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정을 부정한다-신라사를 다시 쓰기 위한 기초작업- = Negate the Denial of Records in Annal of Silla in Sanguksagi and Hwarangse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5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negate the denial of records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Hwarangsegi. This should lead to the across-the-board rewriting of the history from around the foundation of Silla to 681 from scratch, based on the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Hwarangsegi.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has to be traced to its origin through such efforts. The forefathers of the modern-day Korean clans that find Silla people as their founding ancestors are those who appear in the early records including the founding myth as described in Annal of Silla of Samguksagi, which the studies in Korean history have denied over the last century. Here, we need to refresh the effort to find the origi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is thesis negates the three denials that have been made so far, in order to get right the history of Silla that has gone away over the last century. First, it denies the negation made over the last century of the records up to around the reign of King Naemul (r. 356-402)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This was initiated in 1919 by Tsuda Sokichi of Japan and was carried by later researchers, establishing itself as the official (widely accepted) theory in the Korean history. Thus, this thesis wants to identify the history of Silla around the reign of King Naemul and the origi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y negating the denial of the records running up to the said period as described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Second, the thesis contests the so-called Bu(部) System theory, which emerged mainly among the 3rd- or 4th-generation researchers and their followers, starting in the late 1980s. The Bu System theory suggests that during the period between its start during the reign of King Naemul and its disintegration in the 530s, the kings of Silla were chieftains of the six ‘Bu(部)’s in the royal capital. However, the Bu System theory built on the refutation of the records on the period prior to King Naemul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From the time when Hyeok’geo’se formed the small state in Seorabeol by combining the six villages in Seorabeol, the principal surname group that delivered the Silla kings dominated the whole of Silla kingdom and never kept themselves within the perimeter of the six ‘Bu’s. Namely, those who held the surnames of the six ‘Bu’s of Silla were rulers in the six ‘Bu’s in the royal capital. Hence, the Bu System theory cannot but be repudiated.
      Third, the thesis contradicts the refutation of Hwarangsegi, which appeared twice in 1989 and 1995. Hwarangsegi is a biography of 32 Pungwolju, the leader of Silla’s hwarang cadet corps between 540 and 681. Hwarangsegi is a text that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of the Silla history that has been created by texts such as Samguksagi or Samgukyusa. Therefore, we should not allow the concealment of the history of Silla between 540 and 681, especially on its diverse aspects, by allowing the refutation of Hwarangsegi.
      Now, the studies in the Korean history have to contest the refutation of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the refutation of Hwarangsegi that have continued since 1919, to build the basic components of the Silla history. That way, we should purge the history of Silla that has been fabricated, effaced, and distorted over the last century and rewrite the history of Silla as includ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rom scratch. Thus, it is hoped that we will get a correct historical knowledge of the history of Silla and have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negate the denial of records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Hwarangsegi. This should lead to the across-the-board rewriting of the history from around the foundation of Silla to 681 from scratch, based on the An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negate the denial of records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Hwarangsegi. This should lead to the across-the-board rewriting of the history from around the foundation of Silla to 681 from scratch, based on the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Hwarangsegi.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has to be traced to its origin through such efforts. The forefathers of the modern-day Korean clans that find Silla people as their founding ancestors are those who appear in the early records including the founding myth as described in Annal of Silla of Samguksagi, which the studies in Korean history have denied over the last century. Here, we need to refresh the effort to find the origi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is thesis negates the three denials that have been made so far, in order to get right the history of Silla that has gone away over the last century. First, it denies the negation made over the last century of the records up to around the reign of King Naemul (r. 356-402)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This was initiated in 1919 by Tsuda Sokichi of Japan and was carried by later researchers, establishing itself as the official (widely accepted) theory in the Korean history. Thus, this thesis wants to identify the history of Silla around the reign of King Naemul and the origi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y negating the denial of the records running up to the said period as described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Second, the thesis contests the so-called Bu(部) System theory, which emerged mainly among the 3rd- or 4th-generation researchers and their followers, starting in the late 1980s. The Bu System theory suggests that during the period between its start during the reign of King Naemul and its disintegration in the 530s, the kings of Silla were chieftains of the six ‘Bu(部)’s in the royal capital. However, the Bu System theory built on the refutation of the records on the period prior to King Naemul in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From the time when Hyeok’geo’se formed the small state in Seorabeol by combining the six villages in Seorabeol, the principal surname group that delivered the Silla kings dominated the whole of Silla kingdom and never kept themselves within the perimeter of the six ‘Bu’s. Namely, those who held the surnames of the six ‘Bu’s of Silla were rulers in the six ‘Bu’s in the royal capital. Hence, the Bu System theory cannot but be repudiated.
      Third, the thesis contradicts the refutation of Hwarangsegi, which appeared twice in 1989 and 1995. Hwarangsegi is a biography of 32 Pungwolju, the leader of Silla’s hwarang cadet corps between 540 and 681. Hwarangsegi is a text that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of the Silla history that has been created by texts such as Samguksagi or Samgukyusa. Therefore, we should not allow the concealment of the history of Silla between 540 and 681, especially on its diverse aspects, by allowing the refutation of Hwarangsegi.
      Now, the studies in the Korean history have to contest the refutation of Annal of Silla in Samguksagi and the refutation of Hwarangsegi that have continued since 1919, to build the basic components of the Silla history. That way, we should purge the history of Silla that has been fabricated, effaced, and distorted over the last century and rewrite the history of Silla as includ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rom scratch. Thus, it is hoped that we will get a correct historical knowledge of the history of Silla and have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화랑세기』를 자료로 삼아 신라 건국 전후 시기부터 681년까지 역사를 제로베이스에서 전면적으로 다시 쓰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같은 작업을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의 원점을 찾아야 한다. 현재 한국인 중 신라인을 시조로 하는 씨족의 시조는 한국 사학이 지난 100년 동안 부정해온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건국신화를 비롯한 초기기록 속에 나오는 사람들이다. 여기서 한국인의 정체성의 원점을 찾는 작업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지난 100년 동안 잘못 만들어진 신라사를 바로 잡기 위해 그동안 전개되고 있는 세 가지 부정을 부정하였다. 첫째, 지난 100년 동안 전개된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왕(재위 356~402) 전후까지 기록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였다. 이는 1919년 일본의 쓰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가 시작했고, 이후 연구자들도 이어받아 지금까지 한국사의 공식(통설)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왕 전후까지 기록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여 그 시기 신라 역사와 한국인의 정체성의 원점도 찾고자 하였다.
      둘째, 1980년대 말부터 그들 중 3~4세대 연구자와 그 추종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한 소위 부체제설을 부정하였다. 부체제설은 내물왕부터 시작되어 530년대에 해체되었다는 시기 신라의 왕들이 왕경 6部 중 한 부의 部長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왕 이전 기록을 부정하였기에 나온 것이 부체제설이다. 혁거세가 서라벌6촌을 통합하여 서라벌 소국을 형성했을 때부터 신라의 왕을 배출한 宗姓세력은 신라 왕국 전체의 지배세력이지, 6부의 세력인 적이 없었다. 신라 六部姓을 가진 세력이 왕경 6부의 지배세력이었던 것이다. 이에 부체제설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다.
      셋째, 1989년과 1995년 두 차례에 걸쳐 나타난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였다. 『화랑세기』는 540년에서 681년까지 신라 화랑의 우두머리 화랑인 풍월주 32명의 전기다. 『화랑세기』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같은 책으로 만들어낸 신라사의 골격이 갖는 한계를 보충해 주는 자료이다. 따라서 『화랑세기』를 부정하게 버려둠으로써 540년에서 681년까지 신라의 역사, 특히 신라의 다양한 면에 대한 역사가 은폐되도록 내버려 둘 수는 없는 일이다.
      이제 한국사학은 1919년부터 이어져 온 『삼국사기』 「신라본기」 부정을 부정하고,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도 부정하여 신라사의 뼈와 살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 그렇게 하여 지난 100년 동안 날조되고 은폐되고 왜곡된 신라사를 청산하고 제로베이스에서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신라사 부분까지도 다시 써야 한다고 본다. 이를 통해 우리가 신라사에 대해 올바른 역사지식을 알게 되고, 한국인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제대로 된 역사의식도 갖게 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이 글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화랑세기』를 자료로 삼아 신라 건국 전후 ...

