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7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콘텐츠는 개별적인 장르로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장르끼리 넘나들기를 하면서 관람객에게 기존과는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바로 OSMU에 이어 등장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Transmedia Contents)가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OSMU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과 스토리텔링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출판·영화·게임·애니메이션·그래픽 노블(만화) 콘텐츠의 몇 가지 사례에 대입해 보았다. OSMU에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은 이야기의 중첩, 즉 다른 미디어에서 같은 이야기가 어떻게 표현되는가에 있다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서는 하나의 콘텐츠에서 궁금했던 핵심 스토리를 뒷받침하는 배경이야기, 단서가 되는 부차적 플롯, 좋아하는 캐릭터가 독자적으로 다른 장르에서 새로운 이야기와 액션으로 탄생하게 되어 각각 다른 콘텐츠를 접하게 될 때 하나의 완성된 세계를 보게 된다는 점에서 퍼즐이나 콜라주와 같음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국내에서 시도가 미비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내에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서의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문화콘텐츠는 개별적인 장르로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장르끼리 넘나들기를 하면서 관람객에게 기존과는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바로 OSMU에 이어 등장한 트랜스미디어 ...

      문화콘텐츠는 개별적인 장르로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장르끼리 넘나들기를 하면서 관람객에게 기존과는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바로 OSMU에 이어 등장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Transmedia Contents)가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OSMU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과 스토리텔링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출판·영화·게임·애니메이션·그래픽 노블(만화) 콘텐츠의 몇 가지 사례에 대입해 보았다. OSMU에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은 이야기의 중첩, 즉 다른 미디어에서 같은 이야기가 어떻게 표현되는가에 있다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서는 하나의 콘텐츠에서 궁금했던 핵심 스토리를 뒷받침하는 배경이야기, 단서가 되는 부차적 플롯, 좋아하는 캐릭터가 독자적으로 다른 장르에서 새로운 이야기와 액션으로 탄생하게 되어 각각 다른 콘텐츠를 접하게 될 때 하나의 완성된 세계를 보게 된다는 점에서 퍼즐이나 콜라주와 같음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국내에서 시도가 미비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내에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서의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ltural contents refers to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hat are saved, sold, and enjoyed in various digital media. In responding to rising content contents, OSMU has been utilized to make one content into various types of products. Recently, transmedia contents are replacing the role of OSMU. Transmedia contents builds up the united content with blending of various contents through plural media and they have emerged in the part of creating digital contents under the convergence paradigm. Transmedia contents becomes invasive and permeates fully the audience's lifestyle by developing content available across multiple forms of media. This study discusses the differences between OSMU and transmedia contents. It attempts to clearly define transmedia contents and to conceptualize the components of transmedia contents.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a new method of storytelling utilizing transmedia contents. The discussions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for transmedia content developers to improve their work.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번역하기

      Cultural contents refers to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hat are saved, sold, and enjoyed in various digital media. In responding to rising content contents, OSMU has been utilized to make one content into various types of products. Recently, trans...

      Cultural contents refers to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hat are saved, sold, and enjoyed in various digital media. In responding to rising content contents, OSMU has been utilized to make one content into various types of products. Recently, transmedia contents are replacing the role of OSMU. Transmedia contents builds up the united content with blending of various contents through plural media and they have emerged in the part of creating digital contents under the convergence paradigm. Transmedia contents becomes invasive and permeates fully the audience's lifestyle by developing content available across multiple forms of media. This study discusses the differences between OSMU and transmedia contents. It attempts to clearly define transmedia contents and to conceptualize the components of transmedia contents.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a new method of storytelling utilizing transmedia contents. The discussions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for transmedia content developers to improve their work.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
      • Ⅲ.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구성요소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
      • Ⅲ.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구성요소
      • Ⅳ.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사례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유찬, "컴퓨터 게임과 문학" 연세대학교출판부 26-, 2004

      2 헨리 젠킨스, "컨버전스 컬처" 비즈 앤 비즈 149-, 2008

      3 서성은, "중세 판타지 게임의 세계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9 (9): 114-124, 2009

      4 이상민, "대중매체 스토리텔링 분석론" 북코리아 64-, 2009

      5 "http://www.gamemeca.com/pc/review_view.ht ml?page=1&genre_code=&search_kind=&search_text=&chr_from=&chr_to=&order=isrt_date&seq=970&gm_id=gm0003579&subpage=1&send=&iem=&mission_num=&mission_seq="

      6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61212023659798&nvr=y"

      7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0798500&re=y"

      8 마크 롱, "Transmedia? Designing IP for Games"

      1 최유찬, "컴퓨터 게임과 문학" 연세대학교출판부 26-, 2004

      2 헨리 젠킨스, "컨버전스 컬처" 비즈 앤 비즈 149-, 2008

      3 서성은, "중세 판타지 게임의 세계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9 (9): 114-124, 2009

      4 이상민, "대중매체 스토리텔링 분석론" 북코리아 64-, 2009

      5 "http://www.gamemeca.com/pc/review_view.ht ml?page=1&genre_code=&search_kind=&search_text=&chr_from=&chr_to=&order=isrt_date&seq=970&gm_id=gm0003579&subpage=1&send=&iem=&mission_num=&mission_seq="

      6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61212023659798&nvr=y"

      7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0798500&re=y"

      8 마크 롱, "Transmedia? Designing IP for Gam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