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의 난민에 관한 인식과 태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How Ar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Refugees Construc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6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난민에 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객관주의가 아닌 구성주의적 견해를 중심으로 사회적 실재에 유연하게 다가가는 방식인Charmaz(2006)의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채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지속적비교 및 나선형 접근에 토대하여 연구참여자를 선정했고, 기준에 부합하며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총 10명의 남녀 대학생과 한 사람당 2~4회기에 걸쳐 연구주제에 관해 대화했다. 해석학적 순환의 구조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연구주제와 관련한 초기코딩 60개, 초점코딩 14개가 드러났고, 이를 다시 유목화하여 최종 5개의 이론적 코딩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구조화했다. 구체적으로 이론적 코딩은 ‘우리 현실에서는 으레 당연시된 난민 거부감’, ‘나름의 방식으로 난민에 관한 편견 깨보기’, ‘난민 찬성과 부정의 대립 안 거듭하는 성찰’, ‘난민 포용 더딘 변화 속에서 찾는 작은 묘안’, ‘난민공존 대책 갖춰 달라져야 할 미래’와 같았다. 연구에서의 새로운 발견들을바탕으로, 난민에 관한 사회적 인식 개선, 편견과 고정관념 재고, 난민과의공존 가능성 확대 등의 차원에서 논의점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난민에 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객관주의가 아닌 구성주의적 견해를 중심으로 사회적 실재에 유...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난민에 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객관주의가 아닌 구성주의적 견해를 중심으로 사회적 실재에 유연하게 다가가는 방식인Charmaz(2006)의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채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지속적비교 및 나선형 접근에 토대하여 연구참여자를 선정했고, 기준에 부합하며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총 10명의 남녀 대학생과 한 사람당 2~4회기에 걸쳐 연구주제에 관해 대화했다. 해석학적 순환의 구조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연구주제와 관련한 초기코딩 60개, 초점코딩 14개가 드러났고, 이를 다시 유목화하여 최종 5개의 이론적 코딩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구조화했다. 구체적으로 이론적 코딩은 ‘우리 현실에서는 으레 당연시된 난민 거부감’, ‘나름의 방식으로 난민에 관한 편견 깨보기’, ‘난민 찬성과 부정의 대립 안 거듭하는 성찰’, ‘난민 포용 더딘 변화 속에서 찾는 작은 묘안’, ‘난민공존 대책 갖춰 달라져야 할 미래’와 같았다. 연구에서의 새로운 발견들을바탕으로, 난민에 관한 사회적 인식 개선, 편견과 고정관념 재고, 난민과의공존 가능성 확대 등의 차원에서 논의점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nquiry aim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refugees formed. The study employed Charmaz’s (2006)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 flexible approach to social reality rooted in a constructivist rather than an objectivist perspectiv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 and a spiral approach, resulting in 1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met the criteria and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wo to four interview sessions each on the research topic. After analyzing the data in a hermeneutic circle structure, this study identified 60 initial codes and 14 focus cod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These codes were then organized into five theoretical codes to structure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Specifically, these theoretical codes are as follows: ‘Repulsion toward refugees,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 Korea,’ ‘Addressing prejudices against refugees in personal ways,’ ‘Engaging in ongoing self-reflection on pro- and anti-refugee attitudes,’ ‘A small solution sought in the slow transformation of refugee inclusion,’ and ‘The future that must change with measures for promoting coexistence with refugees.’ Drawing from these new insights, the study presents discussion points aimed at enhancing social awareness about refugees, reevaluating biases and stereotype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existence with refugees
      번역하기

      This inquiry aim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refugees formed. The study employed Charmaz’s (2006)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 flexible approach to social reality rooted in a constructivist rat...

      This inquiry aim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refugees formed. The study employed Charmaz’s (2006)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 flexible approach to social reality rooted in a constructivist rather than an objectivist perspectiv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 and a spiral approach, resulting in 1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met the criteria and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wo to four interview sessions each on the research topic. After analyzing the data in a hermeneutic circle structure, this study identified 60 initial codes and 14 focus code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These codes were then organized into five theoretical codes to structure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Specifically, these theoretical codes are as follows: ‘Repulsion toward refugees,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 Korea,’ ‘Addressing prejudices against refugees in personal ways,’ ‘Engaging in ongoing self-reflection on pro- and anti-refugee attitudes,’ ‘A small solution sought in the slow transformation of refugee inclusion,’ and ‘The future that must change with measures for promoting coexistence with refugees.’ Drawing from these new insights, the study presents discussion points aimed at enhancing social awareness about refugees, reevaluating biases and stereotype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existence with refuge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환, "혐오와 관용의 관점에서 “이방인(난민)” 바라보기" 한국가톨릭철학회 (31) : 5-34, 2018

      2 박경태, "한국사회와 난민 : 난민과 환대의 책임" 88 : 47-65, 2016

      3 원영숙, "한국과 세계 난민 실태와 현황 비교연구" 다문화연구소 3 : 73-98, 2019

      4 이수정, "한국 사회의 무슬림 이주 동의와 수용 -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울산 교육현장 정착과정과 갈등"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16 (16): 145-178, 2022

      5 김진선,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탐라문화연구원 (65) : 7-37, 2020

      6 김혜숙 ; 한대동 ; 김희복, "학부모의 사교육 지원 현상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65-92, 2017

      7 추병완, "편견의 원인과 결과: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8) : 27-48, 2013

      8 강진구 ; 이기성, "텍스트마이닝(Text Minning)을 통해 본 제주 예멘 난민 -네이버 뉴스 댓글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0) : 103-135, 2019