      이 글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화랑세기』를 자료로 삼아 신라 건국 전후 시기부터 681년까지 역사를 제로베이스에서 전면적으로 다시 쓰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같은 작업을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의 원점을 찾아야 한다. 현재 한국인 중 신라인을 시조로 하는 씨족의 시조는 한국 사학이 지난 100년 동안 부정해온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건국신화를 비롯한 초기기록 속에 나오는 사람들이다. 여기서 한국인의 정체성의 원점을 찾는 작업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지난 100년 동안 잘못 만들어진 신라사를 바로 잡기 위해 그동안 전개되고 있는 세 가지 부정을 부정하였다. 첫째, 지난 100년 동안 전개된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왕(재위 356~402) 전후까지 기록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였다. 이는 1919년 일본의 쓰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가 시작했고, 이후 연구자들도 이어받아 지금까지 한국사의 공식(통설)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왕 전후까지 기록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여 그 시기 신라 역사와 한국인의 정체성의 원점도 찾고자 하였다.
      둘째, 1980년대 말부터 그들 중 3~4세대 연구자와 그 추종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한 소위 부체제설을 부정하였다. 부체제설은 내물왕부터 시작되어 530년대에 해체되었다는 시기 신라의 왕들이 왕경 6部 중 한 부의 部長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왕 이전 기록을 부정하였기에 나온 것이 부체제설이다. 혁거세가 서라벌6촌을 통합하여 서라벌 소국을 형성했을 때부터 신라의 왕을 배출한 宗姓세력은 신라 왕국 전체의 지배세력이지, 6부의 세력인 적이 없었다. 신라 六部姓을 가진 세력이 왕경 6부의 지배세력이었던 것이다. 이에 부체제설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다.
      셋째, 1989년과 1995년 두 차례에 걸쳐 나타난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을 부정하였다. 『화랑세기』는 540년에서 681년까지 신라 화랑의 우두머리 화랑인 풍월주 32명의 전기다. 『화랑세기』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같은 책으로 만들어낸 신라사의 골격이 갖는 한계를 보충해 주는 자료이다. 따라서 『화랑세기』를 부정하게 버려둠으로써 540년에서 681년까지 신라의 역사, 특히 신라의 다양한 면에 대한 역사가 은폐되도록 내버려 둘 수는 없는 일이다.
      이제 한국사학은 1919년부터 이어져 온 『삼국사기』 「신라본기」 부정을 부정하고,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도 부정하여 신라사의 뼈와 살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 그렇게 하여 지난 100년 동안 날조되고 은폐되고 왜곡된 신라사를 청산하고 제로베이스에서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신라사 부분까지도 다시 써야 한다고 본다. 이를 통해 우리가 신라사에 대해 올바른 역사지식을 알게 되고, 한국인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제대로 된 역사의식도 갖게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기공, "화랑세기"

