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신손해에 대한 불법행위의 유형과 책임 내용에 대한 연구 -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ypes and Liability of Personal Harm by Torts - focusing Restatement of Torts (Third)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merican Restatements are not binding law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ecedents in court cases so that it has not been clear what would be standards of current torts cases in the United States. For this reason, the American Law Institute has attempted to make similar legal codes after making professional groups, such as professors, judges, and lawyers, in each discipline as experts, and for a long time to create important contents in certain specific areas. The most cited Restatements in the US law schools have been the Restatements Second of Contracts.
      Recently, in tort law more and more legal authors have cited the contents of the Restatements third Torts compared to those of second editions.
      So far, three third Restatements have been published in the US Tort Law.
      The first is Product Liability Restatement released in 1998, and the second is Apportionment of Liability Restatement in 2000. The third i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published with two volumes in 2010 and 2012. The Liability for Economic Harm and Intentional Torts to Persons are the fourth and fifth Restatements of the Third Edition of the American Law Institute’s Tort Law projects. There are 65 sections in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whose provisions have described the recent trends and theories of US Tort Law.
      The provisions of American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have partially replaced those of the second Restatement of Torts.
      Thu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have shown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f US Tort Law. In this article,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contents of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In II. This author has studed the purposes and dealing areas pursued by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In III, this author has explained how the provisions have worked, along with specific details of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In IV, this author has finally summarized on what he has discussed so far, and proposed what the implications of the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would be for Korean tort law.
      번역하기

      The American Restatements are not binding law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ecedents in court cases so that it has not been clear what would be standards of current torts cases in the United States. For this reason, the American Law Institute has ...

      The American Restatements are not binding law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ecedents in court cases so that it has not been clear what would be standards of current torts cases in the United States. For this reason, the American Law Institute has attempted to make similar legal codes after making professional groups, such as professors, judges, and lawyers, in each discipline as experts, and for a long time to create important contents in certain specific areas. The most cited Restatements in the US law schools have been the Restatements Second of Contracts.
      Recently, in tort law more and more legal authors have cited the contents of the Restatements third Torts compared to those of second editions.
      So far, three third Restatements have been published in the US Tort Law.
      The first is Product Liability Restatement released in 1998, and the second is Apportionment of Liability Restatement in 2000. The third i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published with two volumes in 2010 and 2012. The Liability for Economic Harm and Intentional Torts to Persons are the fourth and fifth Restatements of the Third Edition of the American Law Institute’s Tort Law projects. There are 65 sections in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whose provisions have described the recent trends and theories of US Tort Law.
      The provisions of American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have partially replaced those of the second Restatement of Torts.
      Thu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have shown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f US Tort Law. In this article,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contents of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In II. This author has studed the purposes and dealing areas pursued by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Restatement. In III, this author has explained how the provisions have worked, along with specific details of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In IV, this author has finally summarized on what he has discussed so far, and proposed what the implications of the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would be for Korean tort la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 보통법전집은 구속력 있는 실정법이 아니다. 그러나 법원 판례로너무나 많은 판례가 쌓여서, 미국 내에 무엇이 판단 기준이 되는 법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런 이유로 미국법률협회(American Law Institute)는 각 분야의 많은 교수, 판사, 변호사를 전문가 집단으로구성하고 오랫동안 일정 영역의 중요한 내용을 법전 형식의 내용으로 만들었다. 미국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보통법전집은 계약법 제2판이고, 최근에는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과 견주어 제3판의 내용을 인용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으로 세 가지 결과물이 간행되었다. ‘제조물책임’ 보통법전집이 1998년에 처음 나왔고, 두 번째로‘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분배’ 규정이 나왔다. 세 번째로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이 2010년과 2012년에 걸쳐서 두 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리고 ‘경제적인 손해에 대한 책임’(Liability for Economic Harm)과 ‘사람에 대한 고의 불법행위’(Intentional Torts to Persons)가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결과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에는모두 65개의 조문이 있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정신적 손해 규정은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과 달리, 최근 미국불법행위의 이론과 판례 흐름을 좀 더 친절하게 설명한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은 해당 조문이 어느 판례를 근거로 만들었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은 어느 조문이 어떤 판례를 기초로 만든 규정인지를 명확하게 설명한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 손해 규정은 부분적으로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을 대체한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은 인신손해에 대한 미국 불법행위의 최근 연구 성과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 내용을 살피고자 한다. 먼저II.에서는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이 추구하는 목적과 다루는 영역을 살핀다. III.에서는 미국 불법행위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의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그 규정이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설명한다. IV.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이 현행 우리 불법행위법에 주는 시사점을 밝힌다.
      번역하기

      미국 보통법전집은 구속력 있는 실정법이 아니다. 그러나 법원 판례로너무나 많은 판례가 쌓여서, 미국 내에 무엇이 판단 기준이 되는 법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런 이유...