      9 이동성 ;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26, 2012

      10 전영준 ; 김준표, "제주도민의 난민 인식" 탐라문화연구원 (67) : 129-159, 2021

      1 김용환, "혐오와 관용의 관점에서 “이방인(난민)” 바라보기" 한국가톨릭철학회 (31) : 5-34, 2018

      2 박경태, "한국사회와 난민 : 난민과 환대의 책임" 88 : 47-65, 2016

      3 원영숙, "한국과 세계 난민 실태와 현황 비교연구" 다문화연구소 3 : 73-98, 2019

      4 이수정, "한국 사회의 무슬림 이주 동의와 수용 -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울산 교육현장 정착과정과 갈등"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16 (16): 145-178, 2022

      5 김진선,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탐라문화연구원 (65) : 7-37, 2020

      6 김혜숙 ; 한대동 ; 김희복, "학부모의 사교육 지원 현상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65-92, 2017

      7 추병완, "편견의 원인과 결과: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8) : 27-48, 2013

      8 강진구 ; 이기성, "텍스트마이닝(Text Minning)을 통해 본 제주 예멘 난민 -네이버 뉴스 댓글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0) : 103-135, 2019

      9 이동성 ;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26, 2012

      10 전영준 ; 김준표, "제주도민의 난민 인식" 탐라문화연구원 (67) : 129-159, 2021

      11 김진선, "이미 언제나잡종이었던 우리 : 이주, 난민, 혼종" 온샘 2022

      12 문경란, "우리 곁의 난민 : 한국의 난민 여성 이야기" 서울연구원 2017

      13 문미리, "예멘과 아프가니스탄 난민에 대한 언론보도" 한국방송학회 23 (23): 5-39, 2022

      14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후마니타스 2008

      15 박정의 ; 윤성태 ; 성지연, "사회지배 성향과 다문화 수용성: 대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160-183, 2020

      16 주유선,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7 최유리 ; 김미애,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1 (21): 103-135, 2022

      18 임윤서 ; 안윤정, "대학생의 잠재된 차별의식 드러내기 - 차별대상과 편견 성찰에 대한 질적 연구 -" 5.18연구소 16 (16): 103-151, 2016

      19 심정보 ; 이강훈, "대학생들의 이슬람 인식과 지리교육의 방향" 한국지역지리학회 29 (29): 117-130, 2023

      20 김혜숙, "다수 집단과 소수 집단의 심리" 집문당 2014

      21 우수명, "다문화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5

      22 김치완, "난민의 출현과 대응에 대한 철학의 문제들" 탐라문화연구원 (65) : 39-74, 2020

      23 한국리서치 난민인식조사 연구팀, "난민에 대한 태도 및 인식변화 결과보고서"

      24 이민정책연구원, "난민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연구" 이민정책연구원 2019

      25 장주영, "난민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연구" 이민정책연구원 2019

      26 손영화, "난민문제에 관한 서론적 고찰 - 난민 수용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중심으로 -" 한양법학회 30 (30): 27-58, 2019

      27 김기남, "난민, 난민화되는 삶" 갈무리 2020

      28 김인숙, "근거이론 담론과 사회복지 지식형성 : 그 지형과 의미"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34) : 77-128, 2012

      29 심은지 ; 정헌주, "국회의원은 난민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제18대~제21대 전반기 국회 회의록에 대한 내용분석" 국가정책연구소 37 (37): 33-60, 2023

      30 신예원 ; 마동훈, "국내 미디어에 재현된 ‘예멘 난민’의 양면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주)에스비에스 17 (17): 31-80, 2019

      31 류완영, "구성주의에서 의미의 의미"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18, 2014

      32 Glaser, B. G.,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Sociology Press 1978

      33 Onay-Coker, D., "The representation of Syrian refugees in Turkey: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ree newspapers" 33 (33): 369-385, 2019

      34 Anderson, B., "The New Social Theory Reader" Routledge 282-288, 2020

      35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36 Teo, T., "Subhumanism: The re‐emergence of an affective‐symbolic ontology in the migration debate and beyond" 50 (50): 132-148, 2020

      37 Aronson, E., "Social Psychology" Prentice Hall 2005

      38 Greussing, E., "Shifting the refugee narrative? An automated frame analysis of Europe’s 2015 refugee crisis" 43 (43): 1749-1774, 2017

      39 Searle, J. R., "Seeing Things as They Are: A theory of Percep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40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16

      41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42 Sue, D. W., "Multicultural Social Work Practice: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John Wiley and Sons 2015

      43 Da Silva Rebelo, M. J., "Mistrust, anger, and hostility in refugees, asylum seekers, and immigrants: A systematic review" 59 (59): 239-251, 2018

      44 Denzin, N., "Interpretive Interactionism" Sage 1989

      45 Birks, M.,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Sage 2022

      46 Hadley, G., "Grounded Theory in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A Practical Guide" Taylor and Francis 2017

      47 De Coninck, D., "Fear of terrorism and attitudes toward refugees: An empirical test of group threat theory" 68 (68): 550-571, 2022

      48 Morse, J. M.,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Vol. 3)" Routledge 2016

      49 Żemojtel-Piotrowska, M, "Dark personality traits, political values, and prejudice: Testing a dual process model of prejudice towards refugees" 166 : 2020

      50 Charmaz, K.,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Sage 2014

      51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2006

      52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53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0

      54 Ajzen, I., "Attitude Structure and Function" Psychology Press 2014

      55 Mills, J., "Adopt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Grounded Theory: Implications for Research Design" 12 : 8-13, 2006

      56 법무부, "2021년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57 유엔난민기구, "2021년 글로벌 동향보고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