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전후 일본, 한국, 대만에서 잇달아 설립됐던 군 위안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2차 대전 후 유독 동아시아에서 성매매근절이라는 국제적 흐름을 거스르는 군대 성매매업소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95304
2022
Korean
군 ‘위안소’ ; 일본군 ‘위안부’ ; 점령군위안소 ; 한국군 특수위안대 ; 대만 특약다실(군중낙원) ; 동아시아 냉전 ; RAA ; Military comfort center ;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 Prostitution ; Korean military special comfort zone ; Taiwanese Special Assignation Tea House(teyuechashi) ; Colonialism and Cold War in East Asia ; 軍「慰安所」 ; 軍「慰安婦」 ; 占領軍慰安所 ; 韓?軍特殊慰安隊 ; 台?特約茶室(軍中樂園) ; 東アジア冷?
KCI등재
학술저널
261-28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전후 일본, 한국, 대만에서 잇달아 설립됐던 군 위안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2차 대전 후 유독 동아시아에서 성매매근절이라는 국제적 흐름을 거스르는 군대 성매매업소가 ...
본 논문은 전후 일본, 한국, 대만에서 잇달아 설립됐던 군 위안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2차 대전 후 유독 동아시아에서 성매매근절이라는 국제적 흐름을 거스르는 군대 성매매업소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맥락을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동아시아 군 ‘위안소’의 연쇄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소’ 제도의 부활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본의 패망 이후에도 철저한 일제 청산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더 중요한 원인은 전후 동아시아 냉전질서 구축과정에서 찾아볼수 있다.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 중국의 국공내전과 국민당의 대만 패퇴 등 한반도와 중국 양안의 분단 및 전쟁이야말로 전후 동아시아 군 위안소의 연쇄를 발생시킨 가장 직접적인 배경이었다. 일본군 ‘위안소’는 전후 일본의 미군 특수위안시설협회로, 한국의 한국군특수위안대와 연합군위안소로, 대만의 국군특약다실로, 그리고 아시아 각지의 미군기지촌으로 부활했다. 그렇게 보면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 편으로 군 위안소 연쇄의 역사였다고 할 만하다. 군 위안소 연쇄의 역사는 동아시아에서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 전쟁이 전후로도 이어졌다는 것, 즉 서구에서 ‘긴 평화의 시대’로 일컫는 냉전시대에도 전쟁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다. 아직도 오키나와나 한국 등에 남아 있는 기지촌은 그 전쟁이 21세기에 들어선 지금까지도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것이 일본군 ‘위안소’ 문제를 어느 일국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라는 지역적 차원에서, 그리고 식민주의 문제만이 아니라 냉전의 문제로도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briefly examined the series of contexts in which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did not disappear and revived even after the war.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center” was revived as Japan"s US military special comfort fa...
This paper briefly examined the series of contexts in which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did not disappear and revived even after the war.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center” was revived as Japan"s US military special comfort facility association after the war, Korea"s Korean military special comfort zone and allied comfort center, Taiwan"s military special contract tea room, and U.S. military base villages in various parts of Asia.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as, on the one hand,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omfort center chain.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omfort center chain is a disproving that the war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colonial and imperialist wars in East Asia, that is, even in the Cold War era, referred to as the “era of long peace” in the West. Base villages that still remain in Okinawa and Korea show that the war has not ended until now in the 21st century. This is why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problem should be viewed as a historical problem at the regional level in East Asia, not at any one-national level.
목차 (Table of Contents)
전후 레짐으로부터의 탈각과 역사인식 - 아베 담화의 분석을 중심으로 -
일본 고이즈미 정권의 개혁 정치와 배타적 동아시아 외교 - 교육기본법 개정, 복고적 문화자본, 국가주의의 내재화 -
『도쿠가와 이에야스』와『노르웨이의 숲』의 한국적 수용 - 스테디셀러 현상에 함의된 ‘포스트콜로니얼’과 ‘탈 포스트콜로니얼’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3-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Japanology in East Asia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panese Cultural Syudies -> Japanese Cultural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6 | 0.486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