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총선에서 정치적 세련됨(political sophistication)이 당파적 단서(partisan cues), 정책, 지역주의 등의 사용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에 많은 학자들은 투표자들이 정치에 무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6127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총선에서 정치적 세련됨(political sophistication)이 당파적 단서(partisan cues), 정책, 지역주의 등의 사용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에 많은 학자들은 투표자들이 정치에 무지...
본 논문은 총선에서 정치적 세련됨(political sophistication)이 당파적 단서(partisan cues), 정책, 지역주의 등의 사용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에 많은 학자들은 투표자들이 정치에 무지한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정치에 무지한 자들이 정보 또는 지식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보의 지름길(shortcuts) 또는 유리스틱(heuristics)을 이용하여 합리적 결정을 내린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에 바탕을 두고 정치적 비세련자는 선거에서 주로 당파적 단서 혹은 지역주의와 정치지도자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간주한다. 이러한 생각은 이론적인 점에서 근사할지 모르나, 경험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본 논문의 이러한 가설 혹은 주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검정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