      2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76

      3 주보돈,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4 김학성, "필사본 『화랑세기』와 향가의 새로운 해석" 27 : 1996

      5 이도흠, "필사본 『花郞世紀』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국문학적 고찰" 국제어문학회 (29) : 233-260, 2003

      6 이재범, "필사본 ≪화랑세기≫ 예원공조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0) : 153-178, 2010

      7 신재홍, "일반논문: ??화랑세기??의 신빙성에 대한 어문학적 접근" 한국고전문학회 (29) : 275-302, 2006

      8 신재홍, "영랑전 역주" 태학사 266-, 2013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삼국사기1, 감교 원문편" 1-, 1996

      10 박남수, "신발견 박창화의 『화랑세기』 잔본과 ‘향가’ 일수" 43 : 96-, 2007

      1 오기공, "화랑세기"

      2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76

      3 주보돈,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4 김학성, "필사본 『화랑세기』와 향가의 새로운 해석" 27 : 1996

      5 이도흠, "필사본 『花郞世紀』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국문학적 고찰" 국제어문학회 (29) : 233-260, 2003

      6 이재범, "필사본 ≪화랑세기≫ 예원공조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0) : 153-178, 2010

      7 신재홍, "일반논문: ??화랑세기??의 신빙성에 대한 어문학적 접근" 한국고전문학회 (29) : 275-302, 2006

      8 신재홍, "영랑전 역주" 태학사 266-, 2013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삼국사기1, 감교 원문편" 1-, 1996

      10 박남수, "신발견 박창화의 『화랑세기』 잔본과 ‘향가’ 일수" 43 : 96-, 2007

      11 이종욱, "신라의 역사 1" 김영사 2002

      12 이종욱, "신라국가형성사연구" 일조각 1982

      13 이종욱, "신라골품제연구" 일조각 1999

      14 이종욱, "상처받은 신라"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6

      15 이병도, "삼한문제 신고찰" (1~8) : 1934

      16 "삼국지 권30"

      17 "삼국유사 권2"

      18 노태돈, "삼국시대의 ‘부’에 관한 연구-성립과 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사학회 2 : 1975

      19 이병도, "두계이병도전집 2" 한국학술정보 2012

      20 이병도, "나는 왜 사학자가 되었나" 1973

      21 津田左右吉, "古事記及び日本書紀の新硏究" 岩波書店 500-511, 1989

      22 이종욱, "『화랑세기』의 신빙성과 그 저술에 대한 고찰" 1997

      23 이종욱, "『화랑세기』에 나타난 진골정통과 대원신통" 18 : 1995

      24 이종욱,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9) : 511-544, 2018

      25 金基興, "『花郞世紀』 두 사본의 성격" 역사학회 178 : 1-27, 2003

      26 李榮薰, "《花郞世紀》에서의 奴와 婢 - 三國時代 身分制 再論 -" 역사학회 176 : 1-40, 2002

      27 이재범, "≪화랑세기≫ ‘이종욱본’의 저자와 사료적 가치에 대하여" 신라사학회 (17) : 219-262, 2009

      28 세키네히데유키, "‘쓰다 사학(津田史)’의 신대사(神代史) 해석과 한일 민족의 계통관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 : 77-107, 2007

      29 Raymond Scupin, "Cultural Anthropology"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