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신라 고분에서 확인되는 장경호 부장 정형(pattern)을 찾아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신라 토기 확산에 대한 2가지 가설인 ‘토기제사법(土器祭祀法)’과 ‘양식적 선택압 (selective pressur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52479
2012
-
911
학술저널
137-175(39쪽)
7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신라 고분에서 확인되는 장경호 부장 정형(pattern)을 찾아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신라 토기 확산에 대한 2가지 가설인 ‘토기제사법(土器祭祀法)’과 ‘양식적 선택압 (selective pressure)...
이 글은 신라 고분에서 확인되는 장경호 부장 정형(pattern)을 찾아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신라 토기 확산에 대한 2가지 가설인 ‘토기제사법(土器祭祀法)’과 ‘양식적 선택압 (selective pressure)’의 실체를 설명하면서 신라 토기의 지방 확산론을 재검토한 것이 다. 장경호 부장 정형이란 신라 고분에서 토기를 부장할 때, 동일한 형태 또는 유사한 장 경호를 망자의 머리 쪽에 세트로 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것은 신라 고분이 분포하는 대부분 지역의 대형 무덤과 중·소형 무덤에서 많이 확인된다. 장경호 부장 정형은 시기적으로 볼 때, 신라 중앙인 경주지역에서 먼저 출현한 후 신라 지방에 점차 나타난다. 장경호 부장은 지역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광범위한 정형이 확인되는 것이 큰 특 징이다. 이러한 정형은 기왕에 제안된 ‘토기제사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며, ‘토기제사법’의 실체는 이러한 장경호를 이용하는 제사 및 이와 같은 토기의 최종적인 배 치나 배열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한다. ‘양식적 선택압’은 신라 토기의 확산을 설명하는 중요한 가설 중 하나인데, 신라 정치 지배력의 확대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양식적 선택압’ 은 ‘토기제사법’의 수용 과정으로 볼 때, 신라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발신되는 것이 아니 다. 다시 말해, 장경호 부장 방법과 같은 ‘토기제사법’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지역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신라 토기의 확산 과정은 신라 지배력의 확대와 같은 정치적 요인뿐만 아니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nd describe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which can be seen in tombs of Shilla Dynasty so that the truth of two hypotheses on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and ‘S...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nd describe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which can be seen in tombs of Shilla Dynasty so that the truth of two hypotheses on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and ‘Selective Pressure’, may be explained along with the review of the theory that Shilla earthenware was spread into provinces.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is to bury a pair of jars called Jar with long necked with identical or similar shape at the head of the dead when Shilla people buried earthenware along with the dead body, which is confirmed in small, medium and large tombs in most areas which are spread with ancient Shilla tombs. From the viewpoint of time, this pattern appeared first in Gyoungju-city area, the central part of Shilla Kingdom and then spread to provinces gradually. The burial of Jar with long necked shows detailed difference by province, but its extensive pattern is characteristically confirmed. This pattern is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Funeral Ceremony with Earthenware’ proposed in the past and its substance is assumed to be arrangement or placement of earthenware like Jar with long necked. ‘Selective Pressure’, one of the very important hypotheses for explaining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presupposes the expansion of political control of Shilla Kingdom. However, when the process of accepting ‘Funeral Ceremony with Earthenware’ is considered, Selective Pressure was not unilaterally sent from the center of Shilla Kingdom. In other words, each process of accepting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like the burial of Jar with long necked is seen different at each area.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ocess for earthenware of Shilla Dynasty to spread needs the discussion from various viewpoints as well as any political factors like the expansion of Shilla's control.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3 | 2.65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