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 인성교육의 철학적 이론 기초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연구 배경으로는 한국에서 2015년 7월 21일부터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사람의 존재본질로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393114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7-180(2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 인성교육의 철학적 이론 기초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연구 배경으로는 한국에서 2015년 7월 21일부터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사람의 존재본질로서...
이 논문은 한국 인성교육의 철학적 이론 기초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연구 배경으로는 한국에서 2015년 7월 21일부터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사람의 존재본질로서의 인성의 정확한 함의가 무엇인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확히 모른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물론 몇몇 선행 연구논문들은 인성함양의 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우리에게 공동의 인식기반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한국 인성교육의 실질적 성과를 산출해 내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에 우리는 인성교육의 기본 토대부터 상호 인식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의 잠재적 역량으로서 덕(德: arete)를 실천적 행동을 통해 실현해 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이것이 자아실현의 길이라고 보았다. 다산은 주자철학에서 말하는 것처럼 인의예지의 도덕본성이 사람의 마음에 선천적으로 구비되어 있다고 보는 인성본선론을 비판·부정하였다. 그는 향선(向善)의 경향성을 잘 살려서 선(善)을 실현해 낼 것을 강조하였다. 향선의 경향성을 살리는 실천적 노력을 통해 사람은 덕을 갖춘 선한 사람이 될 수가 있다고 보았다. 다산의 관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유사하다. 이처럼 가능태를 현실태로 바꾸는 노력에 의해 사람은 인성을 함양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다산의 인성향선론을 한국 인성교육의 이론적 토대로 제시하고자 한다. 물론 인성향선론에 맞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찾고 그것을 교육과정 전체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philosophical theory for the foundation of humanity education in Korea.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we can point out that although the law for the promotion of humanity education from on July 21st in Korea, few...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philosophical theory for the foundation of humanity education in Korea.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we can point out that although the law for the promotion of humanity education from on July 21st in Korea, few people has no idea of humanity education. A few research articles have been focused 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human nature. They indicate the various viewpoints about humanity education. But they did not give us the theoretical co-understanding basement for humanity. It is not easy for us to make some practical achievements for humanity education in Korea. So we have to make the co-understanding frame about the humanity education. Aristotle argues: Human being has the arete as the potentiality. Therefore we have to make a practice repeatedly so that the arete can be realized. He has considered it as the way toward the self-realization. Da San has critisized and denied the theory of mind and heart of Zhu Xi`s philosophy that human being has the Ren·Yi·Li·Zhi as the apriori innate humanity. Da San insists that human being has the inclination or disposition toward goodness. So if we made a cultivation for this inclination, we can be a good person that has a good virtue. Da San`s viewpoint is very similar to Aristotle`s. That is to speak, if we tried to let the potentiality make the actuality, everybody can make a cultivation for humanity. So now and here I suggest Da San`s the theory of human nature toward goodness for humanity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us to find the diverse education programs fitted for the theory of human nature toward goodness and carry out them through the entire education proced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승희, "품격 있는 사회를 위한 유교의 인성교육 담론" 동양철학연구회 (62) : 301-332, 2010
2 안영석, "청소년 人性敎育에 대한 유학적 시론" 한국유교학회 (58) : 149-176, 2014
3 진성수, "전통교육을 통해 본 현대 청소년인성교육 학습모형 개발 방안" 한국철학사연구회 (30) : 283-310, 2010
4 이한구, "인성교육의 한국적 전통" 한국초등교육학회 10 : 1996
5 박의수,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 교육문제연구소 (28) : 1-22, 2007
6 송영배, "동서철학의 교섭과 동서양 사유방식의 차이" 논형 2004
7 정상봉, "다산의 인간관과 孝⋅弟⋅慈의 실천" 한국철학사연구회 (43) : 107-139, 2014
8 이창우,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9 "與猶堂全書"
10 "孟子"
1 장승희, "품격 있는 사회를 위한 유교의 인성교육 담론" 동양철학연구회 (62) : 301-332, 2010
2 안영석, "청소년 人性敎育에 대한 유학적 시론" 한국유교학회 (58) : 149-176, 2014
3 진성수, "전통교육을 통해 본 현대 청소년인성교육 학습모형 개발 방안" 한국철학사연구회 (30) : 283-310, 2010
4 이한구, "인성교육의 한국적 전통" 한국초등교육학회 10 : 1996
5 박의수,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 교육문제연구소 (28) : 1-22, 2007
6 송영배, "동서철학의 교섭과 동서양 사유방식의 차이" 논형 2004
7 정상봉, "다산의 인간관과 孝⋅弟⋅慈의 실천" 한국철학사연구회 (43) : 107-139, 2014
8 이창우,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9 "與猶堂全書"
10 "孟子"
11 唐君毅, "中國哲學原論" 學生書局 1986
12 장승희,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 - 행복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37) : 75-104, 2015
13 김민수, "‘인성교육’ 담론에서 ‘인성’ 개념의 근거"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69-206, 2014
사단부중절(四端不中節) 논변으로 본 퇴계(退溪) 리발설(理發說)의 의미
역학사상(易學思想) 입장에서 본 `이견대 (利見臺)`의 의미 연구
조선시대 궁궐(宮闕) 건축의 원리와 그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예(禮) 연구 - 경복궁(景福宮)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