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용성형서비스의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Regarding Cosmetic Surgery Services: Centered on Cultural Values and Media Expos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4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용성형에 대한 인식이 개성의 표출 같은 개인적 가치향상 뿐만 아니라 외모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같은 대중실용성을 추구하는 도구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대중적 문화가치를 대표하는 현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가치(개인주의와 불확실성 회피)가 성형에 대한 인식(외모추구성향, 자아존중심,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인식이 성형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성형정보에 관한 미디어노출이 성형수술의 의향에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번역하기

      미용성형에 대한 인식이 개성의 표출 같은 개인적 가치향상 뿐만 아니라 외모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같은 대중실용성을 추구하는 도구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

      미용성형에 대한 인식이 개성의 표출 같은 개인적 가치향상 뿐만 아니라 외모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같은 대중실용성을 추구하는 도구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대중적 문화가치를 대표하는 현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가치(개인주의와 불확실성 회피)가 성형에 대한 인식(외모추구성향, 자아존중심,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인식이 성형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성형정보에 관한 미디어노출이 성형수술의 의향에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oday’s cosmetic surgery service is perceived as not only a way to enhance personal value but also a means to pursue social benefit that is universally accepted, there is a new need to recognize this issue as a phenomenon that represents mass cultural values from a socio cultur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ultural values (individualism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perceptions of cosmetic surgery (appearance seeking tendency, self-esteem, perceived risk), and verifies the impact of perceptions on cosmetic surgery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ole of media exposure as a mediator variable for cosmetic surgery intention.
      번역하기

      As today’s cosmetic surgery service is perceived as not only a way to enhance personal value but also a means to pursue social benefit that is universally accepted, there is a new need to recognize this issue as a phenomenon that represents mass cul...

      As today’s cosmetic surgery service is perceived as not only a way to enhance personal value but also a means to pursue social benefit that is universally accepted, there is a new need to recognize this issue as a phenomenon that represents mass cultural values from a socio cultur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ultural values (individualism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perceptions of cosmetic surgery (appearance seeking tendency, self-esteem, perceived risk), and verifies the impact of perceptions on cosmetic surgery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ole of media exposure as a mediator variable for cosmetic surgery in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용성형에 대한 인식이 개성의 표출 같은 개인적 가치향상 뿐만 아니라 외모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같은 대중실용성을 추구하는 도구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대중적 문화가치를 대표하는 현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가치(개인주의와 불확실성 회피)가 성형에 대한 인식(외모추구성향, 자아존중심,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인식이 성형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성형정보에 관한 미디어노출이 성형수술의 의향에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번역하기

      미용성형에 대한 인식이 개성의 표출 같은 개인적 가치향상 뿐만 아니라 외모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같은 대중실용성을 추구하는 도구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

      미용성형에 대한 인식이 개성의 표출 같은 개인적 가치향상 뿐만 아니라 외모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같은 대중실용성을 추구하는 도구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성형수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대중적 문화가치를 대표하는 현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가치(개인주의와 불확실성 회피)가 성형에 대한 인식(외모추구성향, 자아존중심,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인식이 성형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성형정보에 관한 미디어노출이 성형수술의 의향에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oday’s cosmetic surgery service is perceived as not only a way to enhance personal value but also a means to pursue social benefit that is universally accepted, there is a new need to recognize this issue as a phenomenon that represents mass cultural values from a socio cultur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ultural values (individualism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perceptions of cosmetic surgery (appearance seeking tendency, self-esteem, perceived risk), and verifies the impact of perceptions on cosmetic surgery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ole of media exposure as a mediator variable for cosmetic surgery intention.
      번역하기

      As today’s cosmetic surgery service is perceived as not only a way to enhance personal value but also a means to pursue social benefit that is universally accepted, there is a new need to recognize this issue as a phenomenon that represents mass cul...

