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 - 전남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Jeonn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2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ood allergy symptoms, they responded ‘skin trouble’ 63.6% the most. For the causing foods of allergies, they responded, ‘I don't know the causing foods’ 33.5%, ‘I was diagnosed’ 51.0%, ‘I was treated’ 63.9%, and therefore ‘I restricted foods’ 53.5%, due to ‘I restricted foods through hospital diagnosis’ 40.5% the most. For family history, 67.9% responded the family history matters. 70.3% responded the seasons would not affect to the symptoms. 64.1% responded the cause of food allergy is specific foods. For allergy solution, they responded, ‘I don't use any treatment’ 42.8% the most. For effective treatment, they responded, ‘I restricted causing foods’ 45.1% the most.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such as ‘have heard or known about food allergies’(p<.001), ‘whether participated in consultation and training’(p<.001), ‘problems of growing children when putting limits on causing foods’(p<.001), ‘interests in getting information about food allergy’(p<.001), ‘feeling the needs of allergy education about careful foods’(p<.01), ‘wish for schools to be educated’(p<.01). Dietary attitud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of unbalanced diet(p<.001).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ood allergy symptoms, they responded ‘skin trouble’ 63.6% the most. For the causing foods of allergie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ood allergy symptoms, they responded ‘skin trouble’ 63.6% the most. For the causing foods of allergies, they responded, ‘I don't know the causing foods’ 33.5%, ‘I was diagnosed’ 51.0%, ‘I was treated’ 63.9%, and therefore ‘I restricted foods’ 53.5%, due to ‘I restricted foods through hospital diagnosis’ 40.5% the most. For family history, 67.9% responded the family history matters. 70.3% responded the seasons would not affect to the symptoms. 64.1% responded the cause of food allergy is specific foods. For allergy solution, they responded, ‘I don't use any treatment’ 42.8% the most. For effective treatment, they responded, ‘I restricted causing foods’ 45.1% the most.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such as ‘have heard or known about food allergies’(p<.001), ‘whether participated in consultation and training’(p<.001), ‘problems of growing children when putting limits on causing foods’(p<.001), ‘interests in getting information about food allergy’(p<.001), ‘feeling the needs of allergy education about careful foods’(p<.01), ‘wish for schools to be educated’(p<.01). Dietary attitud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of unbalanced diet(p<.001).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학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가장 많았고, 식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학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가장 많았고, 식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수종, "한국 소아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8): 15-25, 2008

      2 이아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에 대한 인식"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 (1): 227-234,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 운영매뉴얼"

      4 곽동경,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 도입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1-183,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학교급식 안전관리 대책"

      6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를 위한 아토피"

      7 서원희, "영유아 보육시설과 응급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 현황"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1 (21): 32-38, 2011

      8 양승혜,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한국영양학회 42 (42): 523-535, 2009

      9 안강모, "식품알레르기: 진단과 관리"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1 (31): 163-169, 2011

      10 이연정, "성인의 식생활 태도 및 식품 알레르기 실태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169-179, 2003

      1 홍수종, "한국 소아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8): 15-25, 2008

      2 이아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표시제에 대한 인식"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 (1): 227-234,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 운영매뉴얼"

      4 곽동경,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 도입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1-183,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학교급식 안전관리 대책"

      6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를 위한 아토피"

      7 서원희, "영유아 보육시설과 응급실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 현황"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1 (21): 32-38, 2011

      8 양승혜,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한국영양학회 42 (42): 523-535, 2009

      9 안강모, "식품알레르기: 진단과 관리"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1 (31): 163-169, 2011

      10 이연정, "성인의 식생활 태도 및 식품 알레르기 실태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169-179, 2003

      11 김도수, "설문지를 이용한 동작구 내 초등학생의 식품알레르기 실태조사"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31 (31): 254-259, 2011

      12 김은지, "경북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 및 식생활의 차이" 대한가정학회 49 (49): 27-39, 2011

      13 Anderson J. A, "The establishment of common language conceming adverse reactions to foods and food additives" 78 : 140-144, 1986

      14 Scott H-S, "Symposium : Pediatric food allergies and dietary behavior" 111 : 591-671, 2003

      15 Kim Y-K,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3

      16 Kim Y-J,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Chungang University 2010

      17 Lee Y-S, "Life Cycle Nutrition" Kyomunsa 2010

      18 Lim D-H, "Food Anaphylaxis" Koonja 2010

      19 Lee S-L, "Food Allerty" 74 : 16-17, 2011

      20 Park H-O, "Comparison of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Life 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Kyeong-gi Province" 5 (5): 586-596, 2000

      21 Choi Y-M, "Comparison of Knowledge, Perception on Food Allergy Labelling and Dietary Life Practices by Food Allergy Experiences of the Upper Grades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Yongin Area" Dankook University 2013

      22 Montserrat Fernandez-Rivas., "Clinical psychosocial perspectives" Blackwell pubishing 2004

      23 Son S-M, "Clinical nutrition" Kyomunsa 2006

      24 Koo B-J,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15 (15): 201-213, 2000

      25 손기영, "2005년 경기도 일산 지역 초등학생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및 환경변화에 따른 증상 변화"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7 (17): 384-393, 2007

      26 Ko Y-S,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1

      27 Kim K-A, "(A)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r Education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