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서사철학적 독법을 제안하며, 자로의 인성함양을 주제로 서사철학적 독법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서사철학적 독법은 개념-논리-이론의 기존독법을 서사제재-서사세계-서사로 대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393116
2016
Korean
사사철학 ; 논어 ; 자로 ; 서사제재 ; 서사세계 ; Narrative Philosophy ; Zilu ; Lunyu ; Narrative themes ; Narrative world.
KCI등재
학술저널
211-241(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서사철학적 독법을 제안하며, 자로의 인성함양을 주제로 서사철학적 독법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서사철학적 독법은 개념-논리-이론의 기존독법을 서사제재-서사세계-서사로 대체...
본고는 서사철학적 독법을 제안하며, 자로의 인성함양을 주제로 서사철학적 독법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서사철학적 독법은 개념-논리-이론의 기존독법을 서사제재-서사세계-서사로 대체하여 고전을 읽어내는 방법을 가리킨다. 본고는 이러한 독법을 자로의 인성함양이라는 주제로 설명하고자 한다. 서사철학적 독법으로 분석한 자로의 인성함양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로의 인성함양은 `장검(長劍)에서 슬(瑟)로`, `웅계(雄鷄)·가돈(?豚)에서 결영(結纓)으로` 라는 서사제재들 사이의 관계로 설명될 수 있다. 이제재들의 관계는 의가 없는 용(無義之勇)에서 의로운 용(有義之勇), 무례한용(無禮之勇)에서 예를 갖춘 용(有禮之勇), 무학의 거침(無學之野)에서 배움을 갖춘 예(有學之禮)로의 변화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둘째, 서사제재는 서사세계를 대동하고, 서사세계는 경전 안팎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서사의 지속과 연장은 필연적이다. 자로의 야(野)·례(禮)·용(勇)·인(仁)에 관한 서사는 실제로도 『설원』, 『한시외전』, 『공자세가』 등의 후대 주석서에서 생성된 서사세계 속에서 지속되고 연장되고 있다. 셋째, 『논어』의 독립적이고 분절적서사들이 자체적으로 완정한 조합을 지향하고 있다기보다는, 기본적으로 열린 서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논어』가 열린 서사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역대의 주석서나 관련 서적에서는 지속적으로 자로의 서사제재를 보충하고 서사세계를 연장할 수 있었다. 넷째, 서사철학적 독법은 『논어』를 비롯한 고전들의 도덕적 개념-논리-이론들을 서사제재-서사세계-서사 속에 풀어냄으로써, 구체적 인물의 인성 변화를 추적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다섯째, 서사철학적 독법으로 연장되고 재구성된 서사제재와 서사세계는 기존의 해석방법에 새로운 텍스트를 제공한다. 서사철학적 독법은 이렇게 경전의 내용에 기초해서 그 서사를 새롭게 생산함으로써, 경전의 가치와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at a reading of Lunyu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philosophy is possible has already been proved by the historical studies or commentaries on Lunyu. In short, the significance of the new reading of Lunyu from the standpoint of narrative philos...
That a reading of Lunyu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philosophy is possible has already been proved by the historical studies or commentaries on Lunyu. In short, the significance of the new reading of Lunyu from the standpoint of narrative philosoph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unyu can be interpreted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hemes. Zilu a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and the change of his ethical awareness in Lunyu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hemes: `from long sword to lyre`, `the ornament of cock feathers and boar leather` (雄鷄·?豚) to `wearing official hat properly` (結纓). These narrative themes clearly explain the meaning of from `bravery without righteousness` (無義之勇) to `bravery with righteousness` (有義之勇), from `bravery without courtesy` (無禮之勇) to `bravery with courtesy` (有禮之勇), and from `crudity without learning` (無學之野) to `courtesy with learning` (有學之禮). These narrative themes are also substitutes for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ethics. Second, since the interpretation of a narrative is always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ve, that is, the narrative world, continuation and extension of the narrative are inevitable. The narrative of righteousness, bravery, filial piety, and courtesy of Zilu is actually continued and extended through the narrative world generated in commentaries like Shuoyuan (『說苑』), Hanshiwaizhuan (『韓詩外傳 』), and Kongzijiayu (『孔子家語』). Becaus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narratives of Lunyu is possible thorough access to the narrative world, a rediscovery of the value of meaning of Lunyu is read on the premise of the generation of the narrative world. Third, the narrative approach to the text of Lunyu, the narratives, and the narrative world are reconstructed. This paper could deal with the narrative of Zilu and the narrative world not because the narratives in Lunyu are oriented to a complete combination in themselves but because they show basically an open-ended narrative structure. Due to the open-ended narrative structure of Lunyu, the text is continuously reconstructed and reformed beyond space and time. Fourth, the Lunyu as a text of narrative philosophy does not contradict the Lunyu that has been analyzed by the conventional philosophical methodology that was creating theories by threading concepts with logic. Fifth, the reading of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philosophy offers a method to approach the morality and values of Lunyu, which had been measured by the perspective of moral metaphysics, from more diverse and multi-dimensional angles. These five aspects of the significance of the reading based on narrative philosophy tell us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reading Lunyu from the angle of narrative philosophy, and at the same time they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the reading based on narrative philosophy that is inherent in the text of Lunyu itself.
참고문헌 (Reference)
1 H. 포터 애봇, 문학과지성사 2010
2 楊伯峻, "論語譯註" 中華書局 2000
3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10
4 폴 코블리, "내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5 韓嬰, "韓詩外傳今注今譯" 臺灣商務印書館 1979
6 向宗魯, "說苑校證" 中華書局 1987
7 趙時雍, "年表一卷" 北京圖書館出版社 1999
8 王國軒, "孔子家語" 中華書局 2009
9 管正平, "子路成長的分期考察" 41 (41): 2012
10 陳曦, "司馬遷筆下子路之死探微" 1 : 2000
1 H. 포터 애봇, 문학과지성사 2010
2 楊伯峻, "論語譯註" 中華書局 2000
3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10
4 폴 코블리, "내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5 韓嬰, "韓詩外傳今注今譯" 臺灣商務印書館 1979
6 向宗魯, "說苑校證" 中華書局 1987
7 趙時雍, "年表一卷" 北京圖書館出版社 1999
8 王國軒, "孔子家語" 中華書局 2009
9 管正平, "子路成長的分期考察" 41 (41): 2012
10 陳曦, "司馬遷筆下子路之死探微" 1 : 2000
11 "十三經註疎 6권, 8권, 10권" 北京大學校出版社 1999
12 仲大軍, "儒家奠基人孔子與子路關係新探" 35 (35): 2009
13 "二十五史" 中華書局 1980
14 余敦康, "中國哲學論集" 遼寧大學出版社 1998
15 David Herman, "Routledge Encyclopedia of Narrative Theory" Routledge 2008
사단부중절(四端不中節) 논변으로 본 퇴계(退溪) 리발설(理發說)의 의미
역학사상(易學思想) 입장에서 본 `이견대 (利見臺)`의 의미 연구
조선시대 궁궐(宮闕) 건축의 원리와 그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예(禮) 연구 - 경복궁(景福宮)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