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금 혹은 푼돈’의 이분법을 넘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34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옥주는 위안부 시절 버마에서 야전우체국 통장을 개설하여 팁과 군표를 저금했다. 45년이 지난 1992년부터 문옥주는 이 돈을 찾고자 했으나 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 협정이 이를 가로막았다. 이후 위안부 부정론자들은 “지금이라면 1억엔”이라며 이 돈을 매춘의 증거로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의 활동가들과 연구자들은 이 돈이 “당시 도쿄의 물가지수로 환산하면 20엔 정도”의 푼돈이라고 대응했다. 본 논문은 문옥주의 군사우편저금, 무엇보다 이 저금의 해석과 관련한 이러한 공방으로부터 출발한다. 성폭력 피해자 여성을 돈에 대한 도덕적이고 성적인 평가와 결부시킴으로써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만들어내는 위안부 부정론자들의 주장을 단호하게 거부하되, 이에 대한 반격이 여성을 매춘화하는 위안소 군표 시스템을 과소평가하지 않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관한 포스트식민 여성주의적 고민을 포함한다. 이는 문옥주의 저금에 관해 ‘10억 원 대(對) 2만 원’이라는 극단적인 주장의 진위를 가려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이 돈이 거금인지 푼돈인지 공방 속에서 문옥주 자신의 저금에 대한 반복적인 증언과 자부심, 저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중요성이 희석되고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논문을 통해 여성의 몸과 성에 대한 수탈, 탈취, 약탈에 거래의 형식을 부여한 위안소에서의 군표와 팁을 포함한 여성 매춘화의 전략적 장치에 관한 포스트식민 관점에서의 해석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문옥주는 위안부 시절 버마에서 야전우체국 통장을 개설하여 팁과 군표를 저금했다. 45년이 지난 1992년부터 문옥주는 이 돈을 찾고자 했으나 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 협정이 이를 가로막았...

      문옥주는 위안부 시절 버마에서 야전우체국 통장을 개설하여 팁과 군표를 저금했다. 45년이 지난 1992년부터 문옥주는 이 돈을 찾고자 했으나 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 협정이 이를 가로막았다. 이후 위안부 부정론자들은 “지금이라면 1억엔”이라며 이 돈을 매춘의 증거로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의 활동가들과 연구자들은 이 돈이 “당시 도쿄의 물가지수로 환산하면 20엔 정도”의 푼돈이라고 대응했다. 본 논문은 문옥주의 군사우편저금, 무엇보다 이 저금의 해석과 관련한 이러한 공방으로부터 출발한다. 성폭력 피해자 여성을 돈에 대한 도덕적이고 성적인 평가와 결부시킴으로써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만들어내는 위안부 부정론자들의 주장을 단호하게 거부하되, 이에 대한 반격이 여성을 매춘화하는 위안소 군표 시스템을 과소평가하지 않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관한 포스트식민 여성주의적 고민을 포함한다. 이는 문옥주의 저금에 관해 ‘10억 원 대(對) 2만 원’이라는 극단적인 주장의 진위를 가려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이 돈이 거금인지 푼돈인지 공방 속에서 문옥주 자신의 저금에 대한 반복적인 증언과 자부심, 저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중요성이 희석되고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논문을 통해 여성의 몸과 성에 대한 수탈, 탈취, 약탈에 거래의 형식을 부여한 위안소에서의 군표와 팁을 포함한 여성 매춘화의 전략적 장치에 관한 포스트식민 관점에서의 해석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on Ok-ju opened a field post office account in Burma during her time as a comfort woman and saved tips and military currency. In 1992, 45 years later, Moon Ok-ju sought to reclaim this money, but the 1965 Korea-Japan Claims Agreement obstructed her efforts. Subsequently, comfort women denialists claimed that this money, “equivalent to 100 million yen today,” was proof of prostitution. In response, Korean activists and researchers countered that this money was merely a “pittance equivalent to about 20 yen according to Tokyo’s price index at the time.”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Moon Ok-ju’s military postal savings and, more importantly, the disputes surrounding its interpretation. It firmly rejects the arguments of comfort women denialists who discredit sexual violence survivors by linking them to moral and sexual judgments about money. Simultaneously, it includes a postcolonial feminist reflection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avoid underestimating the system of military currency in comfort stations that commodified women.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determining whether Moon Ok-ju’s savings were big or small. Instead emphasizes how the repetitive testimonies, pride, and efforts of Moon Ok-ju to reclaim her savings are overshadowed by the polarized debate. Furthermore, this paper interprets military currencies and tips as strategic apparatus of prostitution in comfort stations, which assigned a transactional form to the exploitation, expropriation, and dispossession of women. It aims to contribute to a feminist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rough a postcolonial perspective.
      번역하기

      Moon Ok-ju opened a field post office account in Burma during her time as a comfort woman and saved tips and military currency. In 1992, 45 years later, Moon Ok-ju sought to reclaim this money, but the 1965 Korea-Japan Claims Agreement obstructed her ...

      Moon Ok-ju opened a field post office account in Burma during her time as a comfort woman and saved tips and military currency. In 1992, 45 years later, Moon Ok-ju sought to reclaim this money, but the 1965 Korea-Japan Claims Agreement obstructed her efforts. Subsequently, comfort women denialists claimed that this money, “equivalent to 100 million yen today,” was proof of prostitution. In response, Korean activists and researchers countered that this money was merely a “pittance equivalent to about 20 yen according to Tokyo’s price index at the time.”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Moon Ok-ju’s military postal savings and, more importantly, the disputes surrounding its interpretation. It firmly rejects the arguments of comfort women denialists who discredit sexual violence survivors by linking them to moral and sexual judgments about money. Simultaneously, it includes a postcolonial feminist reflection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avoid underestimating the system of military currency in comfort stations that commodified women.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determining whether Moon Ok-ju’s savings were big or small. Instead emphasizes how the repetitive testimonies, pride, and efforts of Moon Ok-ju to reclaim her savings are overshadowed by the polarized debate. Furthermore, this paper interprets military currencies and tips as strategic apparatus of prostitution in comfort stations, which assigned a transactional form to the exploitation, expropriation, and dispossession of women. It aims to contribute to a feminist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rough a postcolonial persp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위안부’의 저금액을 둘러싼 공방
      • Ⅱ. 문옥주의 자부심, ‘돈벌이’의 중요성
      • Ⅲ. 매춘화 장치로서의 위안소 시스템과 군표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 Ⅰ. ‘위안부’의 저금액을 둘러싼 공방
      • Ⅱ. 문옥주의 자부심, ‘돈벌이’의 중요성
      • Ⅲ. 매춘화 장치로서의 위안소 시스템과 군표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