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미션스쿨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이 팀티칭으로 개설한 ‘성경적 학교 교육의 이해’ 수업에 대한 학생의인식을 성찰일지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67372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5-159(4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미션스쿨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이 팀티칭으로 개설한 ‘성경적 학교 교육의 이해’ 수업에 대한 학생의인식을 성찰일지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미션스쿨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이 팀티칭으로 개설한 ‘성경적 학교 교육의 이해’ 수업에 대한 학생의인식을 성찰일지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해당 수업은 성경적 세계관을바탕으로 다양한 전공과 관련한 학교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설되었다. 연구자는 해당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 성찰일지를 기반으로 의미 연결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원생 12명의 성찰일지 349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형 의견임을 고려하여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했으며, 출현빈도 및 동시출현빈도, LDA 기반의토픽 모델링 분석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단어는 ‘하나님’이었으며 이어서 ‘생각’, ‘선생님’, ‘강의’, ‘인간’, ‘정서’, ‘말씀’, ‘이야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시출현빈도가 높은키워드 쌍은 ‘생각-하나님’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선생님-하나님’, ‘강의-하나님’, ‘강의-생각’, ‘생각-선생님’, ‘정서-선생님’, ‘말씀-하나님’, ‘인간-하나님’, ‘생각-인간’, ‘감사-하나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적의 토픽 수는 4개로 확인된다. 구체적으로 ‘환난으로부터 영적 회복과 성장의 여정’,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한 포용적 환경 조성’, ‘음악과 예배를 통한 신앙적 성장’, ‘기독교적 세계관과 과학의 통합적 이해’로 도출하였다. 이때, 서로 다른 토픽을 연결하는 매개 키워드는 ‘관계’, ‘예배’, ‘과학’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 교육에 적용할 수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urse Understanding Biblical School Education, which was teamtaught by professors from various disciplines at a Christian mission school graduate program. This course was desig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urse Understanding Biblical School Education, which was teamtaught by professors from various disciplines at a Christian mission school graduate program. This course was designed to foster an understanding of school education across disciplines based on a biblical worldview.
The researcher aimed to investigate how students’ perceptions changed throughout the course by analyzing their reflective journal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 total of 349 journal entries were collected from 12 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Given the narrative nature of the data,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employed, followed by frequency and co-occurrence analysis, as well as topic modeling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word was “God,” followed by “thought,” “teacher,” “lecture,” “human,” “emotion,” “Word,” and “story.” Second, the most frequent co-occurring keyword pair was “thought– God,” followed by “teacher–God,” “lecture–God,” “lecture–thought,” “thought–teacher,” “emotion–teacher,” “Word–God,” “human–God,” “thought–human,” and “gratitude–God.” Third, the optimal number of topics was found to be four: (1) the journey of spiritual restoration and growth through hardship, (2) fostering an inclusive environment for a shared world, (3) faith development through music and worship, and (4)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worldview and science. Mediating keywords that connected these diverse topics included “relationship,” “worship,” and “sc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의 이슬람 이해: 레이몬드 룰과 쿠사의 니콜라스 중심으로
조나단 에드워즈의 교회론: 회심에 있어 교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제4차 로잔 세계복음화대회의 시대적 과제와 한국교회의 실천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