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의 교회론: 회심에 있어 교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Ecclesiology of Jonathan Edwards: Focusing on the Church’s Role in Conver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67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부 학자들은 조나단 에드워즈가 부흥과 회심을 강조했기 때문에 그의 신학이 교회 중심적이지 않으며, 교회론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아직 회심하지 않은 이들에게 교회가 실질적인유익을 제공하지 못하며, 심지어 불필요한 존재라고 결론짓는 견해도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은혜의 수단’(means of grace)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에드워즈의 교회론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대표적인학자들의 논지를 검토하고, 에드워즈의 신학에서 은혜의 수단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와 인간의 책임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어서교회 공동체가 은혜의 수단으로서 수행하는 역할을 탐색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에드워즈의 교회론에 대한 일부 비판이 과도하거나 보다균형 잡힌 해석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에드워즈가 교회를 신앙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했음을 밝히며, 이는 회심하지 않은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원리임을 강조한다. 그는 회심이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임을 강조하면서도, 그과정에서 교회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간과하지 않았다. 오늘날 이른바 ‘가나안 성도’(공동체에 소속되지 않은 신자)의 증가와 함께 가시적 교회의필요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교회론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일부 학자들은 조나단 에드워즈가 부흥과 회심을 강조했기 때문에 그의 신학이 교회 중심적이지 않으며, 교회론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아직 회심하지 않은 이...

      일부 학자들은 조나단 에드워즈가 부흥과 회심을 강조했기 때문에 그의 신학이 교회 중심적이지 않으며, 교회론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아직 회심하지 않은 이들에게 교회가 실질적인유익을 제공하지 못하며, 심지어 불필요한 존재라고 결론짓는 견해도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은혜의 수단’(means of grace)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에드워즈의 교회론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대표적인학자들의 논지를 검토하고, 에드워즈의 신학에서 은혜의 수단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와 인간의 책임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어서교회 공동체가 은혜의 수단으로서 수행하는 역할을 탐색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에드워즈의 교회론에 대한 일부 비판이 과도하거나 보다균형 잡힌 해석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에드워즈가 교회를 신앙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했음을 밝히며, 이는 회심하지 않은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원리임을 강조한다. 그는 회심이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임을 강조하면서도, 그과정에서 교회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간과하지 않았다. 오늘날 이른바 ‘가나안 성도’(공동체에 소속되지 않은 신자)의 증가와 함께 가시적 교회의필요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교회론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scholars argue that Jonathan Edwards, due to his emphasis on revival and conversion, did not sufficiently engage with ecclesiology or that his theology was not church-centered. In particular, some contend that the church offers little benefit or is even unnecessary for those who have not yet experienced conversion. This study critically evaluates such claims through the lens of the means of grace.
      To achieve thi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arguments of key theologians who have negatively assessed Edwards’s ecclesiology. It then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agency and human responsibility within Edwards’s theological framework of the means of grace. Building upon this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church community as an instrument of grace. Based on this research, the paper argues that certain critiques of Edwards’s ecclesiology may be overstated or require a more balanced interpretation.
      This study ultimately demonstrates that Edwards regarded the church 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Christian life, a principle that applies even to the unconverted. While emphasizing the sovereign work of God in conversion, Edwards did not overlook the vital role of the church in that process. In an era when the rise of “Churchless Christians”— those who identify as believers yet remain detached from visible church communities—has led to increasing skepticism regarding the necessity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a renewed scholarly discourse on ecclesiology.
      번역하기

      Some scholars argue that Jonathan Edwards, due to his emphasis on revival and conversion, did not sufficiently engage with ecclesiology or that his theology was not church-centered. In particular, some contend that the church offers little benefit or ...

      Some scholars argue that Jonathan Edwards, due to his emphasis on revival and conversion, did not sufficiently engage with ecclesiology or that his theology was not church-centered. In particular, some contend that the church offers little benefit or is even unnecessary for those who have not yet experienced conversion. This study critically evaluates such claims through the lens of the means of grace.
      To achieve thi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arguments of key theologians who have negatively assessed Edwards’s ecclesiology. It then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agency and human responsibility within Edwards’s theological framework of the means of grace. Building upon this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church community as an instrument of grace. Based on this research, the paper argues that certain critiques of Edwards’s ecclesiology may be overstated or require a more balanced interpretation.
      This study ultimately demonstrates that Edwards regarded the church 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Christian life, a principle that applies even to the unconverted. While emphasizing the sovereign work of God in conversion, Edwards did not overlook the vital role of the church in that process. In an era when the rise of “Churchless Christians”— those who identify as believers yet remain detached from visible church communities—has led to increasing skepticism regarding the necessity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a renewed scholarly discourse on ecclesiolog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