      As today’s cosmetic surgery service is perceived as not only a way to enhance personal value but also a means to pursue social benefit that is universally accepted, there is a new need to recognize this issue as a phenomenon that represents mass cultural values from a socio cultur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ultural values (individualism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perceptions of cosmetic surgery (appearance seeking tendency, self-esteem, perceived risk), and verifies the impact of perceptions on cosmetic surgery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ole of media exposure as a mediator variable for cosmetic surgery int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성형서비스 구매요인 및 연구가설
      • III. 조사 설계
      • IV. 실증분석
      • V. 결론
      • I. 서론
      • II. 성형서비스 구매요인 및 연구가설
      • III. 조사 설계
      • IV. 실증분석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종우, "한국인과 중국인이 인식하는 문화 차원의 차이와 양국 소비자 문화에서의 역할"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05-125, 2010

      2 신명수, "한국 미용성형외과의 현재와 미래" 대한의사협회 54 (54): 581-588, 2011

      3 이훈진, "편집성 척도(Paranoia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14 (14): 83-94, 1995

      4 이수경, "외모향상추구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 30 (30): 59-70, 2006

      5 전경란,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71-83, 2002

      6 서란숙,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 연구" 한국미용학회 16 (16): 785-795, 2010

      7 이학식,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5판" 법문사 2010

      8 윤원아, "소비자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척도개발" 11 (11): 1-14, 2000

      9 염경숙, "부산지역 일부 여성들의 성형수술 시술실태 및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10 박찬석,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 전종우, "한국인과 중국인이 인식하는 문화 차원의 차이와 양국 소비자 문화에서의 역할"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05-125, 2010

      2 신명수, "한국 미용성형외과의 현재와 미래" 대한의사협회 54 (54): 581-588, 2011

      3 이훈진, "편집성 척도(Paranoia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14 (14): 83-94, 1995

      4 이수경, "외모향상추구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 30 (30): 59-70, 2006

      5 전경란,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71-83, 2002

      6 서란숙,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 연구" 한국미용학회 16 (16): 785-795, 2010

      7 이학식,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5판" 법문사 2010

      8 윤원아, "소비자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척도개발" 11 (11): 1-14, 2000

      9 염경숙, "부산지역 일부 여성들의 성형수술 시술실태 및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10 박찬석,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1 신명희,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미디어 이용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111-132, 2005

      12 오상화, "대중매체 소비가 여대생의 신체변형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매개 과정"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3 (3): 141-160, 2002

      13 Tiggemann, M.,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in the Effect of Magazine Advertisements on Women's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23 (23): 23-44, 2004

      14 Jacoby, J.,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3 : 382-393, 1972

      15 Tait, S., "Television and the Domestication of Cosmetic Surgery" 7 : 119-135, 2007

      16 Harrison, K., "Television Viewers’ Ideal Body Proportions : The Case of the Curvaceously Thin Woman" 48 : 255-264, 2003

      17 Martin, M. C., "Stuck in the Model Trap: The effects of Beautiful Models in Ads on Female Pre-adolescents and Adolescents" 26 : 19-33, 1997

      18 Wills, T. A., "Social Comparis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Erlbaum 1991

      19 Wheeler, L., "Social Comparison in Everyday Life" 62 : 760-773, 1992

      20 Higgins, E. T.,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94 : 319-340, 1987

      21 Sarwer, D. B., "Psychology Investigations in Xosmetic Surgery: A Look Back and a Look Ahead" 101 (101): 1136-1142, 1998

      22 Swami, V., "Looking Good: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Having Cosmetic Surgery" 30 : 211-218, 2008

      23 Tigert, D. J., "Life Style and Psychographics" America Marketing Association 1974

      24 Gibbons, F. X., "Effects of Upward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on Mood States" 1 : 14-31, 1989

      25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s : International Difference in Work-Related Values" Sage Publications 1980

      26 Hofstede, G., "Culture and Organizations : Software of the Mind" Sage Publications 1991

      27 Jun, J. W., "Cultural Differences in Brand Design and Tagline Appeals" 24 (24): 474-491, 2007

      28 Sarwer, D. B., "Cosmetic Surgery and Cosmetic Medical Treatments, In Handbook of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John Wiley 2004

      29 Javenpaa, S. L., "Consu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 A Cross-Cultural Validation" 5 (5): 1-36, 1999

      30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1979

      31 Sarwer, D. B., "Body Image and Cosmetic Medical Treatments" 1 : 99-111, 2004

      32 Festinger, L.,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 7 (7): 117-140, 1954

      33 Goin, R. B.,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s' Psychological Reactions to Rhinoplasty" 25 (25): 302-316, 1991

      34 이혜주, "20대 남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속성평가와 구매 및 사용 행동 차이 연구" 한국미용학회 17 (17): 233-24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