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사회 노인빈곤의 인과순환구조 분석 = An Analysis of the Causal Loop Structure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the Aged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3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loop structure as well as the dynamics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Korea as one of the main problems of the aged society and to provide its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from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s. Firstly, it overviews the present conditions and effects of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reality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Korea and further reviews the existing studies relevant to poverty of the elderly. Secondly, it builds the causal loop diagram explaining poverty of the elderly in the process of the population aging and further analyzes the causal loop structure and the dynamics of poverty of the elderly. Lastly, it draws conclusion with th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its feedback structu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material as the first study to understand poverty of the elderly and seek for its measures in the macroscopic context from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loop structure as well as the dynamics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Korea as one of the main problems of the aged society and to provide its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from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To a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loop structure as well as the dynamics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Korea as one of the main problems of the aged society and to provide its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from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s. Firstly, it overviews the present conditions and effects of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reality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Korea and further reviews the existing studies relevant to poverty of the elderly. Secondly, it builds the causal loop diagram explaining poverty of the elderly in the process of the population aging and further analyzes the causal loop structure and the dynamics of poverty of the elderly. Lastly, it draws conclusion with th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its feedback structu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material as the first study to understand poverty of the elderly and seek for its measures in the macroscopic context from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훈, "한국의 노인, 왜 빈곤한가: 국제비교로 본 우리나라 노후빈곤 실태(이슈페이퍼)" 사회공공연구원 2015

      2 강은나, "초저출산․초고령사회의 위험과 대응전략: 초고령사회와 복지서비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 안진권,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지역정책 발전방향" 대통령 직속지역발전위원회 2015

      4 장기천, "저출산‧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및 대응방향"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7 최공필,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05

      8 정선영,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과제" 한국경제연구학회 34 (34): 153-191, 2016

      9 최원락, "인구고령화 추세에 따른 경제․사회적 파급영향과 대책" 전국경제인연합회 2002

      10 조용수, "우리나라의 연령별 빈곤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01-124, 2007

      1 이재훈, "한국의 노인, 왜 빈곤한가: 국제비교로 본 우리나라 노후빈곤 실태(이슈페이퍼)" 사회공공연구원 2015

      2 강은나, "초저출산․초고령사회의 위험과 대응전략: 초고령사회와 복지서비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 안진권,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지역정책 발전방향" 대통령 직속지역발전위원회 2015

      4 장기천, "저출산‧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및 대응방향"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7 최공필,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05

      8 정선영,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과제" 한국경제연구학회 34 (34): 153-191, 2016

      9 최원락, "인구고령화 추세에 따른 경제․사회적 파급영향과 대책" 전국경제인연합회 2002

      10 조용수, "우리나라의 연령별 빈곤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01-124, 2007

      11 김유빈, "우리나라의 노후소득 실태와 정책 시사점" 111-119, 2016

      12 최현수,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13 홍백의, "우리나라 노인 빈곤의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275-290, 2005

      14 백화종, "연금제도 성숙시점에서의 노인빈곤율 추정과 국민연금의 빈곤개선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247-272, 2011

      15 장미혜, "여성노인의노후빈곤 현황 및 대응정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16 정경희,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6-14, 2009

      17 배성우, "빈곤노인가구의 특성과 빈곤탈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291-318, 2008

      18 황남희, "노후소득보장정책의 현황과 과제" 21-33, 2016

      19 여유진, "노인의 가구유형별 빈곤과 공적 이전의 빈곤감소효과 분석 :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0) : 185-219, 2013

      20 석상훈,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생애 근로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5 (5): 99-124, 2012

      21 석상훈, "노인빈곤의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5 (25): 77-99, 2009

      22 모지환, "노인빈곤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0 (10): 175-194, 2009

      23 김복순, "노인(65세 이상 인구)의 빈곤과 연금의 소득대체율 국제비교" 100-102, 2015

      24 최옥금,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5-25, 2007

      25 윤석명, "노인 빈곤 및 소득분포 실태와 소득지원 방향" 7-17, 2013

      26 김수정, "노인 부부가구의 빈곤: 성과 직업력의 효과" 한국가족학회 23 (23): 63-91, 2011

      27 박경숙, "노인 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율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학회 50 (50): 221-253, 2016

      28 임완섭, "기초연금의 빈곤 감소효과 분석" 82-97, 2016

      29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미치는 효과"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4) : 120-159, 2017

      30 석재은, "기초연금 도입의 정책효과와 젠더불평등 개선"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05-236, 2015

      31 강성호, "기초노령연금의 탈빈곤 효과 및 계층별 소득보장 효과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43-71, 2010

      32 석상훈,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감소 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0) : 335-352, 2010

      33 장현주,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 감소효과: LIS 소득원천별 노인빈곤 비교" 한국국정관리학회 23 (23): 121-146, 2013

      34 김현진, "고령화의 사회ㆍ정치적 영향: 한국과 일본의 경우" 5 (5): 81-97, 2004

      35 이재준, "고령화의 거시경제적 영향과 정책시사점" 8 (8): 83-102, 2016

      36 최남희, "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동태성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3 (13): 5-31, 2012

      37 장동구, "고령화사회 진입이 금융시장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금융연구원 2011

      38 박영상, "고령화ㆍ저출산이 경제ㆍ산업ㆍ금융에 미치는 영향" 산업은행 2006

      39 한동효, "고령화 사회의 노인범죄의 추이와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2 (12): 87-109, 2008

      40 조현연, "고령화 사회, ‘노인빈곤’ 문제와 한국 정치" 민주사회정책연구원 (30) : 11-48, 2016

      41 김유빈, "고령화 대응 노후소득보장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5

      42 OECD,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Data"

      43 정경희,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스템다이네믹스학회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8 0.59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