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898년에 만들어진 평안북도 구성군 내동면의 호적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 남북으로 분단이 되어 있고 1898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구성군 내동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77337
2013
Korean
380
KCI등재
학술저널
325-348(24쪽)
11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898년에 만들어진 평안북도 구성군 내동면의 호적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 남북으로 분단이 되어 있고 1898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구성군 내동면...
이 논문은 1898년에 만들어진 평안북도 구성군 내동면의 호적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 남북으로 분단이 되어 있고 1898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구성군 내동면에 대한 정확한 지리적 정보 파악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호적과 다른 기록을 종합하여 볼 때, 당시 내동면이 15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내동면 호적은 다소 무성의하게 작성되어 오류가 적지 않았는데, 여러 오류를 수정한 결과 호적에는 201戶, 男 565인, 女 450인, 합계 1,015인이 기재되어 있었다.
주민의 인구 분포를 살펴 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26% 많게 나타난다. 이는 딸을 대부분 기재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연령 분포를 보면, 10세 이하 미성년자의 기재율이 낮았다. 성비가 높고 미성년자를 등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내동면 호적이 전근대 호적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결과 내동면의 호당 가족원 수는 5.05였다. 호당 가족원 수가 비교적 많았던 것은, 내동면이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어서 유동 인구가 많지 않았고, 1인 가구의 형태로 존재하는 상인이나 수공업자가 전혀 없었던 데에 원인이 있었다. 내동면은 다수의 동성 촌락과 소수의 일반 촌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가옥의 평균 규모가 크고,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이 넓은 동네는 대부분 동성 촌락이었다는 것이다.
내동면에 동성 촌락이 많았던 것은 이 지역이 유교적 성향이 강하였기 때문이었다. 내동면 호적에서 가족은 철저히 부계 직계 친족으로 구성되었고, 딸들은 잠재적 출가외인으로 여겨 일체 기재하지 않았다. 시집온 여성들의 성씨나 외조의 본관도 기재하지 않음으로서, 가족 구성에서 여성을 배제하거나 가급적 평가 절하하려고 하였다. 호주의 직업은 모두 ‘農’으로, 祖와 父는 모두 ‘學生’이나 ‘幼學’으로 기재하였다. 내동면은 유교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지역이었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내동면 호적의 보수성으로 드러난 것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內東面), Kusong-gun (龜城郡), Pyeonganbuk-do(平安北道) created in 1898. Currently,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divid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This paper analyzed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內東面), Kusong-gun (龜城郡), Pyeonganbuk-do(平安北道) created in 1898. Currently,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divid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have changed several times since 1898.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ccurat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Naedong-myeon, Kusong-gun. However, considering the family register and other records, it was shown that Naedong-myeon consisted of 15 dongs at the time.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was made carelessly made and had errors in no small part. After correcting the errors, the family register shows that there were 201 dwelling units 565 males 450 females and a total of 1,015 residents.
Looking a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males were found 26 percent more in number than females because most of daughters were not written in the family register. Looking at the age distribution, the reported rate of children aged 10 or younger was 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y register of Naedong-myeon had the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family register in that the sex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high and children were not registe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dwelling unit was 5.05. Each dwelling unit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because a typical rural area of Naedong-myeon did not have a large population and a merchant or craftsman never existed in the form of one-person household.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lan villages in Naedong-myeon because this area placed emphasis on Confucian values and was a society based on ag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bsence of a female head of the family in Naedong-myeon was an expression of Confucian-oriented and conservative mo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병석, "한인(조선인)의 간도 이주 개척과 간도개척사" 백산학회 (79) : 303-328, 2007
2 조성윤, "한말의 가족과 신분-한성부 호적 분석" 한국사회사학회 50 : 1996
3 정진영, "조선후기 동성촌락의 형성과 발달" 역사문제연구소 28 : 1995
4 신영우, "대한제국기 충북 충주의 주거사정" 역사실학회 (42) : 5-51, 2010
5 강은경, "대한제국기 괴산 일대 순흥 안씨의 토지소유와 주거 실태" 한국사연구회 (157) : 77-138, 2012
6 龜城郡民會, "龜城郡誌"
7 "輿地圖書"
8 박희진, "朝鮮後期와 日帝時代의 人口變動- 全州李氏 長川君派와 咸陽朴氏 正郞公派 族譜의 分析 -" 경제사학회 35 : 3-27, 2003
9 越智唯七, "新舊對照 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0 오성, "戶籍으로 본 韓末 농촌지역의 戶의 구성-京畿道 廣州府 北方面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회 2001
1 윤병석, "한인(조선인)의 간도 이주 개척과 간도개척사" 백산학회 (79) : 303-328, 2007
2 조성윤, "한말의 가족과 신분-한성부 호적 분석" 한국사회사학회 50 : 1996
3 정진영, "조선후기 동성촌락의 형성과 발달" 역사문제연구소 28 : 1995
4 신영우, "대한제국기 충북 충주의 주거사정" 역사실학회 (42) : 5-51, 2010
5 강은경, "대한제국기 괴산 일대 순흥 안씨의 토지소유와 주거 실태" 한국사연구회 (157) : 77-138, 2012
6 龜城郡民會, "龜城郡誌"
7 "輿地圖書"
8 박희진, "朝鮮後期와 日帝時代의 人口變動- 全州李氏 長川君派와 咸陽朴氏 正郞公派 族譜의 分析 -" 경제사학회 35 : 3-27, 2003
9 越智唯七, "新舊對照 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0 오성, "戶籍으로 본 韓末 농촌지역의 戶의 구성-京畿道 廣州府 北方面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회 2001
11 朝鮮總督府 內務局, "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平安北道 龜城郡 1912
12 최영준, "『家戶案』분석을 통해 본 開化期慶尙南道의 가옥형태와 구조" 대한지리학회 39 (39): 297-320, 2004
13 임학성, "20세기 초 西間島 거주 朝鮮人의 거주 양태-‘邊界戶籍’ 자료의 분석 사례-" 한국학연구소 (21) : 33-69, 2009
14 "(最近)北韓五萬分之一 地形圖" 景仁文化社 199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