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기우, "판소리의 지평" 도서출판 신아 1992
2 정양, "판소리의 바탕과 아름다움" 인동 1-356, 1986
3 정충권, "판소리 이별대목들의 문학적 감상" 개신어문학회 26 : 119-146, 2007
4 成耆蓮, "판소리 동편제와 서편제의 전승양상 연구 : <춘향가>중 이별가 대목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 김석배, "춘향전의 이별 대목에 나타난 변모양상" 판소리학회 2 : 97-126, 1991
6 김진영, "춘향전 전집 1~17" 박이정 1997
7 김병국,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이정 1-486, 1996
8 고봉준, "죽었는데, 우리는 왜 말을 합니까-시적 애도는 어떻게 가능한가" (겨울) : 2014
9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473, 2000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1-545, 2014
1 이기우, "판소리의 지평" 도서출판 신아 1992
2 정양, "판소리의 바탕과 아름다움" 인동 1-356, 1986
3 정충권, "판소리 이별대목들의 문학적 감상" 개신어문학회 26 : 119-146, 2007
4 成耆蓮, "판소리 동편제와 서편제의 전승양상 연구 : <춘향가>중 이별가 대목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 김석배, "춘향전의 이별 대목에 나타난 변모양상" 판소리학회 2 : 97-126, 1991
6 김진영, "춘향전 전집 1~17" 박이정 1997
7 김병국,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이정 1-486, 1996
8 고봉준, "죽었는데, 우리는 왜 말을 합니까-시적 애도는 어떻게 가능한가" (겨울) : 2014
9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473, 2000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1-545, 2014
11 최동현, "장재백과 그 일가의 판소리 인맥에 관한 연구" 판소리학회 16 : 337-365, 2003
12 성현경, "이고본 춘향전" 보고사 1-308, 2011
13 박상수, "애도와 멜랑콜리 연구: 애도와 멜랑콜리의 이론적 지형과 문학적 재현의 윤리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49 : 107-147, 2017
14 최동현, "신재효 개작 춘향가 연구" 국어문학회 33 : 381-402, 1998
15 이명진, "송만갑제 <춘향가> 계열의 이별대목 비교 연구-사설의 전승양상과 미의식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8) : 123-147, 2002
16 왕서은, "송만갑과 박봉술 춘향가 선율 비교연구 : 자진사랑가, 이별가, 십장가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7 임성래, "송만갑 <이별가>의 사설 변화와 그 특성" 판소리학회 (22) : 305-328, 2006
18 최재우, "보조인물의 성격으로 본 ‘춘향전’ 이본 간의 특성 차이 -<남원고사>와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33) : 125-155, 2011
19 채수정, "박봉술제 <춘향가> 「이별가」 연구" 판소리학회 (34) : 317-356, 2012
20 이윤석, "남원고사 원전비평" 보고사 1-493, 2009
21 최동현, "김연수 완창 판소리 다섯 바탕 사설집" 민속원 1-902, 2016
22 박지윤, "김세종제 춘향가 中 이별가 분석 연구 : 사설과 장단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23 정노식, "교주 조선창극사" 태학사 1-298, 2015
24 鄭炳憲, "申在孝 판소리 辭說의 形成 背景과 作品世界"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25 김흥규, "申在孝 改作 春香歌의 판소리史的 位置" 일지사 4 : 2-40, 1978
26 박관수, "<춘향가> 이별대목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4 : 87-103, 1998
27 최동현, "<사랑가>의 구성과 변화" 판소리학회 (39) : 339-369, 2015
28 정혜경, "2010년대 소설에 나타나는 ‘불가능한 애도’의 양상과 윤리: 황정은․김숨․윤이형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5) : 157-18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