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소년교도소의 발전방향 =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Juvenile Correction Instit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7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년교도소에 대해 기술하고 설명하여 발전방향을 모색, 예측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 소년교도소는 소년전담소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일반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년교도소에 대해 기술하고 설명하여 발전방향을 모색, 예측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 소년교도소는 소년전담소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일반 교도소와 구치소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년처우상 특성에 대한 회복적 프로그램의 부재라는 관점에서 비판을 제기하였다. 소년수형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찰한 후 혁신적 검토를 거쳐 다음 몇 가지를 요약,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년교도소의 명칭 개선, 기관장 직위의 개방형 직위화 등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성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영치금이 하나도 없는 소년수형자가 5.3%로 조사 되었다. 소년수형자 고아 처우의 소수자 대책 제언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하겠다. 특히, 소년교도소 내 사서가 근무하는 도서관이 필요함을 교정복지차원에서 강조하였다. 셋째, 현행 소년교도소를 관리함에 있어 학습동아리로 체제를 개편하여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향후 소년교도소는 일반경비시설에서 탈피하여 ‘완화경비시설’로 전환하여 처우를 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소년원·소년교도소 처우의 통합화를 위해 보호처분 9호·10호 처분을 소년교도소로 수용할 것과 남녀 공학교도소를 운영할 것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 제안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juvenile prison in Korea and to find and predic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Korean juvenile prison is not operated as a juvenile prison, but it is practically a function of a general pr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juvenile prison in Korea and to find and predic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Korean juvenile prison is not operated as a juvenile prison, but it is practically a function of a general prison and a detention center. Therefore, it raised criticism from the viewpoint that there is no restorative program for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treatment. After examin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risoners, the following can be summarized and presented through innovative review. First,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systematic research such as improvement of the name of juvenile prison and open position of the head of the agency were suggested. Second, 5.3% of the juvenile prisoners were found to have no deposit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y proposed measures for minority treatment of orphans. In particular, the need for a library where librarians work in juvenile prisons was emphasized in terms of correctional welfare. Third, it was suggested that the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nd operated as a learning club in managing the current juvenile prison.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juvenile prisons should be removed from general security facilities and converted into compliant security facilities to be treated. Fourth, in order to integrate the treatment of juvenile prisons and juvenile prisons, the government proposed polici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at the disposition of the protection measures No. 9 and No. 10 will be accepted as juvenile prisons and that the co-educational or co-correctional will be oper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현황과 이론적 논의 Ⅲ. 소년수형자 교정처우의 비판적 검토 Ⅳ. 소년교도소의 발전방향 Ⅴ. 결 어
      • Ⅰ. 서 론 Ⅱ. 현황과 이론적 논의 Ⅲ. 소년수형자 교정처우의 비판적 검토 Ⅳ. 소년교도소의 발전방향 Ⅴ. 결 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화, "중국미성년재소자 처우에 관한 법적 의미의 특수성" 14 : 2002

      2 윤용규, "우리나라 소년사법의 운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일고찰" 44 : 2000

      3 법부부 교정본부, "외국교정관계법령집" 2012

      4 김경태, "소년수형자의 처우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정학회 62 : 103-121, 2014

      5 元惠郁, "소년범죄에 대한 시설내처우의 문제점Ⅱ-기결구금제도(소년교도소)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16 : 89-117, 2002

      6 김봉수, "소년범의 사회내 처우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62 : 123-143, 2014

      7 부산일보, "부산구치소에서 신입 재소자가 14시간 동안 보호장비에 묶여 있다 숨지는 사고"

      8 법무부 교정혁신추진단, "법무부 교정개혁위원회 출범 2020.9.25. 보도자료"

      9 서주연, "미국 소년교정시설 및 프로그램의 시사점" 한국교정학회 57 : 209-226, 2012

      10 법무부 교정본부, "대한민국교정사 Ⅰ"

      1 김성화, "중국미성년재소자 처우에 관한 법적 의미의 특수성" 14 : 2002

      2 윤용규, "우리나라 소년사법의 운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일고찰" 44 : 2000

      3 법부부 교정본부, "외국교정관계법령집" 2012

      4 김경태, "소년수형자의 처우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정학회 62 : 103-121, 2014

      5 元惠郁, "소년범죄에 대한 시설내처우의 문제점Ⅱ-기결구금제도(소년교도소)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16 : 89-117, 2002

      6 김봉수, "소년범의 사회내 처우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62 : 123-143, 2014

      7 부산일보, "부산구치소에서 신입 재소자가 14시간 동안 보호장비에 묶여 있다 숨지는 사고"

      8 법무부 교정혁신추진단, "법무부 교정개혁위원회 출범 2020.9.25. 보도자료"

      9 서주연, "미국 소년교정시설 및 프로그램의 시사점" 한국교정학회 57 : 209-226, 2012

      10 법무부 교정본부, "대한민국교정사 Ⅰ"

      11 이창길, "대한민국 정부를 바꿔라" 올림 2015

      12 윤종우, "교정학르네상스" 진영사 2020

      13 이윤호, "개정판 교정학 개론" 박영사 2002

      14 법무부, "2019교정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