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90년 이후 강원 영동지역 산불 변화 특성 =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at Yeongdong in Gangwondo since 199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0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idence and the area of forest fires at Yeongdong in Gangwon-do were increased in 2000s compared to 1990s. However, few research have tried the increase of forest fires depending on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weather on meteorological factor. Precipitation, duration of precipitation, and relative humidity at Yeongdong were decreased during warning period of forest fires in 2000s, whereas mean temperature and days of minimum humidity were increased, and days of precipitation and mean wind velocity did not much change. To see the effect of the incidence of forest fi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dependent variable (occurrences and area of forest fires) and independent variable (precipitation, duration of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days of minimum humidity, mean temperature and mean wind velocit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forest fire was highly affected by days of minimum humidity and mean wind velocity, and the area of forest fire was affected by mean wind velocity.
      번역하기

      The incidence and the area of forest fires at Yeongdong in Gangwon-do were increased in 2000s compared to 1990s. However, few research have tried the increase of forest fires depending on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weather on meteorological factor...

      The incidence and the area of forest fires at Yeongdong in Gangwon-do were increased in 2000s compared to 1990s. However, few research have tried the increase of forest fires depending on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weather on meteorological factor. Precipitation, duration of precipitation, and relative humidity at Yeongdong were decreased during warning period of forest fires in 2000s, whereas mean temperature and days of minimum humidity were increased, and days of precipitation and mean wind velocity did not much change. To see the effect of the incidence of forest fi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dependent variable (occurrences and area of forest fires) and independent variable (precipitation, duration of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days of minimum humidity, mean temperature and mean wind velocit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forest fire was highly affected by days of minimum humidity and mean wind velocity, and the area of forest fire was affected by mean wind velo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강원도 영동지역은 '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이 많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기상인자를 산불과 비교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영동지역의 산불조심기간 중 기후분석 결과 '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의 강수량. 강수계속시간, 상대습도는 감소하였고 평균기온과 최소습도일수는 증가하였으며 강수일수와 평균풍속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91년-2009년에 발생된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을 종속변수로 기상인자인 강수량, 강수일수, 상대습도, 최소습도일수, 평균기온, 평균풍속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불발생건수는 최소습도일수와 평균풍속이 가장 큰 영향인자로 나타났으며 산불피해면적은 평균풍속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강원도 영동지역은 '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이 많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기상인자를 산불과 비교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영동지역의 ...

      강원도 영동지역은 '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이 많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기상인자를 산불과 비교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영동지역의 산불조심기간 중 기후분석 결과 '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의 강수량. 강수계속시간, 상대습도는 감소하였고 평균기온과 최소습도일수는 증가하였으며 강수일수와 평균풍속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91년-2009년에 발생된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을 종속변수로 기상인자인 강수량, 강수일수, 상대습도, 최소습도일수, 평균기온, 평균풍속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불발생건수는 최소습도일수와 평균풍속이 가장 큰 영향인자로 나타났으며 산불피해면적은 평균풍속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수, "통계에 따른 50년간 국내 산불발생원인 변화 분석" 한국방재학회 13 (13): 275-280, 2013

      2 이시영, "기상특성을 이용한 전국 산분발생확률 모형 개발" 한국농림기상학회 6 (6): 242-249, 2004

      3 이시영, "강원 영동지역 봄철 산불대형화 영향 기상요소 분석" 한국방재학회 11 (11): 37-43, 2011

      4 McCoy, V. M., "Potential alteration by climate change of the forest-fire regine in the boreal forest of central Yukon Territory" 58 (58): 276-285, 2005

      5 Pyne, S.J., "Introduction to Wildland Fire" JOHN WILEY & SONS, INC 48-127, 1996

      6 Shin, J.H., "Forest vegetation zone and ecosystem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f environmental monitoring in east asia(EMEA)" 68-77, 1999

      7 Piñol, J., "Climate warning, wirdfire hazard, and wildfire occurrence in coastal eastern spain" 38 (38): 345-357, 1998

      8 Flannigan, M. D., "Climate change and forest fires" 262 (262): 221-229, 2000

      9 Lee, B. D., "Analyzing spread rate of Samcheok forest fire broken out in 2000 using GIS" 90 (90): 781-787, 2000

      10 Cunningham, A.A., "A Stochastic Model for the Occuurrence of Man-Casued Forest Fires" 3 : 282-287, 1972

      1 김승수, "통계에 따른 50년간 국내 산불발생원인 변화 분석" 한국방재학회 13 (13): 275-280, 2013

      2 이시영, "기상특성을 이용한 전국 산분발생확률 모형 개발" 한국농림기상학회 6 (6): 242-249, 2004

      3 이시영, "강원 영동지역 봄철 산불대형화 영향 기상요소 분석" 한국방재학회 11 (11): 37-43, 2011

      4 McCoy, V. M., "Potential alteration by climate change of the forest-fire regine in the boreal forest of central Yukon Territory" 58 (58): 276-285, 2005

      5 Pyne, S.J., "Introduction to Wildland Fire" JOHN WILEY & SONS, INC 48-127, 1996

      6 Shin, J.H., "Forest vegetation zone and ecosystem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f environmental monitoring in east asia(EMEA)" 68-77, 1999

      7 Piñol, J., "Climate warning, wirdfire hazard, and wildfire occurrence in coastal eastern spain" 38 (38): 345-357, 1998

      8 Flannigan, M. D., "Climate change and forest fires" 262 (262): 221-229, 2000

      9 Lee, B. D., "Analyzing spread rate of Samcheok forest fire broken out in 2000 using GIS" 90 (90): 781-787, 2000

      10 Cunningham, A.A., "A Stochastic Model for the Occuurrence of Man-Casued Forest Fires" 3 : 282-287,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