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惠苑, "麗元王室通婚의 成立과 特徵-元公主出身王妃의 家系를 중심으로" 24 : 1989
2 金成俊, "한국여성문화논총" 이대출판부 1958
3 尹銀淑, "쿠빌라이칸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東道諸王들의 대응―‘나얀 반란’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학회 8 : 2-52, 2003
4 잭 웨더포드, "칭기스칸의 딸들, 제국을 경영하다" 책과 함께 2012
5 고명수, "충렬왕대 怯憐口(怯怜口) 출신 관원 - 몽골-고려 통혼관계의 한 단면 -" 한국사학회 (118) : 233-270, 2015
6 권순형, "원 공주 출신 왕비의 정치권력 연구-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7) : 33-63, 2005
7 윤은숙, "몽골제국의 만주지배사-옷치긴 왕가의 만주 경영과 이성계의 조선 건국-" 소나무 2010
8 이명미,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의 한 측면 -忠烈~忠宣王代 重祚를 중심으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4) : 125-171, 2013
9 정용숙, "고려시대의 后妃" 민음사 1992
10 이정란, "고려시대 后妃府에 대한 기초적 검토" 한국중세사학회 (20) : 55-94, 2006
1 金惠苑, "麗元王室通婚의 成立과 特徵-元公主出身王妃의 家系를 중심으로" 24 : 1989
2 金成俊, "한국여성문화논총" 이대출판부 1958
3 尹銀淑, "쿠빌라이칸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東道諸王들의 대응―‘나얀 반란’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학회 8 : 2-52, 2003
4 잭 웨더포드, "칭기스칸의 딸들, 제국을 경영하다" 책과 함께 2012
5 고명수, "충렬왕대 怯憐口(怯怜口) 출신 관원 - 몽골-고려 통혼관계의 한 단면 -" 한국사학회 (118) : 233-270, 2015
6 권순형, "원 공주 출신 왕비의 정치권력 연구-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7) : 33-63, 2005
7 윤은숙, "몽골제국의 만주지배사-옷치긴 왕가의 만주 경영과 이성계의 조선 건국-" 소나무 2010
8 이명미,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의 한 측면 -忠烈~忠宣王代 重祚를 중심으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4) : 125-171, 2013
9 정용숙, "고려시대의 后妃" 민음사 1992
10 이정란, "고려시대 后妃府에 대한 기초적 검토" 한국중세사학회 (20) : 55-94, 2006
11 이개석, "고려-대원 관계 연구" 지식산업사 2013
12 森平雅彦, "高麗王家とモンゴル皇族の通婚關係に關する覺書" 67 (67): 2008
13 "高麗史節要"
14 "高麗史"
15 李益柱, "高麗ㆍ元 관계의 構造와 高麗後期 政治體制" 서울대학교 1996
16 李命美, "高麗ㆍ元 王室通婚의 政治的 의미" 49 : 2003
17 森平雅彦, "駙馬高麗國王の成立-元朝における高麗王の地位について豫備的考察" 79 (79): 1998
18 閔賢九, "韓國史 8" 국사편찬위원회 1974
19 閔賢九, "趙仁規와 그의 家門(中)" 43 : 1977
20 閔賢九, "趙仁規와 그의 家門(上)" 42 : 1976
21 周志鋒, "試論蒙元時期皇后的政治活動及其影響" 72 : 2003
22 王鵬, "蒙元后妃生活考" 西南大學 2008
23 堀江雅明, "東方學論集 : 小野勝年博士頌寿記念" 龍谷大學東洋史學硏究會 1982
24 이정란, "忠烈王妃 齊國大長公主의 冊封과 그 의미"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8) : 117-154, 2012
25 이정란, "忠烈王代 薊國大長公主의 改嫁運動" (사)한국인물사연구회 (9) : 103-143, 2008
26 이정신, "忠宣王의 요동회복 의지와 高麗王·瀋王의 분리 임명"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1) : 291-322, 2014
27 靑木富太郞, "古代蒙古の婦人の家庭內における地位ㆍ權力" 國書刊行會 1 : 1964
28 "元史"
29 野口周一, "中國史における亂の構圖" 雄山閣出版 1986
30 森平雅彦, "モンゴル覇權下の高麗" 名古屋大學出版會 2013
31 岩村忍, "モンゴル社會經濟史の硏究"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68
32 김현라, "【연구논문】 고려 충렬왕비 齊國大長公主의 위상과 역할" 부경역사연구소 (23) : 71-100, 2008
33 李玠奭, "14世紀 初 元朝支配體制의 再編과 그 背景" 서울대학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