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본 연구단은 경제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는 광의의 산업생태계 접근에 따라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3658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본 연구단은 경제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는 광의의 산업생태계 접근에 따라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
□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본 연구단은 경제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는 광의의 산업생태계 접근에 따라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생태계의 진화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다. 이에 따라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3층위, 기업-산업-공간 3차원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산업생태계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생태계의 성과(혁신성, 공생성, 지속가능성)를 평가하고 제도의 역할을 분석한다.
(1) 생태계의 혁신성: 산업기술체제론적 접근에 따라 산업의 지식기반(knowledge base)과 기술혁신유형으로 구분하고 생산-지식 네트워크가 창조적 파괴형 기술혁신과 기술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2) 생태계의 공생성: 네트워크 참가기업간 성과배분의 공정성(가치배분)과 네트워크의 시장확장성(틈새시장을 창출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산업생태계의 공생성을 분석한다.
(3)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기술변화와 세계화(무역자유화, 자본자유화, 해외직접투자의 확대) 등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산업생태계가 정상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는 회복력(resilience)을 분석한다.
□ 단계별 연구계획
❍ 중형단계: 생산-지식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와 산업생태계 성과 분석
(1) 1차 년도 연구계획(거래네트워크 패널 DB, 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패널DB 구축): ① 소형단계에서 구축된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의 시계열 자료를 확장하여 ‘거래네트워크 패널DB(2005-2017)’를 구축하고 주요 대기업과 협력기업간 기업연관표(2005년, 2011년, 2017년) 작성, ② 외감 이상 법인의 국내외 관계사 거래자료를 활용한 ‘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DB(2005-2017)’구축, ③ 기술혁신네트워크조사 실시로 지식네트워크 패널 DB(2014~2017) 구축
(2) 2차 년도 연구계획(거래네트워크 패널DB를 활용한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와 파급효과 분석): ① 대기업과 중견기업, 독립계 중소기업 네트워크의 구조 변화 분석, ② 대기업의 지배구조(와 계열사 간 내부거래)가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③ 시장구조와 산업 내 및 산업 간 네트워크의 연관성 분석
(3) 3차 년도 연구계획(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DB를 활용한 한국기업의 글로벌(global) 로컬(local) 네트워크의 상호작용과 성과 분석): ① 글로벌 생산네트워크(Global Production Network)와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의 구조 분석, ② 해외직접투자(outbound FDI)와 외국인직접투자(inbound FDI)가 국내 산업생태계(산업 및 기업 간 연결망, 생산성,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③ 광역경제권별 클러스터와 가치사슬 분석, 네트워크와 지역산업기반의 상호작용 및 파급효과 분석, ④ 글로벌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및 성과 분석, ⑤ 글로벌 금융네트워크와 실물네트워크의 관계 분석, ⑥ 금융네트워크의 성과분석(주식가격 네트워크와 경영성과의 관계 분석)
❍ 대형단계: 지속가능한 한국형 산업생태계 모델과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전략 연구
(1) 국내 및 해외 주요 지역의 산업생태계 사례 연구: 산업생산체계(생산물시장, 노동시장), 기업지원체계(금융시장), 지식체계(대학과 연구기관, 기술시장) 등의 3범주 분석
(2) 산업생태계 건강성 지수 개발과 적합성 연구: 산업별 혁신성(생산성, 창조성), 지속가능성(상생성과 시장확장성),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 개발 및 생태계 적합성 분석
(3) 한국형 산업생태계 모델과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전략 연구: 산업생태계 지원체제, 국내외 사례연구와 생태계 지수 개발을 바탕으로 한국의 산업생태계 평가, 지속가능한 한국형 산업생태계 모델과 지역산업생태계 조성전략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