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교통영향평가 지침으로 규정된 사업 시행 전후의 교통흐름은 가로구간의 경우 교통량, V/C, 평균통행속도와 서비스수준, 교차로의 경우 서비스 수준 등의 교통류 분석지표에 의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71265
2008
-
5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1-38(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교통영향평가 지침으로 규정된 사업 시행 전후의 교통흐름은 가로구간의 경우 교통량, V/C, 평균통행속도와 서비스수준, 교차로의 경우 서비스 수준 등의 교통류 분석지표에 의하여 ...
기존의 교통영향평가 지침으로 규정된 사업 시행 전후의 교통흐름은 가로구간의 경우 교통량, V/C, 평균통행속도와 서비스수준, 교차로의 경우 서비스 수준 등의 교통류 분석지표에 의하여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류 분석지표는 확률론적(stochastic)인 교통류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번영하지 못하며, 특히 개별 가로구간과 교차로에 국한하여 분석됨으로서 사업 시행으로 인한 교통영향 분석 범위 전체 구간의 교통흐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차량추종모형(Car-Following Theory)에 의한 미시적 시뮬레이션(microscopic-simulation) 기법을 적용하여, 개별 구간과 교차로 분석 범위를 넘어서 사업 대상 교통영향 반경 내의 교통흐름을 가시적(visual)하게 보여줄 수 있는 방안과 이를 바탕으로 공간적 범위 설정 개선방안, 개선대책 수립에 따른 효과분석 방안 등 다양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ffic flow which is prescribed under previous traffic effect/access act is analyzed by traffic volume, V/C, mean speed on road and LOS on the intersection. These indexes based on analytical method can not consider stochastic characteristics of traff...
Traffic flow which is prescribed under previous traffic effect/access act is analyzed by traffic volume, V/C, mean speed on road and LOS on the intersection. These indexes based on analytical method can not consider stochastic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Moreover it is hard to analyze traffic flow visually in whole traffic effect area because only individual road and intersections are targeted. In this study, it is devised to show traffic flow analysis method within traffic effect area visually applying microscopic-simulation by car-following theory, and then based on this, effect analyze ways are studied according to space range plan, improvement measure establishment and etc. To execute this study, effect area is set up using V/C, and the change of traffic current around development area is analyzed using microscopic-simulation program.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통연구원, 2005
2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3 한국개발연구원, "도로철도 사업부문의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4 한주성, "교통지리학" 법문사 1996
5 건설교통부, "교통영향평가지침"
6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제도의 개선 및 교통유발계 수의 산정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2005
7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전문가 정책 토론자료" 2004
8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제도 개선 방안" 2004
9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서 분석"
10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수요 검증의 위한 기초연구" 2005
1 한국교통연구원, 2005
2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3 한국개발연구원, "도로철도 사업부문의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4 한주성, "교통지리학" 법문사 1996
5 건설교통부, "교통영향평가지침"
6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제도의 개선 및 교통유발계 수의 산정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2005
7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전문가 정책 토론자료" 2004
8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제도 개선 방안" 2004
9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영향평가서 분석"
10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수요 검증의 위한 기초연구" 2005
11 송지영, "고속도로 영향권 설정 기법 개발"
12 FHWA, "Mannual i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13 AASHTO,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 Street"
하수종말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을 위한 계획 인구 및계획 하수량 추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602 | 0.11 |
Interactive Behaviour Simulation: Episode 18
Teachers TV Teachers TVInteractive Behaviour Simulation: Episode 22
Teachers TV Teachers TVInteractive Behaviour Simulation: Episode 21
Teachers TV Teachers TVInteractive Behaviour Simulation: Episode 20
Teachers TV Teachers TVInteractive Behaviour Simulation: Episode 2
Teachers TV Teachers TV