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 2.0 기반의 지리정보를 활용한 경관자원 평가 -구글어스를 사례로- =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Using Web 2.0-based Geographic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7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웹 2.0기반의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경관자원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구글어스에 등록되어 있는 파노라미오(Panoramio) 사진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위치기반의 지리정보에 대해 밀도분석을 수행함으로서 연구지역의 경관자원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경관사진에 대한 밀도 분석 결과와 그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에서 선정한 대표경관을 비교함으로서, 경관자원의 중요도에 대한 지방정부와 일반인이 현실적인 시각 차이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록 웹 2.0 기반의 지리정보는 그 역사가 짧긴 하지만, 경관자원의 평가라는 측면에서는 기존의 설문방법 등을 충분히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웹 2.0기반의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경관자원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구글어스에 등록되어 있는 파노라미오(Panoramio) 사진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

      본 연구는 웹 2.0기반의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경관자원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구글어스에 등록되어 있는 파노라미오(Panoramio) 사진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위치기반의 지리정보에 대해 밀도분석을 수행함으로서 연구지역의 경관자원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경관사진에 대한 밀도 분석 결과와 그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에서 선정한 대표경관을 비교함으로서, 경관자원의 중요도에 대한 지방정부와 일반인이 현실적인 시각 차이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록 웹 2.0 기반의 지리정보는 그 역사가 짧긴 하지만, 경관자원의 평가라는 측면에서는 기존의 설문방법 등을 충분히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 in Gangwon-Do using web2.0 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or this, the landscape pictures are collected from Panoramio that is serviced on Google Earth. And density analysis is performed from collecting landscape picture`s location information. The density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selected landscape from local government for activ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And It will show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andscape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general public. As a result, Web2.0-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is short history, but that is enough to complement existing research method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 in Gangwon-Do using web2.0 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or this, the landscape pictures are collected from Panoramio that is serviced on Google Earth. And density analysis is performe...

      This research is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 in Gangwon-Do using web2.0 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or this, the landscape pictures are collected from Panoramio that is serviced on Google Earth. And density analysis is performed from collecting landscape picture`s location information. The density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selected landscape from local government for activ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And It will show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andscape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general public. As a result, Web2.0-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is short history, but that is enough to complement existing research meth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파노라미오"

      2 홍일영, "지리정보로 열어가는 모바일 웹2.0 세상" 2007 (2007): 5-31, 2007

      3 최화춘, "웹2.0 환경에서 관광정보 생성 및 획득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행사게시판과 UCC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3 (33): 227-244, 2009

      4 강영옥, "웹2.0 환경변화가 지리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 고찰" 대한지리학회 43 (43): 375-391, 2008

      5 이종수,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7): 81-100, 2008

      6 "구글어스"

      7 "구글맵"

      8 배선학, "개발 밀도의 변화 분석과 환경규제 갈등 예측 -평창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282-291, 2009

      9 "ESRI"

      10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한국인터넷백서" 2007

      1 "파노라미오"

      2 홍일영, "지리정보로 열어가는 모바일 웹2.0 세상" 2007 (2007): 5-31, 2007

      3 최화춘, "웹2.0 환경에서 관광정보 생성 및 획득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행사게시판과 UCC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3 (33): 227-244, 2009

      4 강영옥, "웹2.0 환경변화가 지리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 고찰" 대한지리학회 43 (43): 375-391, 2008

      5 이종수,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7): 81-100, 2008

      6 "구글어스"

      7 "구글맵"

      8 배선학, "개발 밀도의 변화 분석과 환경규제 갈등 예측 -평창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282-291, 2009

      9 "ESRI"

      10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한국인터넷백서"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