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悪女」に見る東アジアの女性たち = 古代から近代へ、そして「はみ出し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4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념에 얽매여 있던 동아시아의 여성들은 「양처」 혹은 「악처」라는 양자택일의 삶을 살아 갈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여성은 남성이 만들어낸 수많은 사회규범, 특히 부도(婦道)를 성실히 지켜 나가는 것으로 「양처」 가 되려하고, 그러한 여성들을 사회는 적극적으로 상찬하며, 이상적인 여성상으로서 미화했다. 하지만, 그러한 삶에 대해 의문을 품고, 저항한 사람도 적잖이 존재한다. 이른바 「악녀」이다. 예를 들면,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 아름다웠다는 중국의 양귀비, 온갖 음모와 질투의 화신, 한국 악녀의 대명사 장희빈, 남성 사회에서 정치적 능력을 발휘해 최고의 여제라 칭송되는 일본의 쇼토쿠 천황 등이 있다. 근대 이전의 사회는 그러한 「악녀」들을 엄격하게 처벌해서, 유교 규범에서 벗어난 것에 대한 본보기로 삼았다.
      그런데 , 근대화와 함께 들어 온 서양 문물, 특히, 자유연애 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결혼 문화를 습득하게 된 여성들은 이전과 다른 여성으로서의 삶을 알아가기 시작한다. 이제껏 몸소 실천해왔던 남녀유별, 삼종지도, 칠거지악 등과는 전혀 다른 근대 교육을 받으면서, 남녀평등, 여성의 권리 등을 알아가게 된다. 동아시아의 여성들은 이제까지 억압되어있던 유교규범을 벗어나 남과 여가 아닌 한사람의 인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이른바 「신여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여성들로 인하여 또 다른 「악녀」 의 존재가 부각된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이 「악녀」로 불리어졌던 여성들이 시대적 상황에서 벗어나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려 했던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동아시아의 여성들이 근대적 가치관을 가진 여성으로서 사회적으로 인정된 배경에는, 실은 유교사회의 체제를 벗어난 적잖은 여성들, 즉, 「악녀」로 불리어졌던 여성들이 존재했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


      번역하기

      이념에 얽매여 있던 동아시아의 여성들은 「양처」 혹은 「악처」라는 양자택일의 삶을 살아 갈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여성은 남성이 만들어낸 수많은 사회규범, 특히 부도(婦道)를 성실...

      이념에 얽매여 있던 동아시아의 여성들은 「양처」 혹은 「악처」라는 양자택일의 삶을 살아 갈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여성은 남성이 만들어낸 수많은 사회규범, 특히 부도(婦道)를 성실히 지켜 나가는 것으로 「양처」 가 되려하고, 그러한 여성들을 사회는 적극적으로 상찬하며, 이상적인 여성상으로서 미화했다. 하지만, 그러한 삶에 대해 의문을 품고, 저항한 사람도 적잖이 존재한다. 이른바 「악녀」이다. 예를 들면,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 아름다웠다는 중국의 양귀비, 온갖 음모와 질투의 화신, 한국 악녀의 대명사 장희빈, 남성 사회에서 정치적 능력을 발휘해 최고의 여제라 칭송되는 일본의 쇼토쿠 천황 등이 있다. 근대 이전의 사회는 그러한 「악녀」들을 엄격하게 처벌해서, 유교 규범에서 벗어난 것에 대한 본보기로 삼았다.
      그런데 , 근대화와 함께 들어 온 서양 문물, 특히, 자유연애 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결혼 문화를 습득하게 된 여성들은 이전과 다른 여성으로서의 삶을 알아가기 시작한다. 이제껏 몸소 실천해왔던 남녀유별, 삼종지도, 칠거지악 등과는 전혀 다른 근대 교육을 받으면서, 남녀평등, 여성의 권리 등을 알아가게 된다. 동아시아의 여성들은 이제까지 억압되어있던 유교규범을 벗어나 남과 여가 아닌 한사람의 인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이른바 「신여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여성들로 인하여 또 다른 「악녀」 의 존재가 부각된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이 「악녀」로 불리어졌던 여성들이 시대적 상황에서 벗어나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려 했던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동아시아의 여성들이 근대적 가치관을 가진 여성으로서 사회적으로 인정된 배경에는, 실은 유교사회의 체제를 벗어난 적잖은 여성들, 즉, 「악녀」로 불리어졌던 여성들이 존재했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序論
      • 第1章 儒?社?を生きる女性たち
      • 第2章 儒?的?制をはみ出した女性たち
      • 第3章 近代化と女性の?貌
      • 結論
      • 序論
      • 第1章 儒?社?を生きる女性たち
      • 第2章 儒?的?制をはみ出した女性たち
      • 第3章 近代化と女性の?貌
      • 結論
      • ?考文?
      • 논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