their impact on healthy lifespan and quality of life. Based-on the study hypotheses, we designed a new elderly cohort consisting of 5,000 people aged 65 years of older. Around two research centers are expected to perform enrollment, screening, baseline and follow-up examinations. Total study period is 10 years for a baseline examination and two sets of follow-up examinations. Estimated study budget ranges between 3,007 million KW and 4,004 million KW for enrollment and baseline examination at two research centers over 4 years. This project report also includes not only core study design (specified objectives & hypotheses, health problems of interest,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required sample size, yearly plan of baseline & follow-up examinations, and estimated budget) but also variable lists, measurement protocols, and other documents for baseline examination.
      Expected Contributions : In the short term, this report will serve as core evidence for launching a new elderly cohort project by the Korean CDC, and as a guideline for cohort study investigators. This project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beginning and performance of a new elderly cohort study. In the long term, the new elderly cohort will provide important new knowledge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healthy lifespan and quality of lif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 초고령화 사회는 이미 우리에게 확정된 미래이며, 이에 동반되는 노인의 건강문제는 노인인구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전체에 큰 부담을 안겨 줄 것이다.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주요 중증질환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방안을 찾기 위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노인코호트 연구가 절실하다.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노인 중증질환 예방관리 코호트를 설계하고 프로토콜 및 운영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1) 국내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등 관찰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2) 주요 사망원인 및 질병부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코호트의 주요 성과지표를 도출하고, 3) 노인 중증질환 위험요인 발굴을 위한 추적관찰 모델을 구축하며, 4) 노인코호트 연구로 산출된 연구 자원 활용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노인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우리나라 노인의 주요 질병으로 인한 사망 및 의료이용량 분석, 해외 우수 노인코호트 연구의 벤치마킹, 전문가자문회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코호트연구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노인코호트연구의 기본설계, 프로토콜 개발, 운영방안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 노인중증질환 예방관리 코호트의 중점 연구분야는 노인의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운동성(mobility)장애,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의 네 가지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영역의 문제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과 건강수명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에 기반하여 총 5,000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코호트 기반조사를 완료하고 두 차례의 추적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에 소요되는 연구기간은 총 10년이다. 코호트 대상자의 모집은 지역사회기반으로 하되 예산 절감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병원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 기반조사는 2개 내외의 연구센터에서수행하며 이에 소요되는 기간은 4년, 총 소요예산은 3,007백만원에서 4,004백만원의 범위로 추정된다. 본 연구과제의 성과는 새로운 노인코호트연구의 구체적 목적, 연구대상 질환, 주 연구가설, 연구대상자 선정 원칙, 코호트의 규모, 기반조사 및 추적조사 계획, 추정 소요예산 등의 핵심연구설계 뿐 아니라, 코호트 기반조사에서 측정할 변수들의 측정방법 및 교육자료와 주요서식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대효과 : 단기적으로, 연구과제의 성과물은 질병관리본부에서 새로운 노인코호트 연구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기반자료로 활용되며, 노인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진들에게는 코호트의 구축과 추적조사를 위한 핵심연구설계자료로 활용되어 연구의 성과를 최대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본 연구과제에서 설계한 노인코호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우리나라 노인의 중증질환의 특징과 위험요인을 알아내어 비용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대책 수립의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가까운 미래의 초고령사회에서 노년기 중증질환의 조기진단과 예방을 통해 노인의 건강수명과 삶의 질 향상을 이끌 것이며, 이러한 효과는 궁극적으로 노령화로 인한 사회전체의 부담을 크게 감소시켜 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 초고령화 사회는 이미 우리에게 확정된 미래이며, 이에 동반되는 노인의 건강문제는 노인인구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전체에 큰 부담을 안겨 줄 것이다. 노인의 건강과 삶...

      연구배경 및 목적 : 초고령화 사회는 이미 우리에게 확정된 미래이며, 이에 동반되는 노인의 건강문제는 노인인구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전체에 큰 부담을 안겨 줄 것이다.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주요 중증질환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방안을 찾기 위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노인코호트 연구가 절실하다.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노인 중증질환 예방관리 코호트를 설계하고 프로토콜 및 운영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1) 국내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등 관찰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2) 주요 사망원인 및 질병부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코호트의 주요 성과지표를 도출하고, 3) 노인 중증질환 위험요인 발굴을 위한 추적관찰 모델을 구축하며, 4) 노인코호트 연구로 산출된 연구 자원 활용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노인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우리나라 노인의 주요 질병으로 인한 사망 및 의료이용량 분석, 해외 우수 노인코호트 연구의 벤치마킹, 전문가자문회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코호트연구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노인코호트연구의 기본설계, 프로토콜 개발, 운영방안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 노인중증질환 예방관리 코호트의 중점 연구분야는 노인의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운동성(mobility)장애,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의 네 가지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영역의 문제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과 건강수명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에 기반하여 총 5,000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코호트 기반조사를 완료하고 두 차례의 추적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에 소요되는 연구기간은 총 10년이다. 코호트 대상자의 모집은 지역사회기반으로 하되 예산 절감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병원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 기반조사는 2개 내외의 연구센터에서수행하며 이에 소요되는 기간은 4년, 총 소요예산은 3,007백만원에서 4,004백만원의 범위로 추정된다. 본 연구과제의 성과는 새로운 노인코호트연구의 구체적 목적, 연구대상 질환, 주 연구가설, 연구대상자 선정 원칙, 코호트의 규모, 기반조사 및 추적조사 계획, 추정 소요예산 등의 핵심연구설계 뿐 아니라, 코호트 기반조사에서 측정할 변수들의 측정방법 및 교육자료와 주요서식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대효과 : 단기적으로, 연구과제의 성과물은 질병관리본부에서 새로운 노인코호트 연구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기반자료로 활용되며, 노인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진들에게는 코호트의 구축과 추적조사를 위한 핵심연구설계자료로 활용되어 연구의 성과를 최대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본 연구과제에서 설계한 노인코호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우리나라 노인의 중증질환의 특징과 위험요인을 알아내어 비용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대책 수립의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가까운 미래의 초고령사회에서 노년기 중증질환의 조기진단과 예방을 통해 노인의 건강수명과 삶의 질 향상을 이끌 것이며, 이러한 효과는 궁극적으로 노령화로 인한 사회전체의 부담을 크게 감소시켜 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