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위의 문제점과 한계를 뛰어 넘어 대마도정벌을 왜구문제를 둘러싼 한․중․일 삼국 간에 전개된 국제적 전쟁의 시각에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 정벌을 둘러싸고 전개된 한․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9623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위의 문제점과 한계를 뛰어 넘어 대마도정벌을 왜구문제를 둘러싼 한․중․일 삼국 간에 전개된 국제적 전쟁의 시각에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 정벌을 둘러싸고 전개된 한․중...
본 연구는 위의 문제점과 한계를 뛰어 넘어 대마도정벌을 왜구문제를 둘러싼 한․중․일 삼국 간에 전개된 국제적 전쟁의 시각에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 정벌을 둘러싸고 전개된 한․중․일간의 전개된 전쟁의 양상과 추이를 정리하였다.
또한 대마도를 실제 방문하여 해상과 육상의 전투장소를 각각 확인하였고, 그 지형적 특징을 분석한 후 전개된 전투상황을 실증적으로 정리하여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밝혔다.
한편 전쟁의 진행과정과 작전상황을 한․중․일자료를 비교분석하고 상밀하게 연구하여 전체적인 전쟁의 추이를 정확하고 새롭게 정리하였다.
또 전쟁의 결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마도와 조선과의 관계정립이 어떻게 귀결되었는지를 명확히 밝혀내었다. 끝으로 이 전쟁의 결과 동아시아의 왜구의 준동이 종식되고 동아시아의 새로운 국제질서 관계가 정립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