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생애경험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삶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Focusing on professional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6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삶을살아온 개인의 삶을 반추해보고,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책·제도·시대적 상황 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환경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삶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Mandelbaum의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삶의 영역은 “전문성의 확장”, “보건과 복지의 양면성”, “기울어진 실천현장”, “실천현장에서 살아남기”로 분석된다. 둘째, 전환점 영역은 “기회와 운”, “복지정체성 찾기”로 분석된다. 셋째, 적응영역은 “연대와 도전”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첫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복지중심 실천 강화, 둘째, 정신건강증진시설 특히 정신건강복지 센터의 승진제한 구조의 해결, 셋째,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마련, 넷째, 정신건강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연대 강화 등의 제언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삶을살아온 개인의 삶을 반추해보고,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책·제도·시대적 상황 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환�...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삶을살아온 개인의 삶을 반추해보고,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책·제도·시대적 상황 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환경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삶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Mandelbaum의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삶의 영역은 “전문성의 확장”, “보건과 복지의 양면성”, “기울어진 실천현장”, “실천현장에서 살아남기”로 분석된다. 둘째, 전환점 영역은 “기회와 운”, “복지정체성 찾기”로 분석된다. 셋째, 적응영역은 “연대와 도전”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첫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복지중심 실천 강화, 둘째, 정신건강증진시설 특히 정신건강복지 센터의 승진제한 구조의 해결, 셋째,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마련, 넷째, 정신건강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연대 강화 등의 제언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pplie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s to reflect on the individual’s life as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 and explores the policies, system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This also aims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liv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based on Mandelbaum’s analysis method show that the first, ‘dimension of ​life’ is analyzed as “expansion of expertise,” “two sides of health and welfare,” “inclined practice field,” and “survival in the practice field.” Second, ‘turning point’ area is analyzed as “Opportunity and Luck” and “Finding Welfare Identity.” Third, ‘adaptation’ was analyzed as “solidarity and challe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organization the medical-centered delivery system into a welfare-centered delivery system; Resolution of the advancement opportunity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system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social workers; Reinforcement solidarity in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번역하기

      This study applie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s to reflect on the individual’s life as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 and explores the policies, system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This also aims to analyze the int...

      This study applie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s to reflect on the individual’s life as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 and explores the policies, system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This also aims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liv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based on Mandelbaum’s analysis method show that the first, ‘dimension of ​life’ is analyzed as “expansion of expertise,” “two sides of health and welfare,” “inclined practice field,” and “survival in the practice field.” Second, ‘turning point’ area is analyzed as “Opportunity and Luck” and “Finding Welfare Identity.” Third, ‘adaptation’ was analyzed as “solidarity and challe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organization the medical-centered delivery system into a welfare-centered delivery system; Resolution of the advancement opportunity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system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social workers; Reinforcement solidarity in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은주, "청년기 재가 정신질환자의 생애사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2 최말옥,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리매김방안" 11-38, 2017

      3 박향경, "지역사회 기반의 정신장애인 서비스 지원 방안 및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79-109, 2022

      4 성정숙, "젠더관점에서 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일과일터’경험" 27-46, 2018

      5 차은수, "정신보건전문요원 장기 종사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세대, 회원들과 함께 하는 삶"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6 김경희, "정신보건전문요원 실태조사" 국립정신병원 2015

      7 이경아 ; 하경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기반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63-90, 2012

      8 임정숙 ; 윤명숙,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31-60, 2014

      9 이기연, "정신건강증진시설 인력의 교육실태분석을 통한 교육체계개발연구"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022

      10 전진아,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최근의 정책적 변화" 246 : 51-63, 2017

      1 전은주, "청년기 재가 정신질환자의 생애사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2 최말옥,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리매김방안" 11-38, 2017

      3 박향경, "지역사회 기반의 정신장애인 서비스 지원 방안 및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79-109, 2022

      4 성정숙, "젠더관점에서 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일과일터’경험" 27-46, 2018

      5 차은수, "정신보건전문요원 장기 종사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세대, 회원들과 함께 하는 삶"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6 김경희, "정신보건전문요원 실태조사" 국립정신병원 2015

      7 이경아 ; 하경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기반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63-90, 2012

      8 임정숙 ; 윤명숙,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31-60, 2014

      9 이기연, "정신건강증진시설 인력의 교육실태분석을 통한 교육체계개발연구"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022

      10 전진아,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최근의 정책적 변화" 246 : 51-63, 2017

      11 전준희,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현장의 수요와 공급 변화와 사회복지의과제" 11-38, 2019

      12 신정아,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13 최선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에 관한 질적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2020

      14 최선희 ; 강성율,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2279-2294, 2021

      15 홍선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존재 이유-커뮤니티 준비가 얼마나 되어 있는가?-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존재와 커뮤니티의 요구" 59-73, 2018

      16 박향경 ; 권자영,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7 (47): 5-34, 2019

      17 엄광진,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2022

      18 서소영,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과 직무환경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19 이주영,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20 이미화,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인제대학교일반대학원 2020

      21 전진아,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제공인력 보호 및 회복지원 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2 김도윤, "정신건강 전달체계와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위기" 31-54, 2018

      23 전진아, "정신건강 위기와 수요에 대응하는 한국의 정신건강서비스-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19-31, 2023

      24 이용표 ; 배진영, "장애인복지법 제15조 개정에 따른 대안입법 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22 (22): 263-294, 2022

      25 이기연, "온 국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와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역할" 53-78, 2022

      26 이혜경 ; 신희정, "여성정신장애인의 생애사 연구 - 경계 위에서 균형잡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7) : 189-230, 2011

      27 김나리, "업무환경이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28 이동훈 ; 김유진 ; 신지영,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369-400, 2015

      29 김진숙 ; 전지형, "생애사연구를 통해 본 남성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경험" 생명문화연구소 52 : 201-223, 2019

      30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31 조휴정,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속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32 박은주, "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 수퍼비전이 수퍼바이저의 역량강화에 주는 경험적 의미" 사회복지정책실천회 9 (9): 183-226, 2023

      33 최영화 ; 초의수, "사회복지 종사자의 일자리의 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산시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8 (8): 89-132, 2022

      34 이상훈, "국가정신건강인력대책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24 (24): 1-8, 2019

      35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 정신건강현황보고서 2021" 2022

      36 Bailey, D., "The role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Political pawns in the reconfiguration of adult health and social care" 42 (42): 1113-1131, 2012

      37 최현주 ; 최관, "Some Observations on the Changing Role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in Contemporary UK Society" 사회과학연구원 2 (2): 277-307, 2009

      38 보건복지부, "2021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