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기공, "화랑세기"
2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76
3 주보돈,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4 김학성, "필사본 『화랑세기』와 향가의 새로운 해석" 27 : 1996
5 이도흠, "필사본 『花郞世紀』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국문학적 고찰" 국제어문학회 (29) : 233-260, 2003
6 이재범, "필사본 ≪화랑세기≫ 예원공조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0) : 153-178, 2010
7 신재홍, "일반논문: ??화랑세기??의 신빙성에 대한 어문학적 접근" 한국고전문학회 (29) : 275-302, 2006
8 신재홍, "영랑전 역주" 태학사 266-, 2013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삼국사기1, 감교 원문편" 1-, 1996
10 박남수, "신발견 박창화의 『화랑세기』 잔본과 ‘향가’ 일수" 43 : 96-, 2007
1 오기공, "화랑세기"
2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76
3 주보돈,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4 김학성, "필사본 『화랑세기』와 향가의 새로운 해석" 27 : 1996
5 이도흠, "필사본 『花郞世紀』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국문학적 고찰" 국제어문학회 (29) : 233-260, 2003
6 이재범, "필사본 ≪화랑세기≫ 예원공조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0) : 153-178, 2010
7 신재홍, "일반논문: ??화랑세기??의 신빙성에 대한 어문학적 접근" 한국고전문학회 (29) : 275-302, 2006
8 신재홍, "영랑전 역주" 태학사 266-, 2013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삼국사기1, 감교 원문편" 1-, 1996
10 박남수, "신발견 박창화의 『화랑세기』 잔본과 ‘향가’ 일수" 43 : 96-, 2007
11 이종욱, "신라의 역사 1" 김영사 2002
12 이종욱, "신라국가형성사연구" 일조각 1982
13 이종욱, "신라골품제연구" 일조각 1999
14 이종욱, "상처받은 신라"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6
15 이병도, "삼한문제 신고찰" (1~8) : 1934
16 "삼국지 권30"
17 "삼국유사 권2"
18 노태돈, "삼국시대의 ‘부’에 관한 연구-성립과 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사학회 2 : 1975
19 이병도, "두계이병도전집 2" 한국학술정보 2012
20 이병도, "나는 왜 사학자가 되었나" 1973
21 津田左右吉, "古事記及び日本書紀の新硏究" 岩波書店 500-511, 1989
22 이종욱, "『화랑세기』의 신빙성과 그 저술에 대한 고찰" 1997
23 이종욱, "『화랑세기』에 나타난 진골정통과 대원신통" 18 : 1995
24 이종욱,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9) : 511-544, 2018
25 金基興, "『花郞世紀』 두 사본의 성격" 역사학회 178 : 1-27, 2003
26 李榮薰, "《花郞世紀》에서의 奴와 婢 - 三國時代 身分制 再論 -" 역사학회 176 : 1-40, 2002
27 이재범, "≪화랑세기≫ ‘이종욱본’의 저자와 사료적 가치에 대하여" 신라사학회 (17) : 219-262, 2009
28 세키네히데유키, "‘쓰다 사학(津田史)’의 신대사(神代史) 해석과 한일 민족의 계통관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 : 77-107, 2007
29 Raymond Scupin, "Cultural Anthropology"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