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협력적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 관리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해 설립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설계 측면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자체 단체장의 의지를 비롯한 재정적?행정적 역량 등 주로 맥락적 차원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요인을 제시했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결함을 개선하고 책임성?정당성?갈등?지식?헌신 관리 기능을 제도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네트워크 조직에서의 성과 창출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목표 명확성, 역할 분담, 네트워크 거버넌스, 의사소통, 그리고 결정과정 및 평가기제로 구성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차원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더불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업무 담당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행되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실제 운영 과정에서 목표의 불명확성, 참여자의 역할 분담과 책임성의 모호,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구조적 결함, 협력적 의사소통 및 결정과정의 구체적 지침의 부재, 협의체 평가기제의 실효성 미흡 등의 제도적 쟁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 방향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해 설립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설계 측면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자체 단체장의 의지...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해 설립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설계 측면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자체 단체장의 의지를 비롯한 재정적?행정적 역량 등 주로 맥락적 차원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요인을 제시했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결함을 개선하고 책임성?정당성?갈등?지식?헌신 관리 기능을 제도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네트워크 조직에서의 성과 창출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목표 명확성, 역할 분담, 네트워크 거버넌스, 의사소통, 그리고 결정과정 및 평가기제로 구성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제도적 차원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더불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업무 담당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행되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실제 운영 과정에서 목표의 불명확성, 참여자의 역할 분담과 책임성의 모호,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구조적 결함, 협력적 의사소통 및 결정과정의 구체적 지침의 부재, 협의체 평가기제의 실효성 미흡 등의 제도적 쟁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 방향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design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system and to find out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operating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activation level of local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which heavily depends on the political will of local governor, th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and the administrative resource management. However, this study has more focused on how to improve the critical flaws of the system and to reinforce the managerial capacity of the local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in terms of responsibility, legitimacy, conflict, knowledge and commitment.
      This article has utilized five analytical tools, which are the clarification of purpose, role sharing, network governance,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and evaluation system, to review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49 civil servants, who are in charge of networking the busines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at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As a result, the study has finds out the inadequacy of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which has failed to provide the clarification of its purpose, the management methods of network governanc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evaluation system. Finally,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collaborative network governance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are explo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design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system and to find out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operating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activation level of lo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design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system and to find out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operating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activation level of local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which heavily depends on the political will of local governor, th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and the administrative resource management. However, this study has more focused on how to improve the critical flaws of the system and to reinforce the managerial capacity of the local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in terms of responsibility, legitimacy, conflict, knowledge and commitment.
      This article has utilized five analytical tools, which are the clarification of purpose, role sharing, network governance,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and evaluation system, to review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49 civil servants, who are in charge of networking the busines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at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As a result, the study has finds out the inadequacy of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which has failed to provide the clarification of its purpose, the management methods of network governanc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evaluation system. Finally,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collaborative network governance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are explo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Ⅱ.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일반현황
      • Ⅲ. 민·관 협력적 네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논의
      • Ⅳ. 연구방법
      • 초록
      • I. 서론
      • Ⅱ.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일반현황
      • Ⅲ. 민·관 협력적 네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논의
      • Ⅳ. 연구방법
      • Ⅴ. 분석결과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은구, "한국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1) : 174-203, 2012

      2 강영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정책심의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343-352, 2008

      3 초의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와 네트워크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65-290, 2008

      4 김창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Governance구축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 (9): 262-269, 2009

      5 백경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생활 민관협의체의 통합방안" 93 : 49-51, 2006

      6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직, 인력, 사업, 재정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4) : 195-236, 2012

      7 임현정,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그 출발점이 중요하다" 81 : 16-19, 2005

      8 안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19-346, 2010

      9 보건복지가족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10 조은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 평가와 복지협의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공청회" 49 : 37-39, 2002

      1 지은구, "한국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1) : 174-203, 2012

      2 강영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정책심의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343-352, 2008

      3 초의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와 네트워크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65-290, 2008

      4 김창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Governance구축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 (9): 262-269, 2009

      5 백경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생활 민관협의체의 통합방안" 93 : 49-51, 2006

      6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직, 인력, 사업, 재정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4) : 195-236, 2012

      7 임현정,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그 출발점이 중요하다" 81 : 16-19, 2005

      8 안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19-346, 2010

      9 보건복지가족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10 조은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 평가와 복지협의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공청회" 49 : 37-39, 2002

      11 황철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대한 효과적 방안" 2 (2): 213-230, 2006

      12 이재완, "지역복지협의체 신설 무엇이 문제인가" 28 : 55-59, 2001

      13 강창현, "지역복지공동체형성에 있어 다자간 협력이론의 적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가능성"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73-94, 2005

      14 김형모,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과제" 6 (6): 25-49, 2009

      15 장현주, "지역복지 거버넌스의 협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141-160, 2009

      1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백서"

      17 임태경,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시스템 분석: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129-145, 2009

      18 윤찬영,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둘러싼 쟁점" 28 : 50-54, 2001

      19 권승, "부산광역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51-72, 2007

      20 이성로, "로컬거버넌스로서의 사회복지협의체 경북북부지역 사례"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281-307, 2009

      21 김창기, "로컬 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한 지역복지협의체의 의미와 역할"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2) : 175-192, 2007

      22 유해숙, "로컬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전략: 인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321-340, 2005

      23 김희진, "대구, 경북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우려한다" 81 : 11-15, 2005

      24 전영한,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 개념, 측정 그리고 타당화" 한국행정학회 38 (38): 49-65, 2004

      25 지은구,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31 (31): 55-86, 2012

      26 이현주, "공공과 민간의 협치기제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방안" 109 : 51-93, 2005

      27 O'toole, Laurence J, "Treating Networks Seriously: Practical and Research-Based Agendas in Public Administration" 57 (57): 45-52, 1997

      28 Bardach, Eugene, "The State of Public Managemen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8-192, 1996

      29 Gilbert, Neil, "The Enabling State: Modern Welfare Capitalism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30 MilWard, H. Brinton, "Principles for Controlling Agents: The Political Economy of NetWork Structure" 8 (8): 203-221, 1998

      31 Provan, Keith G., "Modes of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Management, and Effectiveness" 18 (18): 229-252, 2008

      32 O'toole, Laurence J, "Modeling the Impact of Public Management:Implications of Structural Context" 9 (9): 505-526, 1999

      33 Wondolleck, Julai M., "Making Collaboration Work: Lessons from Innovation in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sland Press 2000

      34 Agranoff, "Leveraging Networks: A Guide for Public Managers Working across Organizations" IBM 2003

      35 Young Han, Chun,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U.S. Federal Agencies" 15 (15): 529-557, 2005

      36 Provan, Keith G., "Do Networks Really Work? A Framework for Evaluating Public-Sector Organizational Networks" 61 (61): 414-423, 2001

      37 Thomson,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llaboration" 19 (19): 23-56, 2008

      38 Agranoff, Robert,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New Strategies for Local Government" Georgetown University Press 80-99, 2003

      39 Agranoff, Robert, "Big Questions in Public Network Management Research" 11 (11): 295-326, 2001

      40 Strauss, A.C.,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 Inc 1990

      41 O'toole, Laurence J, "Advancing Public Management: New Developments in Theory, Methods and Practic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60-78, 2002

      42 O'toole, Laurence J, "Advancing Public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3 MilWard, H. Brinton, "A manager’s Guide to Choosing and Using Collaborative Network" IBM 2006

      44 푸른경기21, "2010 사회복지의제 사업결과보고서"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1-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KCI등재후보
      2011-10-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35 1.67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