      미국 보통법전집은 구속력 있는 실정법이 아니다. 그러나 법원 판례로너무나 많은 판례가 쌓여서, 미국 내에 무엇이 판단 기준이 되는 법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런 이유로 미국법률협회(American Law Institute)는 각 분야의 많은 교수, 판사, 변호사를 전문가 집단으로구성하고 오랫동안 일정 영역의 중요한 내용을 법전 형식의 내용으로 만들었다. 미국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보통법전집은 계약법 제2판이고, 최근에는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과 견주어 제3판의 내용을 인용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으로 세 가지 결과물이 간행되었다. ‘제조물책임’ 보통법전집이 1998년에 처음 나왔고, 두 번째로‘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분배’ 규정이 나왔다. 세 번째로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이 2010년과 2012년에 걸쳐서 두 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리고 ‘경제적인 손해에 대한 책임’(Liability for Economic Harm)과 ‘사람에 대한 고의 불법행위’(Intentional Torts to Persons)가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결과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에는모두 65개의 조문이 있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정신적 손해 규정은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과 달리, 최근 미국불법행위의 이론과 판례 흐름을 좀 더 친절하게 설명한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은 해당 조문이 어느 판례를 근거로 만들었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은 어느 조문이 어떤 판례를 기초로 만든 규정인지를 명확하게 설명한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 손해 규정은 부분적으로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을 대체한다.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은 인신손해에 대한 미국 불법행위의 최근 연구 성과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 내용을 살피고자 한다. 먼저II.에서는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이 추구하는 목적과 다루는 영역을 살핀다. III.에서는 미국 불법행위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의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그 규정이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설명한다. IV.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3판 재산 손해와 정신적 손해 규정이 현행 우리 불법행위법에 주는 시사점을 밝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세일, "토지 점유자, 매도인, 임대인의 과실 불법행위 책임 -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의 규정을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7) : 61-110, 2015

      2 방준식, "쟁의행위로 인한 책임의 제한" 법학연구소 27 (27): 43-70, 2015

      3 고세일, "자동차 사고에 따른 적정한 책임 분배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25 (25): 321-358, 2014

      4 김봉수, "유럽계약법(PECL, DCFR, CESL)상 손해경감의무의 규율과 쟁점"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1 (21): 73-107, 2018

      5 미국사법제도연구반, "외국사법제도연구(1)" 법원행정처 2007

      6 고세일, "수급인을 사용한 도급인의 불법행위책임 - 미국 불법행위법의 independent contractor의법리를 중심으로 -" 한국재산법학회 35 (35): 33-61, 2018

      7 전윤구, "소송을 통한 차별구제방안 연구"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5 : 201-231, 2009

      8 조규창, "비교법(상)" 소화 2005

      9 고세일, "불법행위의 예견가능성과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연구 – 민법 제763조의 준용에 따른 민법 제393조의 해석문제 –" 한국민사법학회 66 : 137-183, 2014

      10 하경효, "보통유럽매매법" 세창출판사 2013

      1 고세일, "토지 점유자, 매도인, 임대인의 과실 불법행위 책임 - 미국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의 규정을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7) : 61-110, 2015

      2 방준식, "쟁의행위로 인한 책임의 제한" 법학연구소 27 (27): 43-70, 2015

      3 고세일, "자동차 사고에 따른 적정한 책임 분배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25 (25): 321-358, 2014

      4 김봉수, "유럽계약법(PECL, DCFR, CESL)상 손해경감의무의 규율과 쟁점"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1 (21): 73-107, 2018

