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e-서비스 회복품질 측정도구 eSR-Q의 신뢰성과 타당성: 미국 소비자 관점의 검증 = Asses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SR-Q, an e-Service Recovery Quality Measurement Scale, from American Consumers’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5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이 e-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해 서비스실패 상황이 생기면 최종적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회복활동의 품질을 높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활동 관리를 위해 개발된 e-서비스 회복품질 측정도구 중 여러 후속연구가 이뤄진 E-RecS-QUAL과 이를 개선한 eSR-Q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다. E-RecS-QUAL을 구성하는 3가지 하부차원 반응, 보상, 접촉이 상호 구별되는 개념구조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상충되는 연구결과가 있다. 서비스회복의 세 요소인 사과, 보상, 신속한 처리 측면을 모두 포괄하도록 개선한 측정도구 eSR-Q는 개념구조 상 사과 차원을 추가하여 4차원으로 확장․보완한 것이다.
      미국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반복연구(Replication Study)를 수행한 결과, 첫째 eSR-Q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어 이 측정도구가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 소비자의 경우에도 E-RecS-QUAL에 대비해서 eSR-Q의 전반적인 서비스 회복품질과 고객만족에 대한 설명력이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추가된 사과 차원의 영향으로서, 본 연구를 통해 실용성과 신뢰도 측면에서 eSR-Q의 의의가 더욱 극명해졌다.
      번역하기

      기업이 e-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해 서비스실패 상황이 생기면 최종적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회복활동의 품질을 높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활동 관리를 위해 개발된 e-서비...

      기업이 e-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해 서비스실패 상황이 생기면 최종적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회복활동의 품질을 높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활동 관리를 위해 개발된 e-서비스 회복품질 측정도구 중 여러 후속연구가 이뤄진 E-RecS-QUAL과 이를 개선한 eSR-Q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다. E-RecS-QUAL을 구성하는 3가지 하부차원 반응, 보상, 접촉이 상호 구별되는 개념구조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상충되는 연구결과가 있다. 서비스회복의 세 요소인 사과, 보상, 신속한 처리 측면을 모두 포괄하도록 개선한 측정도구 eSR-Q는 개념구조 상 사과 차원을 추가하여 4차원으로 확장․보완한 것이다.
      미국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반복연구(Replication Study)를 수행한 결과, 첫째 eSR-Q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어 이 측정도구가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 소비자의 경우에도 E-RecS-QUAL에 대비해서 eSR-Q의 전반적인 서비스 회복품질과 고객만족에 대한 설명력이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추가된 사과 차원의 영향으로서, 본 연구를 통해 실용성과 신뢰도 측면에서 eSR-Q의 의의가 더욱 극명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SR-Q, an e-service recovery quality measurement scale, and intrinsically its predecessor E-RecS-QUAL, from the American consumers’ perspective. In fact, there have been mixed, conflicting research results about the robustness of E-RecS-QUAL which consists of three constructs, Responsiveness, Compensation, and Contact. Its successor eSR-Q, supplemented by another significant construct Apology, was validated using Korean female consumers’ data. Thus, this research responds to a call for another rigorous replication study which investigates the robustness of eSR-Q from the American perspective. We have two major research findings: First, eSR-Q(intrinsically E-RecS-QUAL) has establish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once again. Second, compared to E-RecS-QUAL, eSR-Q has represented its enhanced capability, due to the addition of the Apology dimension, to explain the variability of the overall e-service recovery quality and the overall e-service satisfaction. In sum, this research reinforces that the measurement scale is quite useful and dependable.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SR-Q, an e-service recovery quality measurement scale, and intrinsically its predecessor E-RecS-QUAL, from the American consumers’ perspective. In fact, there have been 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SR-Q, an e-service recovery quality measurement scale, and intrinsically its predecessor E-RecS-QUAL, from the American consumers’ perspective. In fact, there have been mixed, conflicting research results about the robustness of E-RecS-QUAL which consists of three constructs, Responsiveness, Compensation, and Contact. Its successor eSR-Q, supplemented by another significant construct Apology, was validated using Korean female consumers’ data. Thus, this research responds to a call for another rigorous replication study which investigates the robustness of eSR-Q from the American perspective. We have two major research findings: First, eSR-Q(intrinsically E-RecS-QUAL) has establish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once again. Second, compared to E-RecS-QUAL, eSR-Q has represented its enhanced capability, due to the addition of the Apology dimension, to explain the variability of the overall e-service recovery quality and the overall e-service satisfaction. In sum, this research reinforces that the measurement scale is quite useful and dependa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동권, "인터넷 상거래에서의 서비스회복 품질 측정도구의 개발" 13 (13): 44-54, 2008

      2 박종기, "온라인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충성의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권 예약·발권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15 (15): 71-110, 2010

