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만파식적(萬波息笛)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견대(利見臺)와 만파식적은 별로 관련 없어 보이지만 만파식적이 발견되는 과정과 이견대는 서로 상관성을 보인다. 만파식적은 태극과 음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393112
2016
Korean
이견대(利見臺) ; 만파식적(萬波息笛) ; 감은사(感恩寺) ; 건괘(乾卦) ; 명이괘(明夷卦) ; 대인(大人) ; 문무대왕(文武大王) ; 김유신(金庾信) ; Lijiantai ; Wanboxidi ; Ganensi ; Qiangua ; Mingyigua ; Daren ; King Wenwu ; Jin Yu-xin.
KCI등재
학술저널
99-123(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먼저 만파식적(萬波息笛)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견대(利見臺)와 만파식적은 별로 관련 없어 보이지만 만파식적이 발견되는 과정과 이견대는 서로 상관성을 보인다. 만파식적은 태극과 음양...
먼저 만파식적(萬波息笛)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견대(利見臺)와 만파식적은 별로 관련 없어 보이지만 만파식적이 발견되는 과정과 이견대는 서로 상관성을 보인다. 만파식적은 태극과 음양을 모두 상징하는 의미의 피리이다. 이러한 만파식적은 음양을 포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원초적으로 이견대와 관련된다. 만약 대인을 만나지 못했을 경우를 상정해 보았다. 대인을 만나지 못했을 경우 『주역』에 비추어 보면 명이괘(明夷卦)처럼 된다. 아무리 신하로서 현명하더라도 군주가 은나라 주임금처럼 암울한 군주이면 자신의 밝음을 드러낼 수 없었다. 밝음은 현명한 군주인 무왕을 만났을 때 비로소 밖으로 드러내게 된 것이다. 대인을 만났을 경우를 건괘(乾卦)에 비교해 살펴보았다. 구이와 구오는 본래 서로 상응하는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구이에서 대인은 구오를 가리키고 구오에서 대인은 구이를 가리킨다. 이 둘이 현명함으로 상응하는 것을 보는 것이 이롭게 된다. 구이를 김유신으로 보고 구오를 문무대왕으로 보았을 때, 현명한 신하와 현명한 군주를 바라보는 것이 이롭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견대는 바닷가에서 문무대왕의 수중릉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st, Wanboxidi(萬波息笛) was examined. Lijiantai(利見臺) seems unrelated to Wanboxidi(萬波息笛), but the processes of how Wanboxidi(萬波息笛) was found and Lijiantai(利見臺) are correlated. Wanboxidi(萬波息笛) is a pipe symboli...
First, Wanboxidi(萬波息笛) was examined. Lijiantai(利見臺) seems unrelated to Wanboxidi(萬波息笛), but the processes of how Wanboxidi(萬波息笛) was found and Lijiantai(利見臺) are correlated. Wanboxidi(萬波息笛) is a pipe symbolizing and meaning both Taiji(太極) and Yin(陰) and Yang(陽). This Wanboxidi(萬波息 笛) is primitively associated with Lijiantai(利見臺) in that it includes Yin(陰) and Yang(陽). The case when one cannot meet a great man was presumed. In that case, it becomes like Mingyigua(明夷卦) according to Zhouyi(『周易』). Even though one is very wise as a vassal, when a king is gloomy as King Zhou(紂), the vassal cannot show his brightness. Brightness becomes expressed to the outside at last when a vassal meets a wise king, King Wu(武). The case when one meets a great man was examined compared to Qiangua(乾卦). Jiuer(九二) and Jiuwu(九五) are originally in the relation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ccordingly, a great man in Jiuer(九二) refers to Jiuwu(九五), and that in Jiuwu(九五) means Guee. It becomes advantageous to see these two correspond with wisdom. When Jiuer(九二) is regarded as Jin Yu-xin(金庾信) and Jiuwu(九五) as King Wenwu(文武大王), it becomes beneficial to look at the wise vassal and the sensible king. That`s why Lijiantai(利見臺) faces the underwater royal tomb of King Wenwu(文武大王) from the seashore.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승국,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전5책)" 이회문화사 2002
3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전5책)" 이회문화사 2002
4 유승국,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사적편(상,하)" 문화재청 1999
5 이범교,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상,하)" 민족사 2005
6 이범교,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상,하)" 민족사 2005
7 송효섭, "삼국유사와 기호학" 일조각 1993
8 송효섭, "삼국유사와 기호학" 일조각 1993
9 최남선, "삼국유사" 경인문화사 2013
10 김원중,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1 유승국,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전5책)" 이회문화사 2002
3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전5책)" 이회문화사 2002
4 유승국,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사적편(상,하)" 문화재청 1999
5 이범교,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상,하)" 민족사 2005
6 이범교,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상,하)" 민족사 2005
7 송효섭, "삼국유사와 기호학" 일조각 1993
8 송효섭, "삼국유사와 기호학" 일조각 1993
9 최남선, "삼국유사" 경인문화사 2013
10 김원중,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11 김원중,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12 최남선, "삼국유사" 경인문화사 2013
13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사적편(상,하)" 문화재청 1999
14 "周易正義(十三經注疏整理本1)" 中國北京大學出版社 2000
사단부중절(四端不中節) 논변으로 본 퇴계(退溪) 리발설(理發說)의 의미
조선시대 궁궐(宮闕) 건축의 원리와 그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예(禮) 연구 - 경복궁(景福宮)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