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6~17세기 古今島 인근 海路와 水軍鎭의 설치 = Nearby Sea Routes of Gokeumdo and Establishment of Sugunjins in 16th and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55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dispatch of the naval force, establishment of sugunjins(水軍鎭), island interrelation between sea routes and sugunjins in the southwest islands region in 16th and 17th century. Existing studies on sugunjins have ...

      This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dispatch of the naval force, establishment of sugunjins(水軍鎭), island interrelation between sea routes and sugunjins in the southwest islands region in 16th and 17th century. Existing studies on sugunjins have included its establishment, its enlargement, changes of its function, its subsidiary facilities, the structure of its finances and so on, but have not paid attention to its location relatively. Where were sugunjins located?
      It was the 31th year of Sunjo(宣祖) when Gokeumdo(古今島) began to be considered as a army post. In other words, it is originated from stationing the allied forces at Duckdongli(德洞里), Gokeumdo by Lee, Sunsin(李舜臣) from Chosun(朝鮮) and Jinlin(陳璘) from Ming(明). At that time, Lee, Sunsin was full of praise for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Gokeumdo by saying ‘the key point able to control right and left sea of Honam(湖南)’. It is in the early 17th century when sugunjins were established in Gokeumdo. At that time, governmental officials was investigating discussion about establishment of sugunjins to construct the defence system of islands region in the southwest sea. As s result of it, they knew the importance of the defence system there, and had an opinion that one or two sugunjins, first, should be tried to operate and then their number should be expended in stead of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by establishing several sugunjins at a time.
      The required conditions paid attention as the center of sugunjins in the southwest sea in the 17th century have been found in its location and sea routes. In other words, the location of Gokeumdo has being piled up one on another by islands, large and small, and had way point that the distribution of Galipojin(加里浦鎭) at Wando(莞島), Whenyungpojin(會寧浦鎭) at Jangheung(長興), Madojin(馬島鎭) at Gangjin(康津), and so on enabled to get in touch instantly with Jeollagamyoung(全羅監營), Byungyoung(兵營), Usuyuong(右水營), Jwasuyuong(左水營), Hanyang(漢陽), Youngnam(嶺南),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network that connected right and left between Gokeumdojin(古今島鎭) and upper governmental offices was its sea routes. On the ground of that, it is understood that the allied forces of Chosun-Ming(朝明) was stationed in Gokeumdo and all sugunjinbos(水軍鎭堡) around the south west sea including Gokeumdojin were located in the sides of the sea routes in the 17th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충무공 이순신" 해군충무공수련원 2004

      2 이해준, "청산도의 역사문화적 배경"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9 : 9-29, 1991

      3 박승필, "진도 금갑진의 지형적 입지의 특성" 한국지형학회 11 (11): 81-88, 2004

      4 고석규, "조선후기의 섬과 신지도 이야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4 : 81-116, 1996

      5 김경옥, "조선후기 태안 안흥진의 설치와 성안마을의 공간구조" 호남사학회 (32) : 125-152, 2008

      6 김우철, "조선후기 군사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7 차용걸, "조선후기 관방시설의 변화과정—임진왜란 전후의 관방시설에 대한 몇 가지 문제 in: 한국사론 9" 국사편찬위원회 1983

      8 김준석, "조선후기 國防意識의 전환과 都城防衛策"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2 : 1997

      9 김옥근, "조선조 지방재정의 구조분석—監營·鎭·驛의 세입구조를 중심으로" 부산수산대 4 : 1983

      10 김학태, "조선시대 충청 수군진 입지의 지형학적 연구" 한국지형학회 12 (12): 55-61, 2005

      1 "충무공 이순신" 해군충무공수련원 2004

      2 이해준, "청산도의 역사문화적 배경"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9 : 9-29, 1991

      3 박승필, "진도 금갑진의 지형적 입지의 특성" 한국지형학회 11 (11): 81-88, 2004

      4 고석규, "조선후기의 섬과 신지도 이야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4 : 81-116, 1996

      5 김경옥, "조선후기 태안 안흥진의 설치와 성안마을의 공간구조" 호남사학회 (32) : 125-152, 2008

      6 김우철, "조선후기 군사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7 차용걸, "조선후기 관방시설의 변화과정—임진왜란 전후의 관방시설에 대한 몇 가지 문제 in: 한국사론 9" 국사편찬위원회 1983

      8 김준석, "조선후기 國防意識의 전환과 都城防衛策"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2 : 1997

      9 김옥근, "조선조 지방재정의 구조분석—監營·鎭·驛의 세입구조를 중심으로" 부산수산대 4 : 1983

      10 김학태, "조선시대 충청 수군진 입지의 지형학적 연구" 한국지형학회 12 (12): 55-61, 2005

      11 이문옥, "육수의 영향을 받는 완도 및 고금도 북부 해역의 해황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5 (15): 45-58, 2006

      12 이순신, "난중일기" 한양출판 1997

      13 김경옥, "고하도—유달산 아래에 작은 섬" 목포문화원 2004

      14 김경옥, "고금도의 역사문화적 배경"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3 : 3-26, 1985

      15 "輿地圖書"

      16 "輿地圖帖 全羅道, 서울대 규장각 소장"

      17 "湖南鎭誌, 奎12188"

      18 "湖南營誌, 奎12189"

      19 "東國輿地志"

      20 "東國輿地勝覽"

      21 "東國地圖 全羅道, 호암미술관 소장"

      22 "朝鮮王朝實錄"

      23 변동명, "朝鮮時代 突山島 防踏鎭의 설치와 그 구조" 고려사학회 (27) : 9-43, 2007

      24 김경옥, "朝鮮後期島嶼硏究" 혜안 2004

      25 김경옥, "朝鮮後期 靑山島鎭의 設置와 財政構造" 호남사학회 (22) : 191-226, 2004

      26 김경옥, "朝鮮後期 古群山鎭 의 설치와 운영" 역사문화학회 10 (10): 227-259, 2007

      27 김경옥, "智島郡叢錄을 통해 본 19세기 서남해 도서지역의 위상변화" 호남사학회 (29) : 197-235, 2007

      28 "戶口總數"

      29 南九萬, "忠武李公高下島遺墟記事之碑" 李鳳祥書 1722

      30 "忠武公李舜臣과 古今島忠武祠" 이충무공유적고금도충무사보존위원회 1989

      31 "康津縣古今島鎭地圖, 서울대 규장각 소장"

      32 "島嶼文化—완도군 고금도 조사보고 13"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995

      33 "增補文獻備考"

      34 "古今面誌抄, 필사본"

      35 충무공유적고금도충무사보존위원회, "古今島忠武祠沿革 필사본"

      36 김경옥, "17~18세기 임자도진의 설치와 목장의 개간"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17-5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도서문화연구소 -> 도서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87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