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며, 대상도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효과적인 테러 예방 대책의 수립은 절실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어떠한 유형의 테러가 발생하고 어디부터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테러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며, 대상도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효과적인 테러 예방 대책의 수립은 절실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어떠한 유형의 테러가 발생하고 어디부터 대...
테러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며, 대상도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효과적인 테러 예방 대책의 수립은 절실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어떠한 유형의 테러가 발생하고 어디부터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의 예방과 대응에서 활용되고 있는 모든 위험 접근법 (All-Hazard Approach)을 이용하여 1970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한 총 156,773건을 분석하였다. 테러를 암살 (Assassination), 무장 공격 (Armed Assault), 폭발 (Bombing), 하이재킹 (Hijacking), 인질극 (Barricade Incident), 납치 (Kidnapping), 시설 공격 (Facility Attack), 비무장 공격 (Unarmed Assault)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테러 유형에 대해 발생가능성과 위험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매트릭스 접근법을 활용하여 테러 유형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폭발과 무장공격이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고 영향도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테러에 대한 대응도 이 두 유형에 우선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폭발과 관련하여 폭발 테러 발생시의 대응 매뉴얼을 보다 상세화하고 이에 대한 반복 훈련이 요구된다. 무장공격의 경우에 있어서도 일차적인 대응기관인 경찰이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경찰관직무집행법’ 등 관련 규정을 보완하고, 경찰의 작전 수행능력의 향상, 경찰 특공대의 확대, 개편 등이 검토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 및 시대의 변화에 따른 구분없이 단일 기준에 의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들은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terrorist events have increased and their targets are varie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counter terrorism policies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know which types of terror occur and to make a decision where we sta...
The number of terrorist events have increased and their targets are varie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counter terrorism policies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know which types of terror occur and to make a decision where we start to respond to terrorist events. This research applied All Hazard Approach that has been used in emergency into terrorists events by analyzing 156,773 cases from 1970 to 2015. Terror is categorized into assassination, armed assault, bombing, hijacking, barricade incident, kidnapping, facility attack, unarmed assault. Each category was analyzed with possibity and risk. The types of terrorist events were evaluated with the matrix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bombing and armed assault are high possibility and high risk. It is urgent to respond to two types of terror, which are bombing and armed assault. Regarding bombing, the manual should be more detailed and training and practice should be repeated. Police should be preemptive response to armed assaul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should be revised.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such as analysis of date without consideration of time. The limitations will be overcome by future study.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욱, "재난관리에 있어서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 (40) : 7-33, 2014
2 강욱, "자살폭탄 테러자의 동기와 효율적 대처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 (33) : 7-25, 2012
3 박진희, "뉴테러리즘 시대의 테러 의미정립과 테러 유형분석" 국립방재연구원 2012
4 김은영, "국제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 구축: 미국의 START 센터의 모범사례의 소개" 한국경호경비학회 (35) : 7-36, 2013
5 LaFree, G., "Trajectories of terrorism" 8 (8): 445-473, 2009
6 Weisburd, D., "Trajectories of Crime at Places : A Longitudinal Study Of Street Segments in The City of Seattle" 42 (42): 283-322, 2004
7 Rapoport, D. C., "The four waves of modern terrorism" 46-73, 2004
8 Kirby, A., "The London bombers as"self-starters" : A case study in indigenous radic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autonomous cliques" 30 (30): 415-428, 2007
9 Hamilton, L., "The 9/11 Commission Report: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ommission on Terrorist Attacks Upon the United States" Executive summary.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4
10 Starbird, K., "Rumors, false flags, and digital vigilantes: misinformation on twitter after the 2013 Boston marathon bombing"
1 강욱, "재난관리에 있어서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 (40) : 7-33, 2014
2 강욱, "자살폭탄 테러자의 동기와 효율적 대처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 (33) : 7-25, 2012
3 박진희, "뉴테러리즘 시대의 테러 의미정립과 테러 유형분석" 국립방재연구원 2012
4 김은영, "국제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 구축: 미국의 START 센터의 모범사례의 소개" 한국경호경비학회 (35) : 7-36, 2013
5 LaFree, G., "Trajectories of terrorism" 8 (8): 445-473, 2009
6 Weisburd, D., "Trajectories of Crime at Places : A Longitudinal Study Of Street Segments in The City of Seattle" 42 (42): 283-322, 2004
7 Rapoport, D. C., "The four waves of modern terrorism" 46-73, 2004
8 Kirby, A., "The London bombers as"self-starters" : A case study in indigenous radic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autonomous cliques" 30 (30): 415-428, 2007
9 Hamilton, L., "The 9/11 Commission Report: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ommission on Terrorist Attacks Upon the United States" Executive summary.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4
10 Starbird, K., "Rumors, false flags, and digital vigilantes: misinformation on twitter after the 2013 Boston marathon bombing"
11 Pine, J. C., "Natural Hazards Analysis : Reducing the Impacts of Disasters" CRC Press 2009
12 LaFree, G., "Introducing the Global Terrorism Database" 19 (19): 181-204, 2007
13 Mickolus, E. F., "How do we know we're winning the war against terrorists? issues in measurement" 25 (25): 151-160, 2002
14 Miskel, J. F., "Disaster response and homeland security: What works, what doesn't"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15 Hausken, K., "Defending against terrorism, natural disaster, and all hazards" 65-97, 2009
16 Chung, J., "Counter-Terrorism and Emergency Management: Keeping a Proper Balance"
17 Bellavita, C., "Changing homeland security : What is homeland security" 4 (4): 1-30, 2008
18 강욱, "Attack Patterns and Trajectories of Terrorist Groups in East and South Asia" 한국국방연구원 26 (26): 209-224, 2014
19 Ito, H., "Assessing the impact of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on US airline demand" 57 (57): 75-95, 2005
도심지에서 RDD 및 IND수단에 의한 핵테러 발생시 피해 영향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Terror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errorism Studies | |
2008-04-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테러연구학회 -> 한국테러학회영문명 : Korean Terror Studies Association -> Korean Terror Association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5 | 0.533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