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 Consumption Expenditurn Pattern of the Single Households' Leisure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7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2007 Family Expenditure Survey,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consisting leasure expenditure patterns, classified types of leisure activity based on the leisure expenditure pattern of the songle households, and finally investigated. The majo...

      Using the 2007 Family Expenditure Survey,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consisting leasure expenditure patterns, classified types of leisure activity based on the leisure expenditure pattern of the songle households, and finally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five leisure expenditure factors and the corresponding types of leisure activity were identified including (1) learning, (2) private travel, (3) reading, theaters and concerts , (4) group tour and sports, (5) recreational facilities. Second, single households tended to focus on only one type of leisure activity implying the lack of variety in leisure activities. Third, gender, age,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leisure a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7 가계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여가활동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각 여가활동 유형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독신...

      본 연구에서는 2007 가계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여가활동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각 여가활동 유형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독신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은 개인여행, 단체여행과 운동, 강습, 독서와 공연관람, 오락시설 이용의 5가지로 나타났다. 둘때, 여가활동소비지출 패턴에 따라 여가활동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행한 결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다양한 여가활동을 골고루 즐기는 소비패턴을 취하기보다는 거의 전적으로 한 종류의 여가활동에만 소비가 집중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독신가구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기열, "현대인의 여가인식 및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6 : 43-54, 2000

      2 Marx, K.H, "자본론Ⅱ" 비봉출판사 1991

      3 강이주, "소비패턴의 사회적 형성" 9 (9): 1-20, 1998

      4 정영숙, "소비지출패턴:연구동향과 미래전망" 1 (1): 85-102, 2000

      5 김영화,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양서원 2002

      6 이유리,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가제약, 여가동기, 여가참여의 관계-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1-30, 2006

      7 허은정, "레저지출, 레저활동 참여도 및 레저만족에 대한 관계 분석: 울산시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70-84, 2007

      8 김순옥, "독신의 원가족과의 친족행동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73-184, 2002

      9 장현숙, "독신의 심리적 성향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85-195, 2002

      10 윤소영,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09-217, 2002

      1 공기열, "현대인의 여가인식 및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6 : 43-54, 2000

      2 Marx, K.H, "자본론Ⅱ" 비봉출판사 1991

      3 강이주, "소비패턴의 사회적 형성" 9 (9): 1-20, 1998

      4 정영숙, "소비지출패턴:연구동향과 미래전망" 1 (1): 85-102, 2000

      5 김영화,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양서원 2002

      6 이유리,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가제약, 여가동기, 여가참여의 관계-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1-30, 2006

      7 허은정, "레저지출, 레저활동 참여도 및 레저만족에 대한 관계 분석: 울산시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70-84, 2007

      8 김순옥, "독신의 원가족과의 친족행동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73-184, 2002

      9 장현숙, "독신의 심리적 성향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85-195, 2002

      10 윤소영,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09-217, 2002

      11 김순옥, "독신의 복지를 위한 방안 소고"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8 : 21-38, 2005

      12 박충선, "독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63-171, 2002

      13 김년희, "독신가구의 재정상태 분석" 대한가정학회 43 (43): 85-104, 2005

      14 심영, "독신가구의 경제생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97-208, 2002

      15 조명은, "독신 가구의 주거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19-227, 2002

      16 김영숙, "도시 가계의 여가오락서비스 소비지출구조 및 영향요인분석" 7 (7): 131-143, 2004

      17 허은정, "도시 가계의 레저지출과 관련요인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14 (14): 4-80, 2003

      18 심영, "단독가계 노인소비자의 소득,자산,소비지출분석" 3 (3): 121-145, 2000

      19 여윤경,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12, 2003

      20 성지미,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경제적불평등에 관한 연구" 39 (39): 111-130, 2001

      21 성영애,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소비지출구조 및 관련요인의 비교분석" 35 (35): 103-117, 1997

      22 차경욱,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53-269, 2006

      23 이윤정, "남녀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한가정학회 42 (42): 93-106, 2004

      24 한국관광공사, "국민여가생활의 실태와 분석"

      25 배미경, "경제위기에 따른 고소득층의 소비지출에 대한 연구 -주요 지출항목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4 (14): 423-432, 2005

      26 Dumazedier,J, "Toward a Society of Leisure" The Free Press 1967

      27 Stafford, F.P, "The use of time and technology by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In Time, Goods, and Well-bein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85

      28 Stein,P.J, "The lifestyles and life chances of the never-married" 1 (1): 2-11, 1978

      29 Weagley, R.O, "The impact of retirement on household leisure expenditures" 38 (38): 262-281, 2004

      30 Szali,A, "The Use of Time" The Hagie 1972

      31 Parker,S.R, "The Future of Work and Leisure" MacGibbon and Kee 1971

      32 Fairchild,H.P, "The Dictionary of Sociology and Related Sciences" Philosophical Library. 1994

      33 Brightbill,C.K, "The Challenge of Leisure" Prentice-Hall 1963

      34 Gold,S.M, "Recreation Planning and Design" McGraw-Hill 1980

      35 Hill,M.S, "Patterns of time use. In Time, Goods, and Well-bein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85

      36 Weagley, R.O, "Leisure expenditures of retired and near-retired households" 36 (36): 101-127, 2004

      37 Kim,S.M.& Hong,G.S, "Leisure expenditure patterns among Korean families"

      38 Leitner, M.J, "Leisure Enhancement" The Haworth Press 2004

      39 Paulin,G, "Expenditure patterns of young single adults: two recent generations compared" Monthly Labor Review 19-50, 2008

      40 Wylson,A, "Design for Leisure Entertainment" Architectural Press 1980

      41 Dardis, R, "Analysis of leisure expenditures in the United States" 26 (26): 309-321, 1994

      42 이소영,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6 : 267-281, 2003

      43 통계청, "2005~2030 장래가구추계 결과"

      44 통계청, "2005 인구주택 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성·아동·고령자·활동제약자·혼인연령·1인 가구 부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3 1.34 1.38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