      3 원유석, "서비스 회복에 대한 서비스공정성과 서비스접점만족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3 (3): 91-112, 2002

      4 Hans H. Bauer, "eTransQual: A transaction process-based approach for capturing service quality in online shopping" Elsevier BV 59 (59): 866-875, 2006

      5 Mary Wolfinbarger, "eTailQ: dimensionalizing, measuring and predicting etail quality" Elsevier BV 79 (79): 183-198, 2003

      6 민동권, "e-서비스 회복품질 향상을 위한 실패유형별 회복방안과 회복품질의 영향력 - 여대생 고객의 의류, 패션 품목 쇼핑 중심의 탐색적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 21 (21): 197-216, 2010

      7 Merce Bernardo, "The balance of the impact of quality and recovery on satisfaction: the case of e-travel" Informa UK Limited 24 (24): 1390-1404, 2013

      8 Janis L Miller, "Service recovery: a framework and empirical investigation" Elsevier BV 18 (18): 387-400, 2000

      9 Parasuraman, A.,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88

      10 Serkan Akinci, "Re-assessment of E-S-Qual and E-RecS-Qual in a pure service setting" Elsevier BV 63 (63): 232-240, 2010

      1 민동권, "인터넷 상거래에서의 서비스회복 품질 측정도구의 개발" 13 (13): 44-54, 2008

      2 박종기, "온라인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충성의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권 예약·발권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15 (15): 71-110, 2010

      3 원유석, "서비스 회복에 대한 서비스공정성과 서비스접점만족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3 (3): 91-112, 2002

      4 Hans H. Bauer, "eTransQual: A transaction process-based approach for capturing service quality in online shopping" Elsevier BV 59 (59): 866-875, 2006

      5 Mary Wolfinbarger, "eTailQ: dimensionalizing, measuring and predicting etail quality" Elsevier BV 79 (79): 183-198, 2003

      6 민동권, "e-서비스 회복품질 향상을 위한 실패유형별 회복방안과 회복품질의 영향력 - 여대생 고객의 의류, 패션 품목 쇼핑 중심의 탐색적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 21 (21): 197-216, 2010

      7 Merce Bernardo, "The balance of the impact of quality and recovery on satisfaction: the case of e-travel" Informa UK Limited 24 (24): 1390-1404, 2013

      8 Janis L Miller, "Service recovery: a framework and empirical investigation" Elsevier BV 18 (18): 387-400, 2000

      9 Parasuraman, A.,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88

      10 Serkan Akinci, "Re-assessment of E-S-Qual and E-RecS-Qual in a pure service setting" Elsevier BV 63 (63): 232-240, 2010

      11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1998

      12 Maria Fuentes-Blasco, "Measuring the antecedents of e-loyalty and the effect of switching costs on website" Informa UK Limited 30 (30): 1837-1852, 2010

      13 Juan (Gloria) Meng, "Measurement Equivalency of Web Service Quality Instruments: A Test on Chinese and African American Consumers" Informa UK Limited 22 (22): 259-269, 2010

      14 Frederic Marimon, "Impact of e-Quality and service recovery on loyalty: A study of e-banking in Spain" Informa UK Limited 23 (23): 769-787, 2012

      15 Jung‐Hwan Kim, "E‐service quality perceptions: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American and Korean consumers" Emerald 4 (4): 257-275, 2010

      16 Cemal Zehir, "E-Service Quality and E-Recovery Service Quality: Effects on Value Perceptions and Loyalty Intentions" Elsevier BV 229 : 427-443, 2016

      17 Parasuraman, A., "E-S-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assessing electronic service quality" 7 (7): 1-21, 2005

      18 D. Harrison McKnight, "Developing and Validating Trust Measures for e-Commerce: An Integrative Typology"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13 (13): 334-359, 2002

      19 Yoo, B.,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perceived quality of an Internet shopping site (SITEQUAL)" 2 (2): 31-46, 2001

      20 Gwo‐Guang Lee, "Customer perceptions of e‐service quality in online shopping" Emerald 33 (33): 161-176, 2005

      21 Jochen Wirtz, "Consumer responses to compensation, speed of recovery and apology after a service failure" Emerald 15 (15): 150-166, 2004

      22 Jochen Wirtz, "Buy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tention in online auctions" Emerald 20 (20): 521-543, 2009

      23 Stuart J. Barnes, "An Evaluation of Cyber-Bookshops: The WebQual Method" Informa UK Limited 6 (6): 11-30, 2014

      24 Francis, J. E., "A scale for measuring customer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quality in Internet retailing" 13 : 263-270, 2002

      25 Amy K. Smith, "A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 Encounters Involving Failure and Recovery" JSTOR 36 (36): 356-372,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논총 -> 신산업경영저널
      외국어명 : EWHA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New Industry and Business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