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2015년에 이어지는 중부지방의 가뭄으로 유래가 없는 수자원 고갈의 위험을 겪었으며 일부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대가뭄의 경고가 실현되고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기본적으로 무강우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36677
2015
-
500
학술저널
80-80(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4~2015년에 이어지는 중부지방의 가뭄으로 유래가 없는 수자원 고갈의 위험을 겪었으며 일부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대가뭄의 경고가 실현되고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기본적으로 무강우가 ...
2014~2015년에 이어지는 중부지방의 가뭄으로 유래가 없는 수자원 고갈의 위험을 겪었으며 일부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대가뭄의 경고가 실현되고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기본적으로 무강우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가뭄은 지표유출의 저하와 그로 인한 하천흐름의 감소가 수반될 수밖에 없고 하천흐름의 감소는 가용수자원의 감소뿐만 아니라 주변 생태계 건전성도 위협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가뭄에 의한 영향으로 감소되는 하천흐름을 모의함으로써 지역별 가뭄위험지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격자기반의 분포형 유출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 입력 자료의 구축과 사용자 메뉴를 구성하였다. 모델은 ArcGIS의 Extension형태로 구현되었으며 입출력자료는 지오데이터베이스(geodatabase)로 처리되도록 하였다. 가뭄분석은 경기도 지역으로 한정하였고 표준유역단위에서 개별적으로 하천흐름을 모의한 후 해당 결과들을 병합하여 경기도 내 표준유역별 가뭄위험을 지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