      5 미국사법제도연구반, "외국사법제도연구(1)" 법원행정처 2007

      6 고세일, "수급인을 사용한 도급인의 불법행위책임 - 미국 불법행위법의 independent contractor의법리를 중심으로 -" 한국재산법학회 35 (35): 33-61, 2018

      7 전윤구, "소송을 통한 차별구제방안 연구"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5 : 201-231, 2009

      8 조규창, "비교법(상)" 소화 2005

      9 고세일, "불법행위의 예견가능성과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연구 – 민법 제763조의 준용에 따른 민법 제393조의 해석문제 –" 한국민사법학회 66 : 137-183, 2014

      10 하경효, "보통유럽매매법" 세창출판사 2013

      11 고세일, "민사재판의 제문제, 제26권" 2018

      12 김성태, "민법주해 제18권: 채권11" 박영사 2008

      13 박동진, "민법주석 채권각칙(8)"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14 서기석, "민법주석 채권각칙(7)"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15 박동진, "민법주석 채권각칙(6)"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16 엄동섭, "민법개정,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 최근의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민사법학회 85 : 223-251, 2018

      17 윤대성, "미국정시대(1995~1948)의 한국민법전편찬사업" 한국학술정보 2009

      18 고세일, "미국의 민사배심에 대한 연구 - 불법행위 보통법전집의 규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62) : 157-191, 2011

      19 고세일, "미국 불법행위법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연구 - 보통법전집의 ‘과실’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법학회 59 : 87-138, 2012

      20 진도왕, "미국 불법행위법에서의 인과관계" 한국재산법학회 31 (31): 115-134, 2014

      21 김영희, "미국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일반론적 고찰" 한국민사법학회 66 : 185-238, 2014

      22 김영희, "미국 불법행위법상 손해 개념" 한국민사법학회 61 : 423-471, 2012

      23 김상준, "미국 배심재판 제도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24 고세일, "미국 과실불법행위와 인과관계 -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의 과실 규정을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2) : 169-204, 2013

      25 조규창, "로마법의 역사적 의의 - 한국 민법전의 법원으로서의 로마법" 2018

      26 고세일, "대륙법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민법의 관점에서 -" 법조협회 63 (63): 142-190, 2014

      27 Gary Schwartz, "Unification of Tort Law: Damage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1

      28 Geoffrey Christopher Rapp, "Torts 2.0: The Restatement 3rd and the Architecture of Participation in American Tort Law" 37 : 2011

      29 Richard A. Epstein, "Torts" Aspen 1999

      30 J. Spier, "The Limits of Liability - Keeping the Floodgates Shut" Kluwer Law International 1996

      31 Dan B. Dobbs, "The Law of Torts, Vol. 1" West 2011

      32 Kenneth S. Abraham, "The Forms and Functions of Tort Law" Foundation Press 2017

      33 Vincent R. Johnson, "Studies in American Tort Law" Carolina Cademic Press 2018

      34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Second) Torts 2d, Pamphlet 4 §§ 708-End"

      35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Second) Torts 2d, Pamphlet 3 §§ 504-707A"

      36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Second) Torts 2d, Pamphlet 2 §§ 281-503"

      37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Second) Torts 2d, Pamphlet 1 §§ 1-280"

      38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Second) Conflict of Laws 2d, §§ 1-221"

      39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Third, Tort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Volume, 2012" 2012

      40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Third, Tort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Volume 1" 2010

      41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Third" Products Liability 1998

      42 Anita Bernstein, "Restatement (Third) of Torts: General Principles and the Prescription of Masculine Order" 54 : 2001

      43 Peter H. Schuck, "Remembering Gary Schwartz" 50 : 2000

      44 W. Page Keeton, "Prosser and Keeton on Torts" Westgroup 1984

      45 European Centre of Tort and Insurance Law, "Principles of European Tort Law" Springer 2005

      46 가정준, "EU 통합 불법행위법 동향" 법학연구소 (23) : 31-58, 2006

      47 Attila Fenyves,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from a European Perspective" De Gruyter 2016

      48 Thomas Kadner Graziano, "Comparative Tort Law - Cases, Materials, and Exercises" Routledge 2018

      49 법무부, "2013년 법무부 민법 개정안 - 채권편 하" 법무부 2013

      50 법무부, "2004년 법무부 민법 개정안 - 채권편·부록" 법무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8-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sarch Institute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9